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생식물 나문재의 염농도에 따른 생장 및 생리적 특성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 a Halophyte Suaeda glauca under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4 no.1, 2019년, pp.48 - 54  

김지영 (전북대학교 작물생명과학과) ,  성필모 (전북대학교 작물생명과학과) ,  이덕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정남진 (전북대학교 작물생명과학과, 생리활성물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염 농도 별 나문재의 생장과 식물체 내의 무기 이온과 아미노산 함량, 광합성 효율 등을 조사하여 염농도에 따른 나문재의 생리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나문재의 초장, 분지수, 건물중을 조사하였을 때, 50 mM에서 최적의 생육 상태를 보였고 50~100 mM의 염농도 범위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다. 식물체 내 무기이온의 함량은 염농도가 높을수록 Na 이온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K, Ca, Mg 이온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식물체 부위별 무기이온의 함량은 Na 이온의 함량은 지하부보다 지상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염농도에 따른 식물체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보면, proline을 제외한 glycine 등의 16종의 아미노산은 공통적으로 생육에 최적 염농도인 50 mM에서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roline은 정반대로 50 mM에서 현저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염농도에 따른 광합성 효율은 50 mM에서 가장 높았으나 400 mM의 높은 염농도에서도 광합성효율의 저하는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나문재의 생육에 최적 염농도는 50 mM이었지만, 염농도 변화에 따른 식물체 내의 무기이온, proline 등의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그리고 고염조건에서도 광합성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생리적 특성으로 0~400 mM의 넓은 범위의 염농도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여, 염농도의 변이가 큰 신간척지에 적합한 염생식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lant growth, inorganic ion and amino acid content characteristics in a halophyte, Suaeda glauca, under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for cultivating in the reclaimed land. S. glauca was hydroponically cultivated under 0, 50, 100, 200, 300 and 400 mM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염 농도 별 나문재의 생장과 식물체 내의 무기 이온과 아미노산 함량, 광합성 효율 등을 조사하여 염농도에 따른 나문재의 생리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나문재의 초장, 분지수, 건물중을 조사하였을 때, 50 mM에서 최적의 생육 상태를 보였고 50~100 mM의 염농도 범위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다.
  • , 1980). 본 연구는 염 농도에 따른 나문재의 생장, 무기이온과 아미노산 함량, 그리고 광합성 효율을 평가하여 염농도에 따른 생장 및 생리적 특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농도에 따른 나문재의 생리적 특성은 무엇인가? 염농도에 따른 광합성 효율은 50 mM에서 가장 높았으나 400 mM의 높은 염농도에서도 광합성효율의 저하는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나문재의 생육에 최적 염농도는 50 mM이었지만, 염농도 변화에 따른 식물체 내의 무기이온, proline 등의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그리고 고염조건에서도 광합성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생리적 특성으로 0~400 mM의 넓은 범위의 염농도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여, 염농도의 변이가 큰 신간척지에 적합한 염생식물로 판단된다.
식물의 염 스트레스이란 무엇인가? 식물의 염 스트레스는 과도한 염류 집적에 의해 토양 내삼투압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수분 흡수가 저해되어 나타 나는 수분 결핍 현상과 특정 이온의 비정상적인 흡수에 의한 이온 특이적 효과와 이 두 가지의 원인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한 현상으로 설명되고 있다. 염분이 높은 토양에서 자라는 식물이 낮은 수분 포텐셜을 나타내는 토양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토양보다 더 낮은 수분 포텐셜을 가져야 하므로 내부적으로 유기용질이나 무기용질 등을 축적한다(Lee et al.
염생식물들의 삼투보호제는 무엇인가? , 1999). 염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다수의 염생식물들은 삼투보호제로 알려진 betaine 화합물, proline 같은 아미노산, manitol, sorbitol 및 arabitol등과 같은 polyol 및 sugar 등과 같은 저분자 유기화합물들을 세포 내에 축적한다(Flowers et al., 1977; Rhodes & Hamson 1993; McNeil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xter, I. 2010. Ionomics: the functional genomics of elements. Brief Funct Genomics 9 : 149-156. 

  2. Binzel, M. L., P. M. Hasegawa, A. K. Handa, and R. A. Bressan. 1985. Adaptation of tobacco cells to NaCl. Plant Physiol. 79 : 118-125. 

  3. Breckle, S. W. 1990. Salinity tolerance of different halophyte types. In N. El Bassam, M. Damborth and B.C. Loughman (eds.), Genetic Aspects of Plant Mineral Nutrition. Kluwer Academic Publ., Dordrecht. pp. 167-175. 

  4. Flowers, T. J. and J. L. Hall. 1978. Salt Tolerance in Halophyte Suaeda maritime (L.) Dum: The Influence of Salinity on the Culture Solution on the Content of Various Organic Compounds, Ann. Bot. 42 : 1057-1063. 

