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생식물 갯질경 [Limonium tetragonum]의 추출물이 암세포성장에 미치는 효과
Inhibition effects of extracts and its solvent fractions isolated from Limonium tetragonum on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3 no.2, 2008년, pp.177 - 182  

공창숙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  엄영란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이정임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김유아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이점숙 (군산대학교 생물학과) ,  서영완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한 종류인 갯질경을 이용하여 생리활성물질에 의한 항발암성물질의 생성 및 생체방어물질로서의 유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갯질경의 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물에서 AGS와 HT-29 인체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갯질경의 용매 추출물은 시료 처리 농도 증가에 따라 인체 위암 및 결장암세포의 생존율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시료의 처리농도 $200\;{\mu}g/ml$에서 methanol과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은 인체 위암세포에 대하여 각각 66%와 71%의 암세포 증식억제율을, 인체 결장암세포에 대하여서는 각각 60%와 84%의 암세포 증식억제율을 보였다. 이러한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는 methanol 추출물보다는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AGS 인체 위암세포에서 보다도 HT-29 인체 결장암세포에서 다소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갯질경의 조추출물이 인체 암세포에 대하여 높은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이들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을 이용하여 인체 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85%aq. MeOH 분획층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H_2O$ 분획층에서는 50%이하의 낮은 억제율로 거의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AGS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를 관찰한 결과, $200\;{\mu}g/ml$의 처리 농도에서 85% aq. MeOH, n-hexane 및 n-BuOH의 분획물이 약 80% 이상의 높은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HT-29 인체 결장암세포에 대하여서는 85%aq. MeOH과 n-hexane의 분획물에서 월등히 높은 증식억제효과가 관찰되었는데, 이 억제효과는 인체 위암세포에서 보다도 높은 저해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해양생물 중 염생식물의 한 종류인 갯질경의 높은 항암활성효과와 함께 식용 및 약용으로의 가치가 있는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의 소재군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rude extracts of the halophyte Limonium tetragonum and their solvent fractions were evaluated on anticancer activity in AGS and HT-29 human cancer cells using MTT assay. Each of the crude extracts (MeOH and $CH_2Cl_2$) of Limonium tetragonum showed a significant inhibito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용매별 분획물 중 높은 암세포 성장억제율을 보인 85%aq. MeOH, zi-hexane 및 /i-BuOH의 분획충에서의 항암 생리활성물질의 존재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높은 암세포증식억제율을 보이는 용매 분획물에서의 생리활성물질의 분리, 정제 및 구조 동정을 통해 항발암 활성을 가진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서의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 이러한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는 methanol 추출물보다는 methylene 나iloride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AGS 인체위암 세포에서 보다도 HT-29 인체 결장암세포에서 다소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갯질경의 조추출물이 인체 암세포에 대하여 높은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이들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인체 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85%aq.
  • 충남 서산지방에서는 예전부터 그 뿌리를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어(25), 갯질경으로 부터의 생리활성물질의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한 종류인 갯질경을 이용하여 생리활성물질에 의한 발암물질의 생성방지 및 생체방어물질로서의 유용성, 또한 항암 생리활성물질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갯질경의 용매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AGS 인체위암 세포와 HT-29 인체 결장암세포에 대한 인체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조 추출물로부터 각 용매별 분획물을 추출하여 인체 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한 종류인 갯질경을 이용하여 생리활성물질에 의한 항발암성물질의 생성 및 생체방어물질로서의 유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갯질경의 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물에서 AGS와 HT-29 인체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갯질경의 용매 추출물은 시료 처리 농도 증가에 따라 인체 위암 및 결장암세포의 생존율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 염생식물인 갯질경의 항암 생리활성 물질 탐색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갯질경의 조추출물을 이용하여 AGS 인체위암 세포 및 HT-29 인체 결장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갯질경의 용매추출물을 5, 10, 50, 100 및 200 陽/戒의 처리 농도별로 인체 위암세포에 처리한 결과(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hur, Y. J. (2004), Cnacer chemopreventive Effects of Dietrary Phytochemicals, J Korean Assoc Cancer Preve 9(2), 68-83 

  2. Nagayama, K., Y. Iwamura, T. Shibata, I. Hirayama, and T. Nakamura (2002), Bactericidal activity of Phlorotannins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Kurome, J Antimicrob Chemoth 50, 889-893 

  3. Heo, S. J. and Y. J. Jeon (2005), Antioxidant effect and protecting effect against cell damage by enzymatic hydrolysates from marine algae, Food Industry Nutr 10, 31-41 

