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녹지 평가를 위한 경관지수의 스케일 민감성 분석
Analysis of Scale Sensitivity of Landscape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Urban Green Area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2, 2008년, pp.69 - 79  

이인성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윤은주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관지수는 면적 및 밀도, 모양, 중심지, 고립 및 접근, 접촉 및 산포, 연결성 등 경관생태의 공간적 구조와 패턴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현재 100개 이상의 경관지수가 개발되어 많은 연구들에 이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경관지수는 공간해상도 및 분석범위 등 분석 스케일에 따라 다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서 오류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경관지수의 스케일 민감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복잡한 경관생태에서 비교적 안정적 결과를 도출하는 지수들을 선별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5개 연도 - 1985, 1991, 1996, 2000 및 2003년 - Landsat TM/ETM+ 영상을 이용하여 20 범주의 셀 크기와 41 범주의 분석범위에 대해 FRAGSTATS에 탑재된 54개 클래스 수준 지수의 민감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4개 클래스 수준 지수 중 19개 지수가 스케일 변화에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편화 정도가 지수의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며, 녹지비율 $40{\sim}50%$를 기준으로 지수반응 패턴이 변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셋째, 국내 관련연구에서 빈번히 이용된 16개 지수 중 6개만이 우리나라의 복잡한 경관생태에서 안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단편화 정도 및 녹지비율에 따라 세심한 지수 선정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scape indices are effective tools to explain the spatial structure and patterns of ecological landscape including area/density, shape, core area, isolation/proximity, contagion/interspersion, and connectivity. More than 100 ind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n increasing amount of research expl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스케일 변화를 해상도와 대상지 범위 등 두 가지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지수 민감성을 분석하였다. 단편화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클래스 수준 지수 총 54개를 분석한 결과 8개 범주 19개 지수를 스케일에 안정적인 지수로 선정하였다.
  •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관지수 중 피복유형이 복잡한 지역의 녹지평가에 좀 더 안정적인 지수를 구별해볼 필요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스케일 민감성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대도시 녹지구조에 맞는 경관지수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해상도와 대상지 범위 등 스케일 변화에 안정적인 지수를 선별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서울처럼 단편화가 심해 복잡한 공간분포 패턴을 가진 지역의 분석에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이는 지수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간분포 패턴과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클래스 수준 지수2)를 대상으로 단편화 정도에 따른 지수 민감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국토연구원(2003) GIS 기반 공간분석방법론 개발 연구 

  2. 김현옥(1999) 도시산림 분석을 위한 인공위성 영상자료의 분류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훈희, 심우경, 이진희(1999) 도농통합지역의 녹지환경정비모델에 관한 연구 2 - 천안의 녹지구조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26(4): 105-112 

  4. 박경훈, 정성관, 이현택, 오정학, 김경태(2004) 금호강 유역 산림의 경관생태적 패턴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3): 22-34 

  5. 박소윤(2003) GIS를 활용한 산림생태계 평가에 있어 경관지수 기법의 적용방안.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손학기, 김원주, 박종화(2000) GIS 공간유형분석 모형을 이용한 경관 규모 생태계의 평가기법. 한국GIS 학회지 8(2): 233-241 

  7. 안동만, 김명수(1996) 도시공원의 경관생태학적 분석 - 패취의 형태지수와 분산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3(4): 12-19 

  8. 안동만, 김명수(2003) 환경친화적인 도시공원녹지계획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1): 34-41 

  9. 오정학, 박경훈, 정성관, 이종원(2005) 경관 메트릭스를 이용한 금호강 유역 산림경관의 시.공간적 변화탐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 81-94 

  10. 오충원(2002) 가변적 공간 단위의 문제를 고려한 지가 변동의 시공간 분석. 한국GIS학회지 10(2): 185-199 

  11. 이상우(2003) 최근 미국 조경생태학의 새로운 연구동향과 전망 (1) : 지리생태학적 접근방법의 대두. 환경과 조경 2003년 2월호 

  12. 이상우, 윤은주, 이인성(2004) 경관생태지수 사용에 대한 고려사항과 문제점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32(5): 73-83 

  13. 이응경(1998) Trend of forest fragmentation in the lower region of the Han River basin.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성관, 박경훈, 오정학(2002b) 낙동강 유역의 선형개발사업이 산림 단편화에 미치는 영향. 환경영향평가 11(3): 117-127 

  15. 정성관, 오정학, 박경훈(2002a)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경산시의 경관구조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3): 9-18 

  16. 정성관, 오정학, 박경훈(2003) 도시경관계획수립을 위한 경관파편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 11-20 

  17. 정종철(1999) 식생지수에 의한 경관파편화의 해석기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 :16-22 

