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건설 산업 생산성의 국제경쟁력 분석
An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Productivity i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원문보기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9 no.4 = no.44, 2008년, pp.75 - 83  

원종성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  이강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2003년 이전 국내 건설 국제경쟁력 비교연구에서 우리나라 건설 생산성이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2003년 이후 우리나라 해외 건설수주 물량도 매년 크게 늘고 있으며, Petronas Tower, Burj Dubai와 같은 세계 최고층 건물을 수주, 건설하는 등 양적 질적으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 건설생산성의 현주소를 재평가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해외선진국과의 건설생산성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국내 통계자료와 외국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노동자 1인 기준 단위시간동안 생산하는 총 공사액을 분석하여 각 국의 건설노동생산성을 측정하고 한국과 일본의 완공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층당 소요되는 공사일수와 건축물의 지하층비율을 분석하여 시공경쟁력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건설생산성이 아직 건설 선진국인 미국이나 일본보다는 뒤쳐져 있으나 영국보다는 앞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vious comparative studie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conducted before 2003, Korean construction productivity had been estimated to be lower (or poor) than that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 UK, and Japan. However, the amount of international contracts Korean has won increased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지하층수가 많을수록 전체 공사 기간은 증가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의 층당소요공사일수 분석과정에서 지하층비율을 추가하였다.
  • 따라서 건설산업에서 부가가치의 폭을 향상 시킬 수 있다면,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건설노동생산성 향상 방안으로 두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 시기 우리나라의 건설생산성이 다른 건설 산업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는 1994년 이후 최근까지의 자료를 분석하여 그동안의 국내 건설업의 국제경쟁력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 2000).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미국, 영국 4개국의 통계청과 OECD의 통계자료 중 건설 노무, 물가, 환율 관련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최근 10여 년간 미국, 일본, 영국, 한국 4개국의 노동생산성 의 변화 추이를 조사 . 분석하였다.
  • 본 장에서는 서언한 바와 같이 건설시장규모, 건설 노동생산성, 층당소요공사일수의 세 가지 측면에서 해외건설선진국과의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 건설업의 생산성 국제경쟁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 비록 건설 산업이 노동집약적인 산업이라 평가되기는 하나, 자본이나 기술력을 무시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층당소요공사일수를 분석 . 비교하여 건설노동생산성 비교만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 우리나라 건설업의 생산성 국제경쟁력을 분석하기에 앞서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생산성의 개념을 정리하고, 각국의 노동생산성을 비교하기에 적합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우리나라 건설업의 생산성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미국, 일본, 영국 4개국의 토지가격 수준을 같다고 가정하고, 산출요소로써 총공사액을 이용하여 건설 노동생산성을 분석하였다. 추후에는 토지가격을 반영한 건설 생산성 비교연구, 나아가 Big Mac지수와 같이 단순하면서도 객관적으로 각 국가별 건설생산성을 비교할 수 있는 지표에 관한 연구 등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권오현?변재현?한국건설산업연구원(1999).' 건설업 총요소 생산성에 관한 연구.'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07.11) 

  2. 김예상?한미파슨스(2003). 미국 건설 산업 왜 강한가, 1판, 보성각, 서울, pp.76-98 

  3. 롯데건설(2007),' 프로젝트' (2007) 

  4. 미국통계청(Bereau of Economic Analysis 2007). 'National Statistics.' (2007.05.23) 

  5. 박영사(2002),' 경제학사전.'박영사 (2007.07.23) 

  6. 삼성건설(2007),' 프로젝트' (2007) 

  7. 삼환건설(2007),' 프로젝트' (2007) 

  8. 신건축사(2004-2007). 신건축(新建築), 신건축사, 동경 

  9. 신동우(2003). 건설경쟁력 향상을 위한 CM 제도의 개선, International Seminar of AIK, p.200 

  10. 영국통계청(National Ststistics 2007). (2007.05.24) 

  11. 원종성.이강(2007). '전문건설업체 노동생산성에 기초한 우리나라 건설시공능력 평가'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27권, 제1호, 대한건축학회, pp.705-708 

  12. 일본통계청(Statistics Bureau 2007). (2007.05.29) 

  13. 정인환.손창백.김동성.손정락.신현식(1995). '아파트 공사의 공법별 노동생산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1권. 제6호, 대한건축학회, pp.153-160 

  14. 조하현(2004). 거시경제이론, 2판, 세경사, 서울, pp.381-383 

  15. 최민수.김재영.김무한(1995)' 한국 건설생산성의 계측 및 분석.'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5권, 제2호, 대한건축학회, pp.659-666 

  16. 통계청(2007).' 국내통계.'국가통계포털, (2007.05.16) 

  17. 한미파슨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세종대학교(2004). 국내 건설사업의 공사기간, 공사비, 생산성 분야 국제경쟁력 연구, 1판, 건설교통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한국, pp.17-30, pp.124-254 

  18. 한국노동연구원(2007),' 노동생산성의 분류.' (2007.07.15) 

  19. 한국생산성본부(1997).' 생산성에 대한 기본적 이해' 한국생산성본부, (2007.07.11) 

  20. 해외건설협회(2007),' 해외건설 총괄 계약현황.' (2007.11.26) 

  21. Eric Allmon, Carl T. Haas, John D. Borcherding, and Paul M. Goodrum(2000). U.S.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Trends, 1970-1998,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pp.97-104 

  22. Global Insjght(2006), 'construction market' (2007) 

  23.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s and Development 경제협력개발기구 2007), '절대구매력평가수.' (2007.05.23) 

  24. U.S. Census Bureau (2007) 'Total Construction' (2008.1.28) 

  25. SK건설(2007), '프로젝트' (2007) 

  26. UK Trade & Investment(2006) Construction statistics annual report 2006, UK Trade & Investment, UK, pp.1-2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