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해안 중부에 위치한 광양만 조간대의 해조상과 군집
Composition of Marine Algal Community at the Intertidal Zone in Gwangyang Bay, South Sea,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41 no.3, 2008년, pp.201 - 207  

최창근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  허성회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asonal variation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marine algal community were investigated using the quadrat method from February 2006 to January 2007 at 10 sites in Gwangyang Bay, Korea. In total, 48 red, 17 brown, and 13 green algal taxa were identified. The algal vertical distribution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였다. 또한 광양제철소와 인근 여천산업단지의 건설 등 인위적인 환경변화가 광양만 해안에 생육하는 해조류의 시, 공간적인 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과거와 현재의 해조식생을 비교 검토하고 차후 이 지역 해조 군집과의 비교를 위한 기초 자료를 축적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이 연구는 조간대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해조상, 수직분포, 군락분석을 통해 광양만 해조류의 특성을 밝히고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광양제철소와 인근 여천산업단지의 건설 등 인위적인 환경변화가 광양만 해안에 생육하는 해조류의 시, 공간적인 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과거와 현재의 해조식생을 비교 검토하고 차후 이 지역 해조 군집과의 비교를 위한 기초 자료를 축적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eney, D.P. 1977. R & C/P: 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J. Phycol., 13S, 129 

  2. Choi, C.G., S.N. Kwak and C.H. Sohn. 2006.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rine algae at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21, 463-470 

  3. Choi, D.S. 1992. On the state of marine algal resources in the west-southern coast of Korea. Bull. Inst. Litt. Environ., 9, 81-103 

  4. Doty, M.S. 1957. Rocky intertidal surfaces. Geol. Soc. Am. Mem., 67, 535-585 

  5. Dring, M.J. 1982. The Biology of Marine Plants. Edward Arnold Press. London, UK 

  6. Feldmann, J. 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iditerranee. La cote des Alberes. Rev. Algol., 10, 1-339 

  7. Huh, S.H., S.N. Kwak and K.W. Nam. 1998. Seasonal variations of eelgrass (Zostera marina) and epiphytic algae in eelgrass beds in Kwangyang Bay. J. Kor. Fish. Soc., 31, 56-62 

  8.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7, 1-125 

  9. Kang, J.W. 196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8, Marine Algae. Samhwa Press, Seoul, Korea 

  10. Kim, K.Y., S.H. Huh and G.H. Kim. 1996. Diversity and abundance of sublittoral macroalgae around Deado island, the south coast of Korea. Algae, 11, 171-177 

  11. Koh, N.P. 1990. An ecological study on resources of marine plants in Geomundo islands. Kor. J. Phycol., 5, 1-37 

  12. Lee, I.K. and J.W. Kang. 1986. A check list of marine algae in Korea. Kor. J. Phycol., 1, 311-325 

  13. Lee, I.K. and Y.H. Kim. 1977. A study on the marine algae in the Kwang Yang Bay. 3. The marine algal flora. Proc. Coll. Nat. Sci., Seoul Nat. Univ., 2, 113-153 

  14. Lee, I.K., Y.H. Kim, J.H. Lee and S.W. Hong. 1975. A study on the marine algae in the Kwang Yang Bay. 1. The seasonal variation of algal community. Kor. J. Bot., 18, 109-121 

  15. Lee, Y.P. and S.Y. Kang. 2001.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Ch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Cheju, Korea 

  16. Round, F.E. 1981. The Ecology of Alg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7. Segawa, S. 1956. Coloured Illustration of the Seaweeds of Japan. Hoikusha Publication Co., Osaka, Japan 

  18. Shepherd, S.A. and H.B.S. Womersley. 1981. The algal and seagrass ecology of Waterloo Bay, South Australia. Aquat. Bot., 11, 305-371 

  19. Sohn, C.H. 1983. A study on the algal communities of Odongdo, southern coast of Korea. Bull. Kor. Fish. Soc., 16, 368-378 

  20. Sohn, C.H., C.G. Choi and H.G. Kim. 2007. Algal communities and useful seaweed distribution at Gangnung and it's vicinity in east coast of Korea. Algae, 22, 45-52 

  21. Sohn, C.H., I.K. Lee and J.W. Kang. 1982. Benthic marine algae of Dolsan 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 Publ. Inst. Mar. Sci., Nat. Fish. Univ. Busan, 14, 37-50 

  22. Sohn, C.H., I.K. Lee and J.W. Kang. 1983. Benthic marine algal of Dolsan-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I. Structure of algal communities of subtidal zone. Bull. Kor. Fish. Soc., 16, 379-388 

  23. Song, C.B. 1986. An ecological study of the intertidal macroalgae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Kor. J. Phycol., 1, 203-223 

  24. Yoshida, T., K. Yoshinaga and Y. Nakajima. 1995. Check list of marine algae of Japan. Jap. J. Phycol., 43, 115-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