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해 중부에 위치한 새만금 연안역에서 HF radar를 이용하여 2002년 7월과 2004년 9월부터 11월 초까지 표층해류를 관측하였다. 관측 자료로부터 조하주기대(subtidal) 표층해류가 해안선 변화, 바람과 담수 방류량의 변화에 대하여 시 공간적으로 어떻게 변동하는지 조사하였다. 2002년 7월 관측 기간 동안 바람이 약 0.5 m/s로 불었으며, 일 평균 금강 담수 방류량이 $0.88{\times}10^7$ 톤이었다. 시간평균된 표층해류($\overline{U}$)는 금강하구입구에서 $7{\sim}10\;cm/s$의 크기로 북서쪽으로, 방조제 개방구간에서 13 cm/s 이상의 크기를 갖고 서쪽으로, 고군산군도 북측에서는 북서방향의 분포를 보였다. 이는 금강 담수와 새만금 방조제 개방구간에서 유출된 조석 잔차류에 의해 형성된 흐름이다. 또한 를 제거한 표층해류의 공간평균치(<$U-\overline{U}$>)의 방향변화가 바람방향변화와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r=0.98)를 보였다. 2004년 9월부터 11월에는 북북서풍이 2.5 m/s로 불었으며, 일평균 담수 방류량이 $11.9{\times}10^7$ 톤이었다. 표층해류($\overline{U}$)는 대부분의 연안에서 크기가 작았고, 새만금 방조제와 고군산군도가 이루는 해안선을 따라서 약 10 cm/s의 상대적으로 빠른 해류가 남서방향으로 흘렀다. 이는 강한 북서풍이 금강 담수를 새만금 방조제 쪽으로 이동시켜 형성된 흐름이다. 2004년도에는 방조제 개방구간에서 유출되는 조석 잔차류가 없어졌으며, 공간평균()된 표층해류의 방향변화가 바람방향변화와 0.69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btidal surface currents are derived from HF radar measurements in the Saemangeum coastal ocean of the Yellow sea in July 2002 an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4. The surface current field is analyzed to examine the effect of wind, river plume and coastline change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새만금 4호 방조제 건설 후인 2004년에 HF radar로 관측된 조하주기대 표층해류를 분석하고 4호 방조제 연결 전인 2002년에 관측된 Son et al.(2007)의 결과와 비교하여 1) 조하주기대 표층해류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이 방조제로 인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살펴보고, 2) 각 경우에 대해 바람과 담수 방류량의 변화가 표층 해류 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창수, 이상호 손영태, 권효근, 이광희, 김영배, 정우진, 2006. 새만금 4호 방조제 완성 전후 HF 레이더로 관측된 표층 $M_2$ 조류의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1(2): 37-48 

  2. 농어촌진흥공사, 1990-1998.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 사후환경영향 조사보고서 

  3. 신은주, 이상호, 최현용, 2002. 금강풀룸의 구조와 분포에 대한 수치모델 연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3): 157-170 

  4. 이상호, 문홍배, 백혜연, 김창수, 손영태, 권효근, 최병주, 2008. 금강하구 연안역에서 HF radar로 측정한 유속의 정확도.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3(1), (인쇄 중) 

  5. 이상호, 최현용, 손영태, 권효근, 김영곤, 양재삼, 정해진, 김종구, 2003. 하계 서해안 새만금 연안역 주변 저염수와 순환. 한국해양학회지(바다), 8(2): 138-150 

  6. 이상호, 최현용, 오임상, 1995. 하계금강 Plume의 구조와 변동. 한국해양학회지(바다), 30: 125-137 

  7. 최현용, 이상호, 유광우, 1999. 금강하구언 대량 방류시 관측된 황해중동부 연안역의 염분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4(1): 1-9 

  8. Barrick, D.E., M.W. Evans, and B.L. Weber, 1977. Ocean surface currents mapped by radar, Science, 198: 138-144 

  9. Bowden, K.F., 1983. Physical Oceanography of Coastal Waters, Ellis Horwood Limited, pp302 

  10. Choi, B.H., 1980. A tidal model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ern China Sea.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KORDI) Report 80-02, pp72 

  11. Choi, B.H., 2001. Effect of Saemangeum tidal barriers on the Yellow Sea tidal regime. Proceedings of the first Asian and Pacific Coastal Engineering Conference, APACE 2001, Dalian, China, 1: 25-36 

  12. Choi, B.H. and H.S. Lee, 2003. Preoperational simulation of dike closure for Saemangeum tidal barriers. In: Hydro-environmental impacts of large coastal developments, ed. B. H. Choi and W. Kioka, ACECC-TC1 workshop proceeding by KSCOE and CECJSCE, pp91-11 

  13. Csanady G.T., 1984. Circulation in the Coastal Ocean. D.Reidel Publishing Co., pp279 

  14. Kang, S.K., 2002. Study on tidal change prediction due to the large scale of coastal reclamation (TIDPRE, II), KORDI rept. BSPM 191-00-1560-2, pp426 

  15. Kim, C.S., S.H. Lee, Y.T. Son, H.K. Kwon, K.H. Lee, Y.B. Kim and O.J. Jeong, 2007. Sub-tidal surface current variation in the Saemankeum coastal sea as measured by high frequency radar. Proc. of the 14th PAMS/JECSS workshop, pp. 260-263 

  16. Lee, S.H., 2003. Variability of currents observed in Saemangeum coastal region. Workshop on Hydro-environmental Impacts of Large Coastal Developments. ACECC-TC1 Workshop Proceeding by KSCOE and CEC-JSCE, 73-89 

  17. Lee, S.H. and Beardsley, R.C., 1999. Influence of stratification on residual tidal currents in the Yellow Sea, J. Geophys. Res., 104: 15679-15701 

  18. Prandle, D., 1987. The fine-structure of nearshore tidal and residual circulations revealed by H.F. radar surface current measurements. J. Phys. Oceanogr., 17: 231-245 

  19. Son, Y.T., S.H. Lee, C.S. Kim, J.C. Lee and G.H. Lee, 2007. Surface current variability in the Keum River Estuary (South Korea) during summer 2002 as observed by high frequency radar and coastal monitoring buoy. Continental Shelf Res., 27: 43-63 

  20. Thompson, R.O.R.Y, 1983. Low-pass filters to suppress inertial and tidal frequencies. J. Phys. Oceanogr., 13: 1077-10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