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이화학적 성질 및 침출특성의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Release Characteristics of Extruded Tissue Cultured Mountain Ginse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8, 2008년, pp.1018 - 1024  

한재윤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기화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류기형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양에 의해 생산된 산삼배양근을 홍삼화하여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새로운 식품소재의 개발을 목적으로 산삼배양근을 압출성형 하였다. 압출성형 산삼 배양근의 일반성분, 조사포닌, 말톨, 산성다당체, 페놀성화합물 등의 화학적 성분과 갈색도, 적색도, 침출특성의 물리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주근의 함량이 높은 홍삼이 총당과 환원당 함량은 산삼배양근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총당과 환원당은 증가하였다. 반면 미세근으로 이루어진 산삼배양근의 총아미노산 함량이 주근으로 이루어진 홍삼과 비교하여 높게 측정되었으며,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아미노산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효성분인 조사포닌 함량은 산삼배양근을 압출성형을 통하여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배럴온도 $120^{\circ}C$에서 압출성형한 산삼배양근이 9.60%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말톨은 홍삼에서만 확인되었으며, 산삼배양근의 경우 압출성형을 통해서도 말톨의 생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산성다당체는 산삼배양근($0.24\;{\mu}g/g$)이 가장 낮았지만 압출성형을 하였을 때 배럴온도 $120^{\circ}C$에서 $0.75\;{\mu}g/g$으로 홍삼의 $0.83\;{\mu}g/g$과 비슷한 수준까지 증가시킬 수 있었다. 페놀성화합물 함량은 압출성형을 통해 감소하였다. 산삼배양근의 갈색도와 적색도는 압출성형으로 증가하였으며, 배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갈색도를 기준으로 한 침출특성과 침출속도상수 역시 배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압출성형은 유효성분인 조사포닌 및 산성다당체 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침출력을 향상시켜주므로 향후 고가의 산삼배양근을 더욱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공정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release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A) and tissue cultured mountain ginseng (B) extruded tissue cultured mountain ginsengs at barrel temperatures 110 (C) and $120^{\circ}C$ (D) to produce tissue cultured mo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양에 의해 생산된 산삼배양근을 홍삼화하여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새로운 발효소재 또는 식품소재의 개발을 목적으로 산삼배양근을 압출성형하였으며, 이에 따른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일반성분, 조사 포닌, 말톨, 산성다당체, 페놀성화합물 등의 성분과 갈색도와 적색도, 침출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양에 의해 생산된 산삼배양근을 홍삼화하여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새로운 식품소재의 개발을 목적으로 산삼배양근을 압출성형 하였다.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일반성분, 조사포닌, 말톨, 산성다당체, 페놀성화합물 등의 화학적 성분과 갈색도, 적색도, 침출특성의 물리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삼이란 무엇인가? 산삼은 깊은 산중에서 자생하는 야생인삼으로 천종, 지종, 인종, 장뇌로 분류한다. 천종, 지종, 인종은 야생의 인삼으로 조류가 종자를 먹고 배설하여 자연적으로 배양되며, 장뇌삼은 산삼종자를 산속에 뿌려 야생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재배한 것으로, 주로 그늘지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란다(1).
산삼배양근의 생산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구체적으로 산삼의 효능을 열거하기는 불가능하므로 산삼배양근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산삼의 효능을 추측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3). 산삼배양근의 생산과정은 천연산삼으로부터 조직을 분리하여 세포괴(callus)를 유도한 다음, 세포괴에서 뿌리가 자라나도록 부정근을 유도하고, 뿌리 중에서 건실한 것을 선별하여 다양한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45일가량 배양하여 수확하고 있다. 대체로 인삼보다 사포닌 함량이 높고 인삼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약리성분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개발이 시도되고 있다(1).
산삼배양근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개발이 시도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산삼배양근의 생산과정은 천연산삼으로부터 조직을 분리하여 세포괴(callus)를 유도한 다음, 세포괴에서 뿌리가 자라나도록 부정근을 유도하고, 뿌리 중에서 건실한 것을 선별하여 다양한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45일가량 배양하여 수확하고 있다. 대체로 인삼보다 사포닌 함량이 높고 인삼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약리성분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개발이 시도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eong HS, Kang TS, Woo KS, Paek KY, Yu KW, Yang SJ. 2005. Effect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on the alcoholic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2: 402-410 

  2. Yoo BS, Chang MS, Byun SY. 2003. Characterization of cell cultures and ginsenoside production by cultured ginseng and wild mountain ginseng. Korean J Biotechnol Bioeng 18: 133-139 

  3. Hwang SY, Park SW, Park SJ, Han K. 2006. Therapeutic effect of tissue cultured root of mountain Panax ginseng C.A. Mayer against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induced toxicity in rat. Yakhak Hoeji 50: 220-227 

