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우-유출 및 저수지운영 모형의 최종 개발 목적은 가용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실무자가 하천의 유량예측 및 저수지운영 업무를 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분석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관리 실무에서 홍수량 예측업무에 활용중인 단기 강우-유출 저류함수 모형을 확장하여 장기유출에 모의에 기여도가 높은 유효우량 및 침투량 산정기법을 개선하여 장기 유출분석이 가능하도록 저류함수기반의 장기 유출모형을 구축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낙동강 유역내 3개 댐유역(안동,합천,밀양)을 대상으로 연간 유출모의를 실시 하였으며, 현재 물관리 실무에서 장기유출모형으로 활용중인 SSARR모형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수문곡선 비교 결과, SSARR 모형이 상대적으로 재현성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은 관측 가용한 자료만으로도 비교적 신뢰성 있는 장기유출모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향후 실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rainfall-runoff and reservoir model is to provide an analysis tool for hydrological engineers in order to forecast discharge of rivers and to accomplish reservoir operations easily and accurately. In this study, based on the short-term rainfall-runoff storage function m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1)와 같이 Nash J.E. and Sutcliffe(1970)가 제안한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1970)에서 제안한 효율계수(Efficiency Coefficient)를 사용하고자 한다.
  • 장기유출모의를 위해서는 강우 후 무강우 기간이 지속됨에 따라 침투역의 포화수량이 지하수대로 침루되어 포화대가 자연 건조되고, 토양의 침투능이 다시 증가하는 현상을 모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유출에 기여하는 물리적인 현상중에서 유출기여도가 높은 유효우량 및 침투의 연속모의를 통하여 유역출구에서의 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모형내에서 증발산은 강우시 유효우량 산정 및 침투과정에 반영되도록 구성하였고, 무강우시는 기저유량에 의한 지하수감수곡선에 반영하는 것으로 통합하였으며, 별도의 증발산 과정을 분리하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물관리 실무에서 널리 활용중인 SSARR 모형과의 적용성 비교를 통해 신규 개발된 저류함수 기반의 장기 유출모형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저류함수기반의 일단위 장기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여 홍수기 및 이수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범용모형을 개발하여 물관리 실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데 있다.
  • 본장에서는 단기유출해석을 위해 개발된 저류함수모형을 장기유출모의가 가능하도록 확장하기위해서 유역 및 하도의 저류함수 개념설명과 유효강우 및 저류식의 개선사항을 기술하였다.

가설 설정

  • 과 같이 3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첫째는 강우에 대하여 초기부터 유출에 기여하는 불투수지역인 유출역이 존재하며, 둘째는 강우가 지표면하로 침투된 후 일정량의 토양 포화우량을 만족시킨 후 유출에 기여하는 침투역을 두었고, 마지막으로 침루역을 설정하여 하천 유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고 바로 지표하로 유출되는 지역을 개념적으로 가정하였다. 유역의 하도구간(I~O)은 하류방향으로 경사져있으며, 유역 전체에 균등하게 강우량(Rave)이 발생하고, 소유역에서의 초과강우에 대한 지체시간을 고려하여 얻어지는 유출량은 하천에 유입된 후, 하도 형상에 따른 저류과정을 거쳐 출구로 배출된다고 가정한다(건설교통부, 2006; 신철균 등, 200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출량 예측을 목적으로 외국에서 도입한 것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유출량 예측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형의 대부분이 선진 외국에서 도입된 이론에 근거한 모형들로서, 수자원의 계획 및 실시간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실무적으로 계획단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모형 중 강우-유출 및 저수지운영이 가능한 모형은 미공병단에서 개발한 HEC-HMS 모형으로 간편한 사용자 GUI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SSARR 모형처럼 입력자료를 우리나라 여건에 맞게 수정 및 재구성하여 사용자 편의환경을 추가 개발함으로서 모형의 적용성을 한층 높인 사례도 있으나, 원시 프로그램 코드 수준의 활용은 곤란한 상태이다.
대부분의 강우-유출모형이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효율적인 해석을 위해 강우-유출 모의에 기여도가 높은 인자를 선별하여 모델링에 반영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강우-유출모형 들은 사용자의 활용목적에 따라 물리적 환경을 단순화하기도 하며, 단기 및 장기 유출 목적에 따라서도 분석단위를 시간 또는 일단위로 적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의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모형을 선정하여야 하며, 적합한 활용을 위해서 모형에 내재되어 있는 유출모의 과정을 충분히 습득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강우-유출 및 저수지운영 모형의 최종 개발 목적은 무엇인가? 강우-유출 및 저수지운영 모형의 최종 개발 목적은 가용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실무자가 하천의 유량예측 및 저수지운영 업무를 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분석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관리 실무에서 홍수량 예측업무에 활용중인 단기 강우-유출 저류함수 모형을 확장하여 장기유출에 모의에 기여도가 높은 유효우량 및 침투량 산정기법을 개선하여 장기 유출분석이 가능하도록 저류함수기반의 장기 유출모형을 구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건설교통부 (2006). 한강수계 댐군홍수조절연계운영 시스템 구축 보고서. pp. 203-224 

  2. 건설교통부 (2001). 낙동강수계 댐군최적연계운영 시스템개선 연구 보고서. pp. 157-176 

  3. 선우중호 (1984). “한강유역의 홍수예보 - 저류 함수법에 의한 유출모형.”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45-450 

  4. 신철균, 조효섭, 정관수, 김재한 (2004). “저류함수 기법을 이용한 격자기반의 강우-유출 모형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1호, pp. 969-978 

  5. 윤용남 (1985). 공업수문학. 청문각, pp. 129-134 

  6. 이정규, 김한섭 (2000). “홍수예보를 위한 통합저류함수 모형의 퍼지제어.”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6호, pp. 689-709 

  7. 한국수자원공사 (2003). K-water 홍수분석모형 개발 보고서(Final Report). pp. 13-18 

  8. Nash, J. E., and Sutcliffe, J. 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pp. 282-290 

  9.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87). SSARR User's Manual 

  10. 木村俊晃 (1958). “洪水流出の推定法に關する硏究(I)-貯留關數に關する一考察 -.” 土木硏究所報告, 102號, pp. 9-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