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공정계획의 품질개선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Process Plan 원문보기

한국CAD/CAM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Society of CAD/CAM Engineers, v.13 no.3, 2008년, pp.235 - 242  

김인호 (동명대학교 로봇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improving the process plan quality by use of dimensional tolerances. Dimensioning and tolerancing plays a key role in manufacturing process plan because the final part must ensure conformance with the dimensions and tolerances in its drawing. As a first step for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정된 품질계수는 앞서 연구한 공정계획의 품질평가기법[11]에 사용한 품질계수의 요소에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공작업을 새로운 요소로 추가한 품질계수로써 공정계획의 품질을 보다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입력정보로 공차표를 사용하는 데, 이는 공차표를 통해 설계도면의 치수 및 공차정보와 공정계획의 결과에 따른 제조 결과치수 및 공차정보를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품질계수 계산의 요소로, 결과치수 및 공차가 산출되기 까지 사용한 작업 및 작업순서의 파악이 필요하므로 뿌리나무 표현법을 이용하여 결과치수 및 공차에 관계하는 가공면들과 작업들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기계가공품을 대상으로 공정계획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측정, 평가하고 품질개선이 필요한 경우에 공차수정을 통해 품질을 개선하는 기법의 연구를 제안하였다. 앞서 연구한 품질평가기법의 품질계수보다 공정계획 결과를 더 합리적으로 반영하며 무엇보다 공정계획의 품질을 개선함으로써 공정계획의 품질을 향상시켜주는 기법이다.
  • 본 연구는 기계가공품을 대상으로 공차표 상에 주어지는 공정계획의 결과가 설계사양을 만족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새롭게 수정된 공정계획의 품질계수를 측정하고, 두 공차의 비교결과에 따라 품질개선을 통해 공정계획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이다. 수정된 품질계수는 앞서 연구한 공정계획의 품질평가기법[11]에 사용한 품질계수의 요소에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공작업을 새로운 요소로 추가한 품질계수로써 공정계획의 품질을 보다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공정계획의 결과에 따른 결과치수공차가 설계치수공차보다 작은 경우에 공정계획의 품질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결과치수공차에 관여한 공정계획 정보들을 인식해야 한다.
  • 공정계획 결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중 하나는 품질계수의 식에서 정의하였듯이 중간에 사용된 작업치수 및 공차가 최종 결과치수공차에 영향을 미친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간가공치수공차의 영향력의 정도를 결과치수공차에 사용된 횟수로 결정하도록 하였으며, 이들 사용횟수는 결과치수공차를 얻기까지의 선행경로들을 파악함으로써 알 수 있다. 이러한 선행경로는 결과치수공차를 갖는 두 가공면 사이의 역경로를 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데, 이 때 얻어지는 역경로는 공차표의 뿌리나무의 일부분으로서 하위뿌리나무(Sub-Rooted Tree : SRT)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품질계수는 어떤 값인가? 본 연구에서는 제조공정계획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품질계수를 정의한다. 정의된 품질계수는 공정계획의 작업순서에 따라 가공되는 작업결과 치수공차와 설계도에 주어진 치수공차의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본 연구자는 이전의 연구[11]에서 품질계수를 제안하였으나, 이 경우의 품질계수는 결과치수 및 공차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의 사용횟수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보다 정확한 공정계획의 품질을 산출할 수 없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수정된 품질계수를 식 (1)과 같이 제안한다.
공정계획은 어떤 정보들을 제공하고 어떤 역할을 하는가? 공정계획은 설계도면 상에 주어진 정보나 CAD 모델을 이용하여 제조에 필요한 기계, 공정, 작업, 가공 순서 및 치수와 공차에 관한 상세 정보들을 제공하며, 분리되어온 설계와 제조를 이어주는 교량역할을 한다. 컴퓨터지원공정계획(Computer Aided Process Plan : CAPP)은 컴퓨터 통합생산시스템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 특히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급속한 발전으로 공정계획의 자동화에 대한 연구는 기능별로, 시스템별로 또는 자동화의 수준에 따라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1-4].
품질계수의 산출에 공차표를 이용하는데 이 공차표는 무엇을 제공하는가? 품질계수의 산출에는 설계도의 치수공차정보와 공정계획의 결과인 가공치수공차정보가 사용되는 데, 이는 공차표를 통해 얻는다. 공차표는 공작물의 공정계획에 따른 가공순서를 그래프에 표현하는 한 방법[6]으로서 설계치수공차, 공작물의 가공작업, 가공순서, 가공결과치수 및 공차를 제공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Denkena, B. et al., 'Knowledge Management in Process Planning', Annals of the CIRP, Vol. 56/1, pp. 175-180, 2007 

  2. Wiendahl, H. P. et al., 'Changeable Manufacturing ?Classification, Design and Operation', Annals of the CIRP, Vol. 56/2, pp. 783-803, 2007 

  3. Sadaiah, M. et al., 'A Generative Computer-Aided Process Planning System for Prismatic Components', Int. J. Adv. Manuf. Technol., Vol. 20, pp. 709-719, 2002 

  4. Gologlu, C., 'A Constraint-based Operation Sequencing for a Knowledge-based Process Planning', Journal of Int. Manuf., Vol. 15, pp. 463-470, 2004 

  5. Zhang, H., Advanced Tolerancing Techniques, John Wiley & Sons, Inc., 1997 

  6. Whybrew, K., Britton, G., Bobinson, D. and Sermsuti-Anuwat, Y., 'A Graph-theoretic Approach to Toler-ance Charting', Int. J. Adv. Manuf. Technol., Vol. 5, pp. 175-183, 1990 

  7. Tang, X. and Davies, B., 'Computer Aided Dimension Planning', Int. J. of Production Research, Vol. 26, pp. 283-297, 1988 

  8. Tang, G., Fuh, Y. and Kung, R., 'A List Approach to Tolerance Charting', Computers in Industry, Vol. 22, No. 3, pp. 291-302, 1993 

  9. Ji, P., 'An Algebraic Approach for Dimensional Chain Identification in Process Planning', Int. J. of Production Research, Vol. 37, pp. 99-110, 1999 

  10. Ji, P. and Xue, J. B., 'Process Tolerance Control in a 2D Angular Tolerance Chart', Int. J. Adv. Manuf. Technol., Vol. 20, pp. 649-654, 2002 

  11. Kim, I. and Dong, Z., 'Efficiency Estimation of Process Plan Using Tolerance Chart', Transactions of the Society of CAD/CAM Engineers, Vol. 11, No. 2, pp. 148-155, 2006 

  12. Eary, D. and Johnson, G., Process Engineering for Manufacturing, Prentice-hall, pp. 98-119, 19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