  4. Jeong CS, Chakrabarty D, Hahn EJ, Lee HL, Paek KY. 2005. Effects of oxygen, carbon dioxide and ethylene on growth and bioactive compound production in bioreactor culture of ginseng adventitious roots. Biochemical Engineering J ournal 27: 252-263 

  5. Yu KW, Murthy HN, Jeong CS, Hahn EJ, Paek KY. 2005. Organic germanium stimulates the growth of ginseng adventitious roots and ginsenoside production. Process Biochemistry 40: 2959-2961 

  6. Jeong HS, Kang TS, Woo KS, Peak KY, Yu KW. 2005. Effect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on the alcohol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2: 402-410 

  7. Harper JM. 1989. Food extruders and their application. In Extrusion Cooking. Mercier C, Linko P, Harper JM, eds. AACC, St. Paul, MN. p 1-18 

  8. Meuser F, Wiedmann W. 1989. Extrusion plant design. In Extrusion Cooking. Mercier C, Linko P, Harper JM, eds. AACC, St. Paul, MN. 91-155 

  9. Ha DC, Kim BS, Byun EH, Lee JW, Ryu GH. 2004. Optimization of extrusion process variables for red ginseng manufacturing. 71th Annual Conference in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0. Ha DC, Ryu GH. 2005. Chemical components of red, white and extruded root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47-254 

  11. Ryu GH, Remon JP. 2004. Extraction yield of extruded ginseng and granulation of its extracts by cold extrusionspheroniz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899-904 

  12. Kim BS, Ryu GH. 2005. Properties of extracts from extruded root and white ginseng at different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306-310 

  13. Dubois M, Giller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 Anal Chem 28: 350-352 

  14.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5. Doi E, Shibata D, Matoba T. 1981. Modified colorimetric ninhydrin methods for peptidase assay. Anal Biochem 118: 173-184 

  16. Namba T, Yoshizaki M, Tominmori, Kobashi K, Matsui K, Hase J. 1974. Fundamental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the crude drugs. III. Chemical and biochemical evaluation of ginseng and related crude drugs. Yakugaku Zasshi 94: 252-259 

  17. Ando T, Tanaka O, Shibata S. 1971. Chemical studies on the oriental plant drugs. (XXV) Comparative studies on the saponins and sapogenins of ginseng and related crude drugs. Soyakugaku Zasshi 25: 28-32 

  18. Han BH, Park MH, Woo LK, Woo WS, Han YN. 1979. Studies on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1]. Korean Biochem J 12: 33-40 

  19. AOAC. 198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USA 

  20. Bitter T, Muir HM. 1962. A modified uronic acid carbazole reaction. Anal Biochem 4: 330-334 

  21. Dische Z, Rothschild C. 1967. Two modifications of the carbazole reaction of hexuronic acids for the differentiation of polyuronides. Anal Biochem 21: 125-130 

  22. Chang DI, Chang KS. 2001. Development of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best quality red ginseng. Final Report of ARPC. p 170-178 

  23. Esteve MJ, Frigola A, Martorell L, Rodrigo C. 1999. Kinetics of green asparagus ascorbic acid heated at high-temperature themoresistometer. Z Lebem Unters Forsch 208: 144-147 

  24. Jang SA, Moon SK. 2005. Analysis of total sugar by extraction condition and material to develop the extraction process of ginseng polysaccharide. Korean J Food Preserv 12: 367-371 

  25. Hwang WI, Oh SK. 1984. A study on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lipid soluble ginseng extract and ginseng saponin derivatives against some cancer cells. Korean J Ginseng Sci 8: 153-166 

  26. Joo CN, Kwak HS. 1988.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antioxidant activity of $\alpha$ -tocopherol. Korean J Ginseng Sci 12: 128-134 

  27. Jee HK, Cho YJ, Kim CT, Jang YS, Kim CJ. 2006. Increase of solubility of ginseng radix by extrusion coo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61-368 

  28. Han BH, Park MH, Han YN, Suh DY. 1992. Chemical and biochemical study on non-saponin constituents of Korean ginseng. Korean J Ginseng Sci 16: 228-234 

  29. Okuda T, Yoshioka Y, Ikekawa T, Chihara G, Nishioka K. 1972.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antitumor polysaccharides. Nature: New Biol 238: 59-60 

  30. Kuhnau J. 1976. The flavonoids. A class of semiessential food components: their role in human nutrition. World Rev Nutr Diet 24: 117-191 

  31. Sahagun JF, Harper JM. 1980. Effect of screw restrictions on the performance of an autogenous extruder. J Food Proc Eng 3: 199-2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