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공사 현장의 생산성 저하요인 인과관계 구조분석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Factors Lowering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Job Site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1 no.1, 2020년, pp.99 - 110  

정윤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과) ,  김동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과) ,  홍민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과) ,  장현승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산성은 산업차원, 혹은 기업차원에서 경제성장과 각 관련 생산 활동의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서 건설 산업에서도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기술적인 요인이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지만, 실제적인 건설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생산성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지는 건설 산업 차원에서의 생산성 향상 노력보다는 프로젝트 차원에서의 생산성 향상 노력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생산성 향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 과정이 필요하며 개선효과가 큰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건설 산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 건축공사 현장에서의 생산성 저하요인 도출 및 요인 간의 인과관계 구조분석을 통해 우선적 관리 요인을 선정함으로써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생산성 관리 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ductivity is also a very important indicato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it can measure economic growth and the efficiency of each related production activity, either at the industrial level or at the corporate level. Technical factors indeed have a great impact on productivity, but in order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건설 산업에서의 생산성은 산업의 특성에 따라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그 관계가 복잡하고, 따라서 프로젝트의 생산성 저하 요인 간의 관계는 더욱 복잡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요인들에 대한 인과관계 구조화를 통해 생산성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공사 현장의 생산성 저하요인 간의 인과관계 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건축공사 현장의 생산성 저하요인에 대해 인과 관계 구조분석을 수행하여 우선적 관리요인을 선정하고, 해당 요인들의 개선을 통하여 생산성 저하를 방지하고, 궁극적으로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한 현장관리 방안 수립 시 활용 가능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다.
  • , 2011). 본 연구는 앞서 기술한 것과 같이 국내 건축공사 현장에서의 생산성 저하문제를 유발하는 요인 간의 복잡한 관계를 구조분석하고 우선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건축공사 현장에서의 생산성 저하문제는 해당 요인이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고, 그 요인이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구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정량적인 데이터가 없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젝트 차원에서의 생산성에 중점을 두어 국내 건축공사 현장 대상으로 저하요인을 도출하고, 문제의 구조화 연구 방법인 DEMATEL 기법을 활용하여 요인간 인과관계에 대한 구조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을 위해 우선적 관리 요인을 도출하고 관련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건설 산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 프로젝트 차원에서의 생산성 저하 문제를 구조화하고 우선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요인을 선정하여 관련 시사점 제시를 통해 기업이 생산성 관리 방안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 현장 안전관리 활동이 미흡하여 결과적으로 현장 내 크고 작은 안전재해 발생으로 인해 프로젝트 인력공백, 공지지연, 사기저하 등 문제점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안전 보호구 착용 및 점검 미흡, 안전관리자 역량 및 인원 부족, 안전 시설물 설치 미흡’ 등의 의미를 통합하고 최종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생산성 저하요인은 ‘프로젝트 투입 자원이 프로젝트 초기 계획 대비 비효율적인 활용의 원인이 되는 요인’으로 정의하였다. 단, 공사계약 체결을 위해 예산 및 공기가 무리하게 산정된 경우가 아니라 충분히 타당하게 적정 공사비와 기간이 책정된 것으로 가정하였다(Jung, 20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의 구조화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문제의 구조화란 특정 문제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그것을 기초로 문제의 핵심과 관련된 요인 간의 관계를 모델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Park et al., 2011).
생산성의 정의는 무엇인가? 이처럼 생산성의 정의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활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생산성은 어떠한 생산체계를 통해 생산된 산출량(Outputs)과 일정기간 동안 그 생산물(Products)을 생산하기 위해 투입된 자원량(Inputs)의 비율로 정의할 수 있다 (Kim, 1994).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산업차원에서의 생산성 향상 노력보다는 프로젝트 차원에서의 생산성 향상 노력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존 건설 프로젝트 차원에서의 생산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는 단순히 요인의 영향 정도나 중요도를 도출 및 분석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건설 산업에서의 생산성은,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단일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산업의 특성 때문에, 프로젝트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으며, 이 때문에 생산성 영향 요인 간의 관계는 더욱 복잡성을 띌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rditi, D. (1985). "Construction Productivity Improvemen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11(1), pp. 1-14. 

  2. Arditi, D., and Mochtar, K. (1996). "Productivity improvement in the Indonesian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14(1), pp. 13-24. 

  3. Chaturvedi, S., Jitesh, J.T., and Shankar, R. (2018). "Labor productivi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 evaluation framework for causal relationships." Benchmarking: An International Journal, 25(1), pp. 334-356. 

  4. Durdyev, S., Ismail, S., and Kandymov, N. (2018).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factors Affecting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44(4), 04018007. 

