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음식 통합 검색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세시음식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for the Construction of a Traditional Korean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1 no.2, 2008년, pp.243 - 255  

신승미 (청운대학교 호텔조리식당경영학과) ,  송태희 (배화여자대학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ffer basic data base on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for a traditional Korean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that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 Korean lunar calendar has seasonal divisions reflecting traditional Korean holidays. In the past, there were many cus...

주제어

참고문헌 (41)

  1. 김명자. 세시풍속의 순환의미, 한국민속학 16:53-76. 1983 

  2. 정완섭. 한국절식에 관한 역사적 배경과 실증적 연구. 관동대 논문집 제12집:91-109. 1984 

  3. Kang, MH. Korea Festival Custom, pp.15-16. Jibmundang. 1990 

  4. Yun, SS. Korean Food-history and Cookery, p82. Suhaksa. 1998 

  5. 염초애, 장명숙, 윤숙자. 한국음식, 효일문화사. 한국. 1992 

  6. 조후종. 조후종의 우리음식이야기, pp.32-60. 한림출판사. 2001 

  7. 이성우. 식생활사 문헌연구, 한국식경대전. 향문사, pp. 633-639. 1981 

  8. Kim, ES and Han, YI. A study on the foods of annual custom in Chungju area. Kor. J. Dietary Culture. 6: 257-264. 1991 

  9. Cheong, HS. A study on the annual custom foods in Kyungnam area and on their application the school food service. Kor. J. Dietary Culture. 17:225-239. 2002 

  10. Yoon, US. A study on the knowledge on the Korean festival foods. Kor. J. Soc. Food Sci. 11:48-52. 1995 

  11. Lyu, ES. Dietitians'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festival foods in the school food service in Busan area. Kor. J. Food Culture. 18:160-171. 2003 

  12. Yoon, SJ and Choi, EH.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housewives in Seoul area toward Korean traditional holiday foods. Kor. J. Food Culture. 20:152-171. 2005 

  13. 방신영.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장춘도서출판사. 한국. 1957 

  14. 한희순, 황혜성, 이혜랑. 이조궁정요리통고, 한국. 1957 

  15. Lee, SW, Kim, KJ and Lee, HG. A bibliographical study of Korean- food terms. Kor. J. Food & Nutr. 12:150-175. 1983 

  16. 강인희.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주식회사. 한국. 1987 

  17. 황혜성, 한복려, 한복선.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한국. 1991 

  18. 윤서석. 한국의 음식용어, 민음사. 한국. 1991 

  19. 윤서석. 한국음식, pp.5-16. 수학사. 한국. 1993 

  20. 서유구. 이효지, 조신호, 정낙원, 차경희 편역. 임원십육지 정조지, pp.357-368. 교문사. 한국. 2007 

  21. 한국문화재 보호재단. 한국음식대관 제 1권, pp.353-391. 예맥출판사. 한국. 1997 

  22. 황혜성. 조선왕조 궁중음식, pp.34-47. (사)궁중음식연구원. 한국. 1993 

  23. 한복선. 명절음식, 대원사. 한국. 1992 

  24. 강인희, 조후종, 신현희, 김진원, 윤숙자, 이말순, 이지호, 박혜원, 허채옥, 이춘자, 김귀영, 김명순. 한국의 상차림, pp.67-92. 효일문화사. 한국. 1999 

  25. 조후종. 세시풍속과 우리음식, 한림출판사. 한국. 2002 

  26. http://www.heritage.go.kr/tra/tra_pop_12.jsp(국가문화유산종합정보서비스) 

  27. 이성희. 전통 한국음식에 관한 연구 중(二)세시풍속에 따 른 절식에 관한 고창, 안성산업대학교 논문집 11권:441-462. 1979 

  28. 황혜성. 한국요리백과, p495. 삼중당. 한국. 1976 

  29. Seo, HK. A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of Korean rice cakes and their roles and meaning in the ceremony, Jeonju Univ., 1:212-228. 1983 

  30. Kim, SH, Chang, Mj, Cho, MS, Chung, H, OH, SY and Chang, YA. The culture aspect of the eating habits, Seoul, Shingwang publishing, Seoul, Korea. p214. 1998 

  31. Jang, W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Annual custom foods and a positive study on them, Kwandong Uni., 12:91-109. 1984 

  32. Lim, JJ. A study on customs of new year and seasonable food in our traditional life -centering around study of records- Wonkwang University nonmunjib 19:373-413. 1985 

  33. Lee, CS. The History of Korean Family Life. p251. Kyomunsa. 1995 

  34. Kim, HY and Hwang, CS. A comparative study on regional observing state of Korean holiday's traditional festival foods. Kor. J. Dietary Culture. 6:155-174. 1991 

  35. Seol, MY, Kim, ES and Han, YI. A study on the foods of annual custom in Chungju area. Kor. J. Dietary Culture. 6:257-264. 1991 

  36. Cho, DH. A study on the food of four seasons and festive day in old theme of Korea, Kongju Uni., Sanupgaebalyeonku. 5:35-44. 1997 

  37. Kim, JS.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temperence eating and seasonal eating of Korea tradition festive day - With perform Seoul and Kyunggi area university student, who specialize in food and nutrition-cooking, MS thesis. Kyunggi Uni., 2004 

  38. 윤덕인. 의례음식으로서의 떡에 관한 고찰 및 떡의 이용에 관한 실태 연구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관대논문집 15: 75-96. 1987 

  39. Im, YS. A study of foods for Korean festival days. Kor J. Dietary Culture. 1:361-370. 1986 

  40. Huh, SM and Han, JS.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for seasonally special days and dishes. J. of the East Asian Soc. of Dietary Life. 3:83-97. 1993 

  41. Cho, YS.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the seasonal food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