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를 위한 평가지표의 개발과 적용
Developing and Applying the Evaluation Measures for Public Library Service to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1 no.4, 2007년, pp.365 - 385  

오동근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종성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최성열 (경북과학대학 유아교육과) ,  여지숙 (계명대학교.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상후 (계명대학교 사서교육원)

초록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 전반에 대한 평가지표를 제시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어린이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는 서비스품질영역 (담당인력, 자료 및 정보자원, 면적 기타 서비스)과 고객만족도를 각각 50%씩 반영하도록 설계되었으며, 4개 영역별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서비스품질영역의 평가지표에 따른 23개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 및 척도의 개발은 본 연구팀이 이 사업과 일련의 연구과정으로 수행한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 기준 개발 연구'에 참여한 자문위원들과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참조하고, 학계와 어린이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담당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보완하였으며, 18개 샘플도서관에 이를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s a set of measures for public library services to children. It is designed to use both measures for library service quality including personnel, library materials and resources. spaces for the service, and other services. and those for 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on equal basis....

주제어

참고문헌 (45)

  1.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6.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프로그램 개발'.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 堀川照代. 2007. '아동서비스론'. 고향옥 옮김, 파주: 알마 

  3. 김영석. 2003. 영국의 어린이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셰필드 지역을 중심으로. '도서관' 58(4): 3-38 

  4. 김종성, 오동근. 2007.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 기준 개발 연구'.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5. 김화숙. 2000. 한국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봉사에 관한 분석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6. 김효정. 1994. 정보사회에 있어서 어린이도서관의 위상.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6: 35-51 

  7. 박옥화. 1997. 공공도서관 어린이봉사 활성화를 위한 방안. '사회과학논총', 18: 89-107 

  8. 송영숙. 1981. 어린이 도서관 봉사의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9. 어린이도서관연구소. 2004. '어린이도서관 길잡이'. 고양: 어린이도서관연구소 

  10. 어린이와 도서관. 2005. '어린이와 도서관'. 서울: 어린이와 도서관 

  11. 오동근. 2005. 공공도서관의 서비스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관리학회지', 22(4): 61-78 

  12. 유병장. 2004. 고객 만족을 위한 공공도서관 평가지표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5(3): 321-339 

  13. 이연옥. 2005. 어린이사서의 역할과 전문성 개발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6(3): 233-256 

  14. 이영주. 2004. 어린이도서관의 현황과 발전방안. 부산대학교 대학원 

  15. 이용남, 홍현진. 1999.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에 대한 평가지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3(4): 113-131 

  16. 赤星隆子. 2007. '兒童圖書館の 誕生'. 松戶: 理想社 

  17. 佐藤?子. 2003. '補訂版 兒童サ-ビス論'. 敎育史料出版會 

  18. 주지현. 2004. 어린이도서관 기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 차미경. 2002. 공공도서관 통계 항목의 설정과 수집 방법의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2): 73-87 

  20. 최경희. 2000. 공공도서관 어린이 장서 평가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립 P도서관을 사례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1.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회. 2003. '한국도서관기준, 2003년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2. 한국도서관협회. 2006. '2006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3.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중장기 발전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4. 한국정보관리학회. 2007. '공공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5. 홍현진, 이용남. 1999. 공공도서관의 성과평가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3(2): 45-67 

  26. ALA. 1964. Standards for children's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Chicago: ALA 

  27. Benne, Mae. 1991. Principles of Children's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Chicago: ALA 

  28. Children's Issues Section. 1995. Standards for public library service to children in Massachusetts. North Andover: Massachusetts Library Association 

  29. Connor, Jane Gardner. 1990. Children's Library Services Handbook. Oryx Press 

  30. Cruse, Cheryl, Cart, Michael, Eisenhut, Lynn, Bryan, Marie E., & Peterson, Susan. 2002. Children's Services Training Manual. North State Cooperative Library Systems 

  31. Fasick, Adele M. 1991. Managing Children's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y. Libraries Unlimited 

  32. Gagnon, Ann. 1989. Guidelines for children's services. Ottawa: Canadian Library Association 

  33. IFLA, Librarie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Section. 2003. Guidelines for Children's Libraries Services, Hague: IFLA 

  34. IFLA, Section of Public Libraries. 1986. Guidelines for public libraries. Munich: Saur 

  35. Ministry of Education. 1962. Standards of public library service in England and Wales. London: HMSO 

  36. Order, Phyllis Van & Pawelak-Kort, Patricia. 2005. Library Service to Children: A Guide to the History, Planning, Policy, and Research Literature. Scarecrow Press 

  37. Ordern, Phyllis J. Van. 1992. Library Service to Children: A Guide to the Research, Planning, and Policy Literature. ALA 

  38. Ray, Sheila G. 1979. Children's Librariship. Clive Bingley ltd 

  39. Rollock, Barbara T. 1988. Public Library Service for Children. Shoe String Press 

  40. Sayers, William C. 1980. A Manual of Children Libraries. Gordon Press 

  41. Sullivan, Michael. 2007. '어린이 서비스의 기초'.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역,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42. Sullivan, Michael. 2005. Fundamentals of Children's Services. ALA 

  43. The Youth Libraries Committee of The Library Association. 1997. Children and young people: library association guidelines for public library services. London: Library Association 

  44. Walter, Virginia A. 1992. Output measures for public library service to children. A manual of standardized procedures. Chicago: ALA Books 

  45. Walter, Virginia A. 2001. Children and Library: Getting It Right. AL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