  5. Gurmu, A.T. (2019). "Tools for Measuring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Practices and Predicting Labor Productivity in Multistory Building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45(2), 04018139. 

  6. Gurmu, A.T., and Aibinu, A.A. (2017). "Construction Equipment Management Practices for Improving Labor Productivity in Multistory Building Construc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43(10), 04017081. 

  7. HANMIPARSONS & Construction and Economy Research Insitute of Korea (CERIK). (2004). "Pilot Study in Korea Construction Performance Benchmarking."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R&D Report. 

  8. Hasan, A., Baroudi, B., Elmualim, A., and Rameezdeen, R. (2018). "Factors affect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a 30 year systematic review."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Management, 25(7), pp. 916-937. 

  9. Heravi, G., and Eslamdoost, E. (2015). "Apply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Mesuring and Predicting Construction-Labor Productivit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41(10), 04015032. 

  10. Huh, S.M., and Kim, W.J. (2019). "Development of Integrated PMO Framework to Meet Software Product Implementation and Software Proces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7(2), pp. 117-131. 

  11. Jeon, W.G., Lee, S.W., and Kim, J.J. (2017). "Productivity Obstacle Factors Analysis For Overseas Chemical Plant Utilizing the Revised IPA."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8(1) pp. 17-26. 

  12. Jung, Y.H. (2019). "A Study on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Analysisof the Factors Lowering Productivity in Building Construction."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13. Kim, D.Y., Kim, H.R., and Jang, H.S. (2018). "An Analysis of the Casual Relations on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level Competenc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34(3), pp. 77-86. 

  14. Kim, G.C. (2018). "A Study on the Casual Relations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Competency Using DEMATEL Method."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15. Kim, S.T., Kim, Y.S., and Jin, S.Y. (2004).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the Weather Elements in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for the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5(6), pp. 80-89. 

  16. Kim, Y.S. (1994).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0(10), pp. 267-272. 

  17.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17). "Development of Productivity Improvement Platform for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K-CPIP)." KICT Research Report, 2017-12. 

  18. LEE, J.H. (2018). "(The) current state of electronic commerce and its utilization in North Korea :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e field." MS Thesis, Chung-ang Univ., Seoul. 

  19. Marttunmen, M., Lienert, J., and Belton, V. (2017). "Structuring problems for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in Practice: A Literature Review of Method Combination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3(1), pp. 1-17. 

  20. McKinsey & Company. (2017). "Reinventing Construction: A Route to Higher Productivity." Research report. 

  21. Noh, D.J. (2004). "A Study on the Forecasting of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with KJ Method." The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Sangmyung University 19, pp. 1-17. 

  22. Oh, C.D. (2014). "The Development of Work Motivation Assessment Modelfor Skilled Construction Workers." Ph.D. Dissertation, Chung-ang Univ., Seoul. 

  23. Park, S.H., Soda, O., and Choi, S.Y. (2011). "A Structured Analysis of Urban Decay Problems by DEMATEL -Focused on Nisikawaguchi Area of Saitama Prefecture, Japan-" Korea Real Estate academy Review, 46, pp. 321-337. 

  24. Rajesh, A., Nikhil, D., and Vivek, S. (2013). "Interpretive Structural Modelling(ISM) approach: An Overview."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Sciences, 2(2), pp. 3-8. 

  25. Seo, Y.G. (2010).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Factors Lowering Productivity on Productivity Performance in Construction Industry -in terms of the Perspective between Owner and General Contractor-" MS Thesis, Soongsil Univ., Seoul. 

  26. Shashank, K., Hazra, S., and Pal K.N. (2014). "Analysis of key factors affecting the variation of labour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y and Advanced Engineering, 4(5), pp. 152-160. 

  27. Shin, D.S. (2008). "A critical review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women based on gender differences."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75(2),pp. 61-91. 

  28. Shin, H.B., and Kim, T.K. (2008). "A Study on the Selection of Usability Attributes using DEMATEL Method." Journal of Digital Design, 8(2), pp. 321-330. 

  29. Son, C.B., and Lee, D.C. (2002). "An Analysis on the Factors Decreasing Productivity of Build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8(12), pp. 125-132. 

  30. Tam, N.V., Huong, N.L., and Ngoc, N.B. (2018). "FACTORS AFFECTING LABOUR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WORKER ON CONSTRUCTION SITE: A CASE OF HANOI."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Civil Engineering, 12(5), pp. 127-138. 

  31. Yoo, H.K. (2013).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Labor-Productivit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S Thesis, Han-yang Univ.,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