  4. Kwak, C. S., S. A. Kim, and M. S. Lee (2005), The correl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5 Korean common edible seawee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43-1150 

  5. Park, Y. B. (2005), Determination of nitrite-scavenging activity of seawe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93-1290 

  6. Yuan, Y. V. and N. A. Walsh (2006),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 variety of edible seaweeds, Food Chem Toxicol 44, 1144-1150 

  7. Cho, K. J., Y. S. Lee, and B. H. Ryu (1990),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y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345-352 

  8. Lee, Y. S., D. S. Kim, B. H. Ryu, and S. H. Lee (1992), Antitumor and immunomodulating effects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ce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544-550 

  9. Park, S. Y., B. M. Jung, Y. H. Choi, and S. J. Bae (2005), Growth inhibition effects of cancer cell lines by gloiopeltis furcata fraction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71-775 

  10. Ryu, B. H., D. S. Kim, K. J. Cho, and D. B. Sin (1989), Antitumor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595-600 

  11. Yan, X., Y. Chuda, M. Suzuki, and T. Nagata (1999), Fucoxanthin as the major antioxidant in hijikia fusiformis a common edible seaweed, Biosci Biotechnol Biochem 63(3), 603-607 

  12. Bae, S. J. (2004), Anticarcinogen effects of Saorgassum fulvellum fractions on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80-486 

  13. Shine, M. O. and S. J. Bae (2005), Anti-proliferating effects of porphyra tenera fractions on several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543-1519 

  14. Chas, S. H., G. N. Ahn, S. J. Heo, K. N. Kim, K. W. Lee, C. B. Song, S. K. Cho, and Y. J. Jeon, (2006), Screening of extracts from marine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07-314 

  15. Min, B. M. and J. H. Kim (1999),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reclaimed land on the West Coast of Korea, J Plant Biology 42, 287-293 

  16. Shim, H. B, S. M. Seo, and B.H. Choi (2002), Floristic Survey of Salt Marshes and Dunes on Gyeonggi Bay i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0(1), 25-34 

  17. Bang, M. A., H. A. Kim, and Y. J. Cho (2002), Hypo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dietary hamcho powd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5), 840-846 

  18. Seo, Y., H. J. Lee, Y. A. Kim, and K. E. Park (2004), Antioxidative effect of glasswort (Saliconia herbacea) extract from Daebudo, Proceeding of Current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10, 1-7 

  19. Han, S. K., S. M. Kim, and B. S. Pyo (2003), Antioxidative effect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on the lipid oxidation of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1), 46-49 

  20. Ng, T. B., F. Liu, and H. X. Wang (2004), The antioxidant effects of aqueous and organic extracts of Panax quinquefolium, Panax notoginseng, Codonopsis pilosula,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and Glehnia littoralis, J Ethnopharmacol 93, 285-288 

  21. Kitamura, Y., M. Ohta, T. Ikenaga, and M. Watanabe (2002), Responses of anthocyanin-producing and non-producing cells of Glehnia littoralis to radical generators, Phytochem 59(1), 63-68 

  22. Min, B. M. (1990), On the Accumulation of Minerals with the Plant Species in a Reclaimed Land, Korean J Ecol 13, 9-18 

  23. Waisel, Y. (1972), Biology of Halophytes. Academic Press, London 

  24. Kim, C. S. and T. G. Song (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e Communiti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s in Korea(4)-The Halophyte Communities at the Different Salt Marsh Habitats, Korean J Ecol 6, 167-176 

  25. Min, B. M. (1998), Vegetati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Ocean Research 20 Special, 167-178 

  26. Park, J. G,, H. Frucht, R. V. LaRocca, D. P. Bliss, Y. Kurita, T. R. Chen, J. G. Henslee, J. B. Trepel, R. T. Jensen, B. E. Johnson, Y. J. Bang, J. P. Kim, and A. F. Gazdar (1990), Characterization of cell lines established from human gastric carcinoma, Cancer Res 50, 2773-2780 

  27. Lee, B. H., Y. H. Moon, B. C. Jeong, K. S. Kim, and S. N. Ryu (2002), Growth characteristics and it's potentiality of use of halophyte, Suaeda asparagoides MIQ, Kor J Intl Agri 14(2), 87-93 

  28. Im, S. A., G. W. Kim, and C. K. Lee (2003),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L.components, Natural Product Science 9(4), 273-277 

  29. Lee, K. S., M. H. Lee, I. Y. Chang, S. P. Yoon, D. Y. Lim, and Y. J. Jeon (2006), Marcrophage activation by polysaccharide fraction isolated from Salicornia herbacea, J Ethnopharmacol 103, 372-3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