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지수를 활용한 식생군락 모자이크화 분석법
Development of an Approach for Analysing Vegetation Community Mosaic Using Landscape Metrics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7 no.1, 2017년, pp.161 - 178  

이상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정종철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국토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산림지역에 대한 개발과 이용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개발사업의 허가는 산림생태계의 보전보다는 국토 이용 중심의 평가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규모 산림지역을 평가할 경우 산림의 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기 때문에 산림 내부의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식생군락의 현존식생도와 FRAGSTATS 4.2를 이용하여 경관지수를 산출하고 식생 모자이크를 분석해 보았다. 식생 군락은 주요 자생 수종을 중심으로 대표군락과 세부군락으로 구분하였고, 군락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분포면적(CA), 분포면적비율(PLAND), 패치개수(NP) 등의 10가지 경관지수가 선택되었다. 충청남도 식생의 대표군락과 세부군락은 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및 소나무와 참나무류 수종의 조합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소나무군락의 면적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군락과 참나무류군락의 경쟁의 경우, 대표군락의 경우 소나무군락이 전체 분포면적은 3배 가량 넓으나 작은 패치로 나뉘어져 모자이크화 정도는 참나무류 군락이 작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세부군락의 경우에는 소나무 중심의 군락에서는 소나무-신갈나무군락이, 상수리나무 중심 군락에서는 상수리나무군락이, 굴참나무 중심의 군락에서는 굴참나무-소나무군락이, 신갈나무 중심의 군락에서는 신갈나무군락이, 곰솔 중심의 군락에서는 곰솔군락이, 졸참나무 중심의 군락에서는 졸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이 넓은 분포면적과 동시에 모자이크화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모자이크화 양상은 수치로 표현될 수 있어 모니터링 단계에서 문제가 있는 식생군락을 판별할 때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자이크화의 원인과 천이의 방향성 예측을 통한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각 군락의 생태적인 특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reas the demand for development of forested areas covering more than 60% of Korean territory, permission on the forest development has been still given from the perspective of effective land utilization rather than conservation. As the assessment of large forested areas usually focuses more on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McGarigal and Marks 1995)는 경관분석을 위해서 가장 널리 쓰이는 프로그램으로서, 광역적 공간규모의 경관요소들에 대한 구조적 패턴 및 변화양상을 분석하는데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Heo 2007; Lee 2007; Kupfer 2012).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충청남도 지역을 대상으로 현존식생도에서 구분 하고 있는 식생군락 단위를 기준으로 다양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식생군락의 모자이크 현상을 수치화하고 경관수준에서의 분석을 실험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지역에 대해 세밀하고 신중한 접근법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산림 내부는 다양한 물리적인 환경요소와 더불어 우리가 미처 파악하지 못한 생물들도 포함한 더욱 다양한 생명 체들이 서식을 하는 공간이므로, 산림지역을 장기적으로 건강하게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좀 더 세밀하고 신중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산림의 생태학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식생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산림경관이란 무엇인가? 산림경관이란 산림지역 내에서 식생과 물리환경 및 인간의 영향이 결합되어 시간과 공간에 따라 반영된 식생의 모자이크라고 할 수 있다(Kang and Kim 2010). 식생 모자이크의 기본 단위를 구분하는 기준은 연구 목적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으나, 보통 우점하고 있는 상층 수종을 중심으로 한 산림구조와 관련된 요인과 산정에서 계곡에 이르는 지형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외형적인 차이의 식별이 명확한 것들을 기준으로 삼는다(Heo et al.
충청남도 행정구역의 식생 분포는 어떠한가? 충청남도 행정 구역 면적은 약 820,000 ha이고, 그 중 산림면적은 약 463,000 ha이며, 국토의 중서부에 위치하고 있다. 해발 고도가 1,000 m가 넘는 지역이 없고 대체로 평지에 가까운 지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온대 중부지방의 소나무와 참나무류를 중심으로 한 주요 식생이 두루 분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행정구역 내에 있는 산림지역 전체를 분석 대상지로 설정하였다(Figure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ang MH. 2016.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decline using GIS and spatial statistical method: the cas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2(2): 424-438. 

  2. Choi J, Lee S, Ji SY, Jeong JC, Lee, PS. 2016. Landscape analysis to assess the impact of development projects on forests. Sustainability. 8: 1012 (doi:10.3390/su8101012). 

  3. Choi WY, Jung SG, Oh JH, Yoo JH. 2005.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is of landscape changes in Daegu metropolitan sphere using landscape indices & ecosystem service valu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4): 102-113. 

  4. Heo SG, Kim KS, Ahn JH, Yoon JS, Lim KJ, Choi JD, Shin YC, Lyou CW. 2006.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mpacts of forest fragmentation at Doam-dam watershed using GIS-based model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4): 1-13. 

  5. Heo SG, Kim KS, Ahn JH, Yoon JS, Lim KJ, Choi JD, Shin YC, Lyou CW. 2007. Landscape analysis of the forest fragmentations at Doam-dam watershed using the FRAGSTATS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 10-21. 

  6. Hong SH, Kim SI. 2016. Policy case study for urban waterfront regeneration - Focused on Han River management foundation plan and London Thames gateway regeneration projec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8): 479-485. 

  7. Hong SK, Kim JE. 2008. Apply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nd landscape indices to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of maritime villages in Korea - Case studies on fishery villages in Tae-An penninsula, Chungnam.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31: 281-299. 

  8. Ji SY., Choi J, Lee S, Lee PS. 2016. Prediction of fragmentation impact range of forest development analyzing the pattern of landscape index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9(2): 109-119. 

  9. Jung SG, Oh JH, Park KH. 2002. The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due to the landcover change - case study in Kyongs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5(3): 9-18. 

  10. Jung SG, Oh JH, Park KH. 2005. A temporal structur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patterns using landscape indic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2): 143-154. 

  11. Kang MH, Kim SI. 2010. Develop0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forest landscape classific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6): 777-784. 

  12. Kim HS, Lee SM, Song HK. 2011. Actual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ecological success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1): 37-46. 

  13. Kim KS. 2014. A study on the regeneration policies of an old industrial area in metropolis: a case of Sasang industri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4): 144-155. 

  14. Korea Forest Service.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Vol 46. Korea Forest Service, Daejeon-si, Republic of Korea. p.414. 

  15. Kupfer JA. 2012. Landscape ecology and biogeography: Rethinking landscape metrics in a post-FRAGSTATS landscape.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36(3): 400-420. 

  16. Kwon OS, Ra JH, Cho HJ, Ku JN, Kim JH. 2016. Ecosystem service analysis of urban forests for flood prevent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 69-79. 

  17. Lee SB. 2007. Research on landscape ecology approach for analyzing an ecological axis.,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 Research report - 2007 RE17. p.138. 

  18. McGarigal K, Marks B. 1995.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Ver. 2.0. General Technical Report,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Portland, Oregon. p.122. 

  19. Shin HS, Shin JK, Kim HJ, Han SH, Lee WH, Yun CW. 2014.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ructure for forest vegetation on Manisan, Ganhwado.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1): 11-21. 

  20. Suh EC, Kim YP. 2010. A time-series analysis of forest patch change difference by green trace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indice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4(2): 93-98. 

  21. Ryu JE, Kang JH, Lee DK. 2011. Assessment of diversity of forest strucvture in Gunja-dong, Sihueng city,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1): 23-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