  18. 최원영, 정성관, 박경훈, 오정학, 유주한, 김경태(2005) 대구광역도시권의 시.공간적 경관구조 변화패턴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 175-185 

  19. Antrop, M. and V. V. Eetvelde(2000) Holistic aspects of suburban landscapes: visual image interpretation and landscape metric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0: 43-58 

  20. Cain, D. H., K. Riitters and K. Orvis(1997) A multi-scale analysis of landscape statistics. Landscape Ecology 12: 199-212 

  21. Elkie, P., R. Rempel and A. Carr(1999) Patch analyst user's manual(NWST Technology Manual TM-002). Ontario 

  22. Frohn, R. C.(1998) Remote sensing for landscape ecology: New metric indicators for monitoring, modeling, and assessment of ecosystem. Lewis Publishers, New York, NY 

  23. Frohn, R. C., K. C. McGwire, V. H. Dale and J. E. Estes(1996)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analysis to evaluate a socio-economic and ecological model of deforestation in Rondonia, Brazil.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7(16): 3233-3255 

  24. Frohn, R. C. and Y. Hao(2006) Landscape metric performance in analyzing two decades of deforestation in the Amazon Basin of Rondonia, Brazil.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0: 237 - 251 

  25. Gardner, R. H.(1999) RULE: map generation and a spatial analysis program. In: Klopatek J. M., Gardner R. H. (Eds.),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Issues and applications. Springer, New York 

  26. Griffith, J. A., E. A. Martinko and K. P. Price(2000) Landscape structure analysis of Kansas at three scal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3 : 45-61 

  27. Hargis, C. D., J. A. Bissonette and D. L. Turner(1998) The influence of forest fragmentation and landscape pattern on American Martens. Journal of Applied Ecology 36: 157-172 

  28. Li, H. and J. Wu(2004) Use and misuse of landscape indices. Landscape Ecology 19: 389-399 

  29. Li, X., H. S. He, R. Bu, Q. Wen, Y. Chang, Y. Hu and Y. Li(2005) The adequacy of different landscape metrics for various landscape patterns. Pattern Recognition 38: 2626-2638. 

  30. Mcgarigal, K. and B. Marks(1995)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General Technical Report PNW-GTR-351, USDA,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31. McGarigal, K.(2002) Landscape pattern metrics. Encyclopedia of environmentrics Vol. 2: 1135-1142. John Wiley & Sons, Sussex, England 

  32. Openshaw, S. and P. J. Taylor, 1981,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In: Quantitative geography: A British view. Edited by N. Wrigley and R. Bennett. Routledge and Kegan Paul, London 

  33. Mladenoff, D. J. and B. DeZonia(2001) APACK 2.22. Software User's Guide. Department of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Madison, WI.,Available online at: http://land scape. forest.wisc.edu/projects/ APACK/apack. html. 

  34. Morrison M.A. and HallOpenshaw., S., A 1977, geographic solution to scale and aggregation problems in region building, partitioning and spatial modeling.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Transactions 2. pp.459-472 

  35. Openshaw, S.(1977) 'A geographical solution to scale and aggregation problems in region-building, partitioning and spatial modeling'.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New Series 2, pp. 459-472 

  36. Openshaw, S. and P. J. Taylor(1981),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In: Quantitative geography: A British view. pp. 60-69. Edited by N. Wrigley and R. Bennett. Routledge and Kegan Paul, London 

  37. Ricotta, C., P. Corona and M. Marchetti(2003) Beware of contag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2: 173-177 

  38. Saura, S. and J. Martinez-Millan(2000) Landscape patterns simulation with a modified random clusters method. Landscape Ecology 15(7): 661-78 

  39. Saura, S.(2002) Effects of minimum mapping unit on land cover spatial configuration and compos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3(22): 4853-4880 

  40. Saura, S.(2004) Effects of remote sensor spatial resolution and data aggregation on selected fragmentation indices. Landscape Ecology 19: 197-209 

  41. Shen, W., G. D. Jenerette, J. Wu and R. H. Gardner(2004) Evaluating empirical scaling relations of pattern metrics with simulated landscapes. ECOGRAPHY 27: 459-469 

  42. Turner, M. G., R. H. Gardner and R. V. O'Neill(2001) Landscape ecology in theory and practice: Pattern and process. Springer, New York, NY 

  43. Wu, J.(2004) Effects of changing scale on landscape pattern analysis: Scaling relations. Landscape Ecology 19: 125-138 

  44. Wu, J., D. E. Jelinsk, M. Luck and P. T. Tueller(2000) Multiscale analysis of landscape heterogeneity: Scale variance and pattern metrics.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s 6(1): 6-19 

  45. Wu, J., W. Shen, W. Sun and P. T. Tueller(2002) Empirical pattern of the effects of changing scale on landscape metrics. Landscape Ecology 17: 761-7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