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수범람지역 가시화를 위한 3차원 GIS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3D GIS System for the Visualization of Flood Inundation Area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교통공학, 도로공학, 시공관리, 정보기술, 지역 및 도시계획, 철도공학,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공학, v.28 no.5D, 2008년, pp.749 - 757  

이근상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정일영 ((주)웹솔루스 시스템사업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집중호우나 태풍에 의한 홍수피해가 급증하면서, 댐방류시 하류하천의 홍수범람지역에 대한 가시화 정보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하류지역을 대상으로 홍수범람지역을 가시화할 수 있는 3차원 GIS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먼저, TextureMaker와 HeightMaker 모듈을 이용하여 NGIS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DEM과 IKONOS 위성영상을 iWorld 엔진에 탑재 가능한 형태로 최적화 하였으며, 홍수분석모형(COSFIM)과 FLDWAV 수리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 하천 횡단측선별 실시간 홍수위정보를 기반으로 댐하류 지역에 대한 홍수범람지역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홍수범람 가시화 정보는 실시간 댐운영에 필요한 침수취약지역 파악 및 신속한 홍수재해 대처계획 수립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flood damages have increased with heavy rainfall and typhoon influences, and it requires that visualization information to the flood inundation area of downstream in dam discharge. This study developed 3D GIS system that can visualize flood inundation area for Namgang Dam downstream. Fir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댐군홍수조절 연계운영시스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서, FLDWAV 모델로 모의한 하천내 홍수위 해석결과를 기반으로 위성영상과 침수구역도를 함께 연계하여 댐하류 하천에 대한 실시간 범람지역을 가시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낙동강유역의 남강댐 직하류를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댐군홍수조절 연계운영시스템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서, 홍수분석모델(Coordinate Operation System for Flood control In Multi-reservoir; COSFIM)과 1차원 수리해석모델인 FLDWAV(Flood Wave routing model)를 이용하여 하천내 홍수위 해석결과를 위성영상과 침수구역도와 함께 연계함으로서 댐하류 하천에 대한 홍수범람지역을 실시간으로 가시화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홍수범람지역 가시화시스템은 홍수에 대한 사전대비를 실시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구조적 대책의 일환으로서 홍수발생시 침수예상지역에 대한 신속한 파악 및 주민 대피 업무 등을 지원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침수이력, 침수가능성, 홍수터관리, 토지이용계획 수립 및 홍수보험제도 도입을 위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그림 3은 홍수범람 가시화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프로세스로서 먼저, 지형자료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한 1/5,000 NGIS 수치지형도를 기반으로 댐하류 하천주변지역에 대한 등고선(7111, 7114)과 표고점(7217)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등고선의 부재 및 부정합, 그리고 등고선 및 표고점의 속성 오류에 대한 편집작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제내지 구역에 대한 침수영역을 가시화하는 것으로서 하천구역 안쪽인 제외지의 횡단측량 성과물은 반영하지 않았다. 다만, 하천정비기본계획상의 제방상단 표고값을 수치지형도의 등고선과 비교한 결과, 국가하천으로 이루어진 남강댐 하류구간의 제방 부근 등고선이 하천정비기본계획상의 제방상단 표고점과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어 별도의 breakline 처리는 수행하지 않았다.
  • 홍수범람지역에 대한 실감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상하류 유역의 IKONOS 위성영상을 구축하였다. IKONOS 영상은 1m 해상도의 전정색 영상과 4m 해상도의 적(Red), 녹(Green), 청(Blue), 근적외선(NIR) 밴드로 구성된 영상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관리시스템은 몇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가? 낙동강수계 댐군홍수조절 연계운영시스템 구축사업의 기본 방향은 유역을 일관한 홍수량 해석, 하천홍수량 최소화를 위한 연계운영시스템 구축, 홍수위험지구 및 조위를 고려한 침수 및 범람예측시스템 개발 그리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홍수관리제도 및 체제 정비방안을 수립하여 홍수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홍수관리시스템은 5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1단계에서는 수위자료 등과 같은 원시자료를 관리하고, 2단계에서는 데이터처리시스템 및 실시간 수문자료 관리시스템과 같은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그리고 3단계에서는 강우예측모형 등과 같은 홍수예측모형을 수행하고, 4단계에서는 저수지 모의모형과 같은 댐 연계모형을 구동하며, 마지막 5단계에서는 홍수조절효과분석, 홍수평가 및 훈련시스템을 담당하는 사후분석이 수행된다(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2007).
홍수관리시스템의 5단계에서는 무엇이 수행되는가? 홍수관리시스템은 5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1단계에서는 수위자료 등과 같은 원시자료를 관리하고, 2단계에서는 데이터처리시스템 및 실시간 수문자료 관리시스템과 같은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그리고 3단계에서는 강우예측모형 등과 같은 홍수예측모형을 수행하고, 4단계에서는 저수지 모의모형과 같은 댐 연계모형을 구동하며, 마지막 5단계에서는 홍수조절효과분석, 홍수평가 및 훈련시스템을 담당하는 사후분석이 수행된다(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2007).
낙동강수계 댐군홍수조절 연계운영시스템 구축사업의 기본 방향은 무엇인가? 낙동강수계 댐군홍수조절 연계운영시스템 구축사업의 기본 방향은 유역을 일관한 홍수량 해석, 하천홍수량 최소화를 위한 연계운영시스템 구축, 홍수위험지구 및 조위를 고려한 침수 및 범람예측시스템 개발 그리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홍수관리제도 및 체제 정비방안을 수립하여 홍수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홍수관리시스템은 5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1단계에서는 수위자료 등과 같은 원시자료를 관리하고, 2단계에서는 데이터처리시스템 및 실시간 수문자료 관리시스템과 같은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7) 낙동강수계 댐군 홍수조절 연계운영시스템 구축, 한국수자원공사 

