$\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항균소재로서의 천연물 연구는 대부분 식품으로 쓰이는 식물이나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각 지방에 자생하는 식물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명아주과 식물에 속하는 제주도 자생식물인 해홍나물(Suaeda maritima)을 대상으로 하여 부위별로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식품유해미생물을 12종을 대상으로 하여 항균활성, 최소저해농도 및 생육저해율을 분석하였다. 해홍나물의 부위별 항균활성을 보았을 때 줄기나 열매 추출물보다는 뿌리 추출물에서 강한 항균활성이 나타남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물 추출물보다는 메탄올 추출물에서 더 강한 항균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어서 해홍나물의 주 항균성 물질이 물 보다는 메탄올 더 잘 녹는 물질로 추정된다. 특히 메탄올 추출물에서 그람 양성균인 B. cereus (61 %), B. subtilis (62%)와 그람 음성균 V. parahaemolyticus (62%), V. alginolyticus (59%), V. cholerae (56%)에서 55% 넘는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natural food preservatives, methanol and water extracts were prepared from the Suaeda maritima a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12 microorganisms which were food borne pathogens bacteria, food poisoning microorganisms and food-related bacteria. Methanol extracts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주로 중부 이남에 분포하는데 오래전부터 고혈압과 간 해독, 비만증 치료와 신장, 방광에 효험이 있는 식물로 알려져μ1] 왔으나 아직까지 해홍나물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약용 작물로서 해흥나물에 보존 활용가치가 높다고 생각되어 해홍나물을 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가지고 식품 유해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검색하여 천연 항균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grios, G N. 1988. In Plant Pathology. Academic Press. Inc., New York 325-450. 

  2. Amster, D. 1996. Susceptibility testing of antimicrobial in liquid media, antibiotics in laboratory medicine. pp. 52-111, 4th eds. Williams and Wikins, MD, USA 

  3. Bae, J. H.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Pulsatilla koreana extracts on food-borna pathogen. Kor. l. Nutr. 37, 655-661 

  4. Cho, M. H, E. K Bae, S. D and J. Y. Park 2005. Appl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to food industry. Food Sci. Ins. 38, 36-45 

  5. Chung, K S., J. Y. Kim and Y. M. Kim. 2003.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and heat-treated garlic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40-543 

  6. O, D. S., S. M. Lee., M. K. Na and K. H. Bae.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a cariogenic bacterium, Strptococcus mutants OMZ 176. Kor. J. Pharmacogn. 33, 319-323 

  7. Hashidoko, Y. 1996. The phytochemistry of Rosa rugosa. Phytochemistry 40, 535-549 

  8. Jo, Y. C., J. H. Ahn., S. M. Chon., K. S. Lee., T. J. Bae and D. S. Kang. 2002. Studies on pharmacological effects of Saliconia herbacea. Korean J. Medicinial Crop Sci. 10, 93-99 

  9. Kim, J. B., S. N. Choe., K H Choe., S. H Lim and S. J. Chai. 2007. Antioxidant substances in Salicornia herbacea L. J. Fish Mar. Sci. Edu. 19, 197-205 

  10. Kim, J. Y., J. A. Lee and S. Y. Park 2007. Antibacterial activities of Oenothera laciniat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55-261 

  11. Kim, T. J. 1996. Korean Resources Plants I.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Korea 

  12. Lee, H. J., Y. A. Kim., W. A. Ahn., B. J. Lee., S. G. Moon and Y. W. Seo. 2004. Screening of peroxynitrite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salt marsh plant,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 57-61 

  13. Lee, Y. N. 2002. Flora of Korea. 4th eds. Kyo-Hak Publishing o. Ltd., Seoul, Korea 

  14. Min, B. M. 1998. Vegetati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Ocean Research Special 20, 167-178 

  15. Min, S. K, Y. K. Park, J. H. Park., S. H. Jin and K. W. Kim. 2004. Screening of antibacterial activity from hot water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Journal of Life Science 14, 951-962 

  16. Moon, Y. G and M. S. Heo. 2007. Screening of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thanol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Jeju-Island. Korean J. Biotechnol. Bioeng. 22, 78-83 

  17. Murray, P. R, E. J. Baron., M. A. Pfaller, F. C Tenover and R H. Yolke. 1999.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7th eds. ASM, Washington, DC 

  18. Park, H. G., M. R. Cha, J. H. Hwang, J. Y. Kim, M. S. Park, S. U. Choi, H. R. Park and Y. I. Hwang.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Pyrola japonica aganist Bacillus subtilis. Journal of Life Science 16, 989-993 

  19. Park, J. C., H. Ito and T. Yoshida. 2003. $_1$ H-NMR Assignment of HIV protease inhibitor, procyanidine B3 isolated from Rosa rugosa. Natural Product Sciences 9, 49-51 

  20. Park, J. C. and K D. Ok 1993.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Rosa rugosa Thumb. in Korea. Yaknak Hoeji 37, 365-369 

  21. Shim, C. J., G. H. Lee., J. H. Jung., S. D. Yi., Y. H Kim and M. J. Oh.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from Rhodiola sachinensis. Korean J. Food Preserv. 11, 63-70 

  22. Yang, M. S., Y. L. Ha., S. H. Nam., S. U. Choi and D. S. Jang. 1995. Screening of domestic plant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J. Korean Agric. Chem. Soc. 38, 584-5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