  5. Gilbert, G. A., M. V. Gadush, C. Wilson, and M. A. Madore. 1998. Amino Acid Accumulation in Sink and Source Tissues of Coleus blumei Benth. during Salinity Stress, J. Exp. Bot. 49(318) : 107-114. 

  6. Greenway, H. and R. Munns. 1980. Mechanism of salt tolerance in nonhalophytes. Annu. Rev. Plant Physiol. 31 : 130-149. 

  7. Jeon, B. Y. and D. H. Park. 2011. Effect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and rice (Oryza sativa L.) on quality of Ganjang (Korean soy sauce). Food Sci. Biotech. 20(4) : 979-998. 

  8. Jeong, J. H., W. H. Hwang, H. Y. Jeong, J. S. Baek, K. J. Choi, G. H. Lee, J. E. Ra, N. J. Chung, and S. J. Yun. 2017. Seed Germination, Plant Growth and Antioxidant Capacity of Limonium Tetragonum under different Salt Concentration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30(4) : 364-371. 

  9. Kim, D. Y., S. Y. Yoo, S. H. Park, Y. K. Jun, M. H. Chiang, and T.H. Kim. 2007. Effect of salt stress on chlorophyll fluorescence in three halophytes [Abstract].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s and Fertilizer. 10 : 187-188. 

  10. Kim, J. A., Y. S. Choo, I. J. Lee, J. J. Bae, I. S. Kim, B. H. Choo, and S. D. Song. 2002. Adaptation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Chenopodiaceae Species under Saline Environments. Kor. J. Ecology 25 : 101-107. 

  11. Kim, S., T. K. Kim, J. H. Jeong, C. H. Yang, J. H. Lee, W. Y. Choi, D. Y. Kim, S. J. Kim, and K. Y. Seong. 2012.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on soils having different salinity in recently reclaimed Saemangeum in region of Korea.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32(1) : 1-9. 

  12. Kwon, H. G., J. H. Jeong, S. J. Lee, and N. J. Chung. 2016.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halophyte Sueada Asparagoide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61(3) : 222-226. 

  13. Lea, P. J. and R. J. Ireland. 1999. Nitrogen metabolism in higher plants. In B.K. Singh, ed., Plant amino acids. Marcel Dekker. Inc. pp. 1-47. 

  14. Lee, B. M., S. I. Shim, S. G. Lee, B. H. Kang, I. M. Chung, and K. H. Kim. 1999. Physiological response on saline tolerance between halophytes and glycophyt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8(1) : 61-65. 

  15. Lee, S. J., E. M. Jeong, A. Y. Ki, K. S. Oh, J. Kwon, J. H. Jeong, and N.J. Chung. 2016. Oxidative defense metabolites induced by salinity stress in roots of Salicornia herbacea. Journal of Plant Physiology. 206(2016) : 133-142. 

  16. McNeil, S. D., M. L. Nuccio, and A. D. Hanson. 1999. Betains and related osmoprotectants. Targets for metabolic engineering of stress resistance. Plant Physiol. 120 : 945-949. 

  17. Misra, N. and A. K.Gupta. 2005. Effect of salt stress on proline metabolism in two high yielding genotypes of green gram. Plant Sci. 169 : 331-339. 

  18. Nasir, F. A., M. Batarseh, A. H. Abdel-Ghani1, and A. Jiries. 2010. Free amino acids content in some halophytes under salinity stress in arid environment, Jordan. Clean-Soil, Air, Water. 38(7) : 592-600. 

  19.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2014. Analytical Methods of Food Crops and Enviroment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Suwon, Korea. pp. 78-86. 

  20. Osmond, C. B, O. Bjoerkman, and D. J. Anderson. 1980, Physiological processes in plant ecology. Ecological Studies 36. Springer-Verlag, Berlin. 468p. 

  21. Palmgren, M. G. 1990. An H+-ATPase assay : Proton pumping and ATPase activity determined simultaneously in the same sample. Plant Physiol. 94 : 882-886 

  22. RAI, V. K. 2002. Role of amino acids in plant responses to stresses. Biologia Plantarum. 45(4) : 481-487. 

  23. Rhodes, D. and A. D. Hamson. 1993. Quaternary ammonium and tertiary sulfonium compounds in higher plants. Ann.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44 : 357-384. 

  24. Rozentsvet, O. A., Nestrov, V. N., Bogdanova, E. S. 2017. Structur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Aspects of Salinity Tolerance of Halophytes. Russian Journal of Plant Physiology. 64(4) : 464-477. 

  25. Zhu, J. K. 2003. Regulation of ion homeostasis under salt stress. Curr. Opin. PlantBiol. 6 : 441-4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