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현황 분석
A Study on the Present Stage of Children's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19 no.1, 2008년, pp.175 - 202  

김종성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동근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여지숙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상후 (계명대학교.한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현재 수준을 조망해 보기 위하여 전국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전국 공공도서관 중 171개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도서관의 소재 지역과 예산 규모에 따라 영역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어린이 서비스를 시설 및 공간, 자료, 인력, 이용자봉사, 운영 일반 및 강좌 5개 영역으로 나누어 다양한 측면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 서비스의 수준과 내용에서 도서관 소재 지역과 규모에 따라 다양한 편차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전체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 어린이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투여되는 자원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놓여 있다는 사실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ge of children's services of public library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171 public libraries and analysed according to five aspects of library services; physical aspect, collection, human resources, user services, and management and p...

주제어

참고문헌 (16)

  1. 고광미. 2006. '일본 어린이도서관 고찰'.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2. 국립중앙도서관: 2007. '공공도서관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김영석. 2003. 영국의 어린이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셰필드 지역을 중심으로 '도서관', 58(4): 3-38 

  4. 김화숙. 2000. '한국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봉사에 관한 분석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5. 문지현, 김정현. 2008.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현황 및 분류표 적용 분석. '2008 학년도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61-85 

  6. 송영숙. 2003. 외국 도서관의 어린이봉사. '도서관문화', 44(2): 8-17 

  7. 어린이도서관연구소. 2004. '어린이도서관 길잡이'. 고양: 어린이도서관연구소 

  8. 어린이와 도서관. 2005. '어린이와 도서관'. 서울: 어린이와 도서관 

  9. 이연옥. 2005. 현단계 어린이도서관 운동의 내용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6(1): 309-327 

  10. 이영주. 2004. '어린이도서관의 현황과 발전방안'.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1. 황태숙. 2004.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울산지역 4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12. 塊川照代. 2007. '아동서비스론'. 파주: 알마 

  13. Benne. Mae. 1992. Principles of Children's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Chicago: ALA 

  14. Dewe. Michael. 1995. Planning and Designing Libraries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London: Library Association 

  15. Order. Phyllis Van & Pawelak-Kort. Patricia. 2005. Library Service to Children: A Guide to the History. Planning, Policy, and Research Literature. New York: Scarecrow Press 

  16. Sullivan, Michael. 2007. '어린이 서비스의 기초'.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역,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