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이기대 지역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Igidea Area in Busan, Kore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0 no.2 = no.61, 2014년, pp.121 - 129  

신봉균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권천중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  이석모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최창근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동남해 연안 해역에 위치한 이기대 지역에서 2010년 5월부터 2011년 2월까지 계절별로 해조상 및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녹조류 9종, 갈조류 14종, 홍조류 43을 포함한 총 66종이 동정되었으며, 16종의 해조류는 조사지역에서 연중 출현하였다. 계절별 평균 현존량은 봄 $123.6g{\cdot}m^{-2}$, 여름 $2,061.6g{\cdot}m^{-2}$, 가을 $412.0g{\cdot}m^{-2}$, 겨울 $678.9g{\cdot}m^{-2}$로 나타났다. 종조성의 차이는 주변의 오염원이 존재하지 않는 정점 3과 4에 비하여 주변 하천의 영향을 받는 정점 1로 갈수록 종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주변의 용호천, 대연천, 남부하수처리장 방류수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해조군집의 생태적 특성을 판단할 수 있는 R/P, C/P, (R+C)/P 값은 각각 3.07, 0.64, 3.71로 나타났으며, 해조류의 외부형태와 내부구조 등에 따라 구분되는 6가지 기능형군에 따른 분류결과는 성긴분기형 39.39 %, 엽상형 30.30 %, 다육질형 13.64 %, 사상형 12.12 %, 각상형 3.03 %, 유절산호말형 1.52 %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기대 지역의 해조류 개체수는 1996년부터 1997년에 96종, 2010년부터 2011년에 66종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주변하천과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등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대도시 인근 연안의 해조군락 보호 및 육성을 위하여 연안역에 유입되는 오하수의 처리 및 해조장 복원과 같은 적극적인 해양환경 유지관리방법이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seasonally investigated at four sites in the vicinity of the Igidae on the southern east coast of Korea from May 2010 to February 2011. A total of 66 species including 9 of Chlorophyta, 14 of Phaeophyta, 43 of Rhodophyta were found during the survey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남구 이기대 해안의 남부하수처리장 해양방류수역에 서식하는 해조상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대상지역의 과거 해조상과 주변해역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를 비교ㆍ분석한 후 연안의 저층에서 방류된 하수처리수가 해조류 군집구조와 특성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향후 자연 생태계에서 해조 생물량의 연간변동 및 연안역 biofilter로의 해조류 이용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지역의 오염부하량이 증가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연안지역은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생활오수 및 산업폐수 등의 발생량이 증가함에 따라 연안지역의 오염부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영만의 해조류 출현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선정한 조사지점은 무엇인가? 수영만은 해운대 동백섬과 이기대 사이 반 원형의 개방적인 만으로 남부하수처리장을 비롯한 도시하 천인 용호천, 대연천 등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는 지역이다(Park, 2001). 대상해역의 해조류 출현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요 오염 발생원인 용호천과 대연천이 인접한 정점 1과 해양방류관이 위치한 정점 2, 이기대 해안전망대가 위치하여 인위적 간섭이 예상되는 정점 3 그리고 주변 오염원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 정점 4를 조사지점을 선정하여 2010년 5월부터 2011년 2월까지 계절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Fig. 1).
해양생태계의 일차생산자는 무엇인가? 해양생태계의 일차생산자인 해조류는 서식지의 생물학적, 무생물학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출현종, 종다양성 및 생물량 등이 변화하는 특징 때문에 환경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생물지표종으로 사용될 수 있다(Orfanidis et al., 2001; Aréval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revalo, R., S. Pinedo and E. Ballesteros(2007),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Mediterranean rocky-shore communities following a gradient of nutrient enrichment: descriptive study and test of proposed methods to assess water quality regarding macroalgae,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5, Issues 1-6, pp. 104-113. 

  2. Cheney, D. P.(1977), R&C/P - 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Journal of Phycology, No. 13, p. 129. 

  3. Choi, C. G.(2007), Algal flora and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Laminariaceae) population of Youngdo in Busan, Korea, Algae, Vol. 22, No. 4, pp. 313-318. 

  4. Choi, C. G., H. G. Kim and C. H. Sohn(2002), Effect of transplantation of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with adhesive glue,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5, No. 6, pp. 608-613. 

  5. Choi, C. G., M. T. H. Chowdhury, I. Y. Choi and Y. K. Hong(2010a),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n the southern east coast of Korea, The sea, Vol. 15, pp. 133-139. 

  6. Choi, C. G., S. J. Oh and I. J. Kang(2010b),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rine algae in Kijang, Korea,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Vol. 55, No. 1, pp. 39-46. 

  7. Choi, H. G.(2008), Effects of thermal effluents from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on macroalgal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Algae, Vol. 23, pp. 151-162. 

  8. Diez, I., A. Secilla, A. Santolaria and J. M. Gorostiaga (1999), Phytobenthic intertidal community structure along an environmental pollution gradient,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38, pp. 463-472. 

  9. Feldmann, J.(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iditerranee, La cote des Alberes, Revue Algologique, Vol. 10, pp. 1-339. 

  10. Guiry, M. D. and G. M. Guiry(2012),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Retrieved from "http://www.algaebase.org" on December 12. 

