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음식 통합검색 시스템 구축을 위한 통과의례음식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Korean Rites Foods for the Construction of a Traditional Korean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1 no.3, 2008년, pp.344 - 354  

신승미 (청운대학교 호텔조리식당경영학과) ,  손정우 (배화여자대학 전통조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raditional ritual foods of Korea have developed with for many years, and differ by locality, family customs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In an efforts to establish the database on that addresses the difficult issue of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raditional Korean foods, we have conducted a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겪는 인생의 고비를 순조롭게 넘기기를 소망하는 의식과, 음식이 차려지는 전통적인 통과의례에 관한 문헌 조사3, "26)를 통하여 대표적인 통과의례를 분류하고, 각 의례에 따른 음식을 조리법에 따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세월의 흐름에 따라 잊혀져가는 통과의례음식에 관한 보전과 더불어 통과의례음식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 전통음식 통합검색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통과의례에 따른 의례음식을 한국전통음식의 분류 체계에 따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조사 연구되었다. 문헌을 통하여 한국의 통과의례란 인간이 태어나서 수명을 다할 때까지 거쳐야 하는 성장 단계 즉 출생, 백일, 돌, 책례, 관례 및 계례, 혼례, 수 연례, 회연례, 상례, 제례 등으로 분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im, MJ and Yoon, HY. Recogni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of the passage rites and foods-one hundredth birthday and the first birthday rites and wedding ceremony. Kor. J. Food Cookery Sci. 23:140-149. 2007 

  2. Arnord van Gennep, 전경수. 통과의례, 을유문화사. 서울. 한국. 2000 

  3. 이춘자, 김귀영, 박혜원. 통과의례음식, pp.22-24. 대원사. 서울. 한국. 2001 

  4. 일연 저?이민수 역.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서울. 한국. 2000 

  5. 김부식 저?이병도 역. 삼국사기, 을유문화사. 서울. 한국. 1996 

  6.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민속원. 서울. 한국. 1999 

  7. 염초애, 장명숙, 윤숙자. 한국음식, pp.35-40. 효일문화사. 서울. 한국. 1992 

  8. 조후종. 조후종의 우리음식이야기, pp.125-127. 한림출판사. 서울. 한국. 2001 

  9. 조후종, 윤숙자. 통과의례와 우리음식, pp.48-50. 한림출판사. 서울. 한국. 2002 

  10. 서울특별시문화재위원회. 서울민속대관 제4권, 서울. 한국. 1993 

  11. 이성우. 식생활사 문헌연구 한국식경대전, pp.633-639. 향문사. 서울. 한국. 1981 

  12. 이성우. 한국식생활사연구, pp.448-452. 향문사. 서울. 한국. 1986 

  13. 강인희, 이경복. 한국식생활풍속, pp.180-212. 삼영사. 서울. 한국. 1984 

  14. 윤서석. 우리나라 식생활문화의 역사, pp.429-467. 신광출판사. 서울. 한국. 2001 

  15. 강인희. 한국의 맛, pp.369-376.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한국. 1987 

  16. 이효지. 한국의 음식문화, pp.273-294. 신광출판사. 서울. 한국. 1998 

  17. 황혜성, 한복려, 한복선. 한국의 전통음식, pp.114-127. 교문사. 서울. 한국. 1991 

  18. 신승미, 손정우, 오미영, 송태희, 김동희, 안채경, 고정순, 이숙미, 조민오, 박금미, 김영숙. 우리 고유의 상차림, pp. 19-38. 교문사. 서울. 한국. 2005 

  19. 윤서석. 한국음식, pp.47-57. 수학사. 서울. 한국. 1993 

  20.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한국음식대관 제5권, pp.190-202. 한림출판사. 서울. 한국. 2001 

  21. 박계홍. 증보 한국민속학개론, 형설출판사. 서울. 한국. 1987 

  22. 한국문화재보호협회. 우리의 전통예절, 서울. 한국. 1999 

  23. 김춘동. 한국문화사대계IV,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서울. 한국. 1970 

  24. 보건사회부. 가정의례해설, 서울. 한국. 1969 

  25. 윤숙자. 한국의 혼례음식, pp.42-45. 지구문화사. 서울. 한국. 2002 

  26. 강인희, 조후종, 신현희, 김진원, 윤숙자, 이말순, 이지호, 박혜원, 허채옥, 이춘자, 김귀영, 김명순. 한국의 상차림, pp.67-92. 효일문화사. 서울. 한국. 1998 

  27. Shin, SM and Song, TH. A study on the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for the construction of a traditional Korean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Kor. J. Food & Nutr. 21: 243-255. 2008 

  28. Jang, AS. Rites food of Jeju island. The Kor. Folklore. 15: 163-176. 1982 

  29. Huh, SM and Han, JS. The study of the traditional rites. J.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6:411-423. 1996 

  30. Kang, IH. Korean rites food. Kor. J. Dietary Culture. 11: 541-545. 1996 

  31. Yoon, SK and Park, EN. The study of dietary culture in East coast area in Kyungpook province(II). Kor. J. Dietary Culture. 4:83-102. 1999 

  32. Yim, KL and Lee, SH. A survey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rice-cakes and the evaluation about their commercial products by housewives. Kor. J. Dietary Culture. 3:163-176. 1988 

  33. 방신영.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pp.310-312. 장충도서출판사. 서울. 한국. 1957 

  34. 이성우. 시의전서, 한국고식문헌집성 고조리서 IV, p1491. 수학사. 서울. 한국. 1992 

  35. Park, EM.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recognition on the food of paeback for the female living in Seoul. Master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 1993 

  36. 황혜성. 한국요리백과사전, p549. 삼중당. 서울. 한국. 1976 

  37. 방신영. 일일활용조선요리제법, pp.484-486. 도서출판 민속원. 서울. 한국. 1931 

  38. 한희순, 황혜성, 이혜경. 이조궁정요리통고, p6. 학총사. 서울. 한국. 1957 

  39. Yoon, SK. Dietary culture sacrificial rituals and foods in Andong area(I). Kor. J. Dietary Culture. 11:439-454.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