  2. 김상호, 박민지, 강수만, 김성준(2006) GIS 기반의 HEC-HMS를 이용한 진위천 유역의 강우-유출모형 구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9권, 제4호, pp. 119-128 

  3. 박미정, 이승현, 최진용, 김한중, 김상법(2008) Web GIS 기반의 3차원 농촌경관 시뮬레이션, 한국농촌계획학회지, 한국논총계획학회, 제14권, 제1호, pp. 51-58 

  4. 심명필, 권오익, 김경탁(1998) 평화의 댐과 연계한 화천댐의 홍수조절효과 - 화천댐의 홍수조절능력 검토,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8권, 제II-2호, pp. 163-172 

  5. 이동헌, 홍성언, 박수홍(2005) 3차원 기하모델에 대한 공간 관계 연산 설계,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13권, 제2호, pp. 119-128 

  6. 정인주, 박상주, 김상용(2003) GIS 기반의 홍수피해 감소를 위한 하천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논문집,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22권, 제3호, pp. 35-40 

  7. 채효석, 김광은, 김성준, 김영섭, 이규성, 조기성, 조명희(2000) 환경원격탐사, 시그마프레스 

  8. 최혁준, 한건연, 김광섭(2006) 위성정보에 의한 강우예측과 홍수 유출 및 범람 연계 해석(II) : 적용 및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6B호, pp. 605-612 

  9. 한승희(2007) 유비쿼터스 행정중심복합도시 기반조성을 위한 고해상 3D 지형모델링,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6D호, pp. 775-782 

  10. Andrea Tonini, Enrico Guastaldi, Giovanni Massa, and Paolo Conti (2008) 3D geo-mapping based on surface data for preliminary study of underground works: A case study in Val Topina (Central Italy), Engineering Geology, Vol. 99, pp. 61-69 

  11. Sabins, F. F. (1987) Remote Sensing Principles and Interpretation, 2nd ed., San Francisco : W. H. Freeman, pp. 251-252 

  12. Venkatesh Merwade, Aaron Cook, and Julie Coonrod (2008) GIS techniques for creating river terrain models for hydrodynamic modeling and flood inundation mapping,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Vol. 23, pp. 1300-1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