  11. Hong, S. Y., C. W. Ma and Y. S. Kang(1994), Distribution of copepod indicator species and zooplankton communities in Pusan Harbor,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29, No. 2, pp. 132-144. 

  12. Kang, J. W.(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etin of Pusan Fisheries College, Vol. 7, pp. 1-125. 

  13. Kang, J. W.(196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8, Marine algae. Samhwa Press, Seoul, Korea, pp. 1-465. 

  14. Kang, P. J., Y. S. Kim and K. W. Nam(2008),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Ilkwang Bay, Korea, Algae, Vol. 23, No. 4, pp. 317-326. 

  15. Kim, B. Y., W. S. Kim and H. G. Choi(2010), Seasonal variability of seaweed biomass along the vertical shore gradients of Nachido and Odo islands, the Yellow S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13, No. 4, pp 324-332. 

  16. Kim, Y. T. and H. J. Lee(2010), Positive correlation water temperature increase with thermal front retrogress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Proceedings of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pp. 122-123. 

  17. Langford, T. E. L.(1990), Ecological Effects of Thermal Discharges.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Ltd. London and New York, p. 468. 

  18. Lee, I. K., H. S. Kim., C. H. Koh, J. W. Kang, S. Y. Hong, S. M. Boo, I. H. Kim and Y. C. Kang(1984), Studies on the marine benthic communities in inter- and subtidal zone II.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mmunity structure in south-eastern coast of Korea. Proceedings of College of Natur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Vol. 9, pp. 71-126. 

  19. Lee, K. H., H. I. Yoo and H. G. Choi(2007), Seasonal community structure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edicinal seaweeds at Kkotji in Taean Peninsula, Korea, Algae, Vol. 22, No. 3, pp. 209-219. 

  20. Lee, K. W. and J. W. Kang(1971), A preliminary survey of the algal flora and communities of Dongbaiksum, Pusan, Publications of Marine Laboratory Pusan Fisheries College, Vol. 4, pp. 29-37. 

  21. Lee, K. W.(1972), Annual variation of marine algae flora at Dongbaeksum, Bulletin of Fishery, Cheju University, Vol. 1, pp. 8-16. 

  22. Lee, K. W.(1973), Observation of algal community near Dongbaeksum, Haeundae, Bulletin of Fishery, Cheju University, Vol. 5, pp. 319-331. 

  23. Lee, Y. P.(2008), Marine algae of Jeju, Academy Publisher, Seoul, Korea, pp. 1-477. 

  24. Lee, Y. P and S. Y. Kang(2001),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Ch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Cheju, Korea, p. 662. 

  25. Littler, M. M. and D. S. Littler(1984), Relationships between macroalgal functional form groups and substrata stability in a subtropical rocky-intertidal system,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Vol. 74, pp. 13-34. 

  26.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U.S.A., pp. 1-547. 

  27. Nam, K. W. and Y. S. Kim(1999),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Yongho-dong area in Pusan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32, pp. 374-384. 

  28. Orfanidis, S., P. Panayotidis and N. Stamatis(2001), Ecological evaluation of transitional and coastal and water; A marine benthic macrophytes-based model, Mediterranean Marine Science, Vol. 2, pp. 45-65. 

  29. Park, H. S.(2001), Numerical simulation for the optimum design factor for the construction of ocean outfall system,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16 

  30. Saito, Y. and S. Atobe(1970), Phytosociological study of intertidal marine algae I. Usujiri Benten-Jima, Hokkaido, Faculty of Fisheries Hokkaido University, Vol. 21, No. 2, pp. 37-69. 

  31. Segawa, S.(1956), Coloured illustration of the seaweeds of Japan, Hoikusha Publishing Co, Ltd., Osaka, Japan, pp. 1-195. 

  32. Sohn, C. H., C. G. Choi and H. G. Kim(2007), Algal Communities and Useful Seaweed Distribution at Gangnung and Its Vicinity in East Coast of Korea, Algae, Vol. 22, No. 1, pp. 45-52. 

  33. Song, J. N., S. K. Park, J. S. Heo, B. Y. Kim, H. I. Yoo and H. G. Choi(2011), Summer Seaweed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Uninhabited Islands in Goheung,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44, No. 5, pp. 524-532. 

  34. Wells, E., M. Wilkionson, P. Wood and C. Scanlan(2007), The use of macroalgal species richness and composition on intertidal rocky seashores in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quality under the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5, pp. 151-161. 

  35. Yoo, H. I., J. H. Lee, K. H. Lee, S. H. Beak, Y. B. Heo, H. S. Noh and H. G. Choi(2007), Summer marine algal floras and community structures in Taean Peninsul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40, No. 4, pp. 210-219. 

  36. Yoo, J. S.(2003a), Bio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benthic community in the rocky shore of Dongbaekseom, Busan, Algae, Vol. 18, pp. 225-232. 

  37. Yoo, J. S.(2003b), Dynamics of marine benthic community in intertidal zone of Seoam, Busan.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8, No. 4, pp. 420-425. 

  38. Yoshida, T.(1998), Marine algae of Japan, Uchida Rokakuho Publishing Company, Tokyo, Japan, pp. 1-12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