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인공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 Laboratory Study on Erosional Properties of Fine Cohesive Sediments from Saemankeum Artificial Lake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1 no.5, 2008년, pp.473 - 482  

황규남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김현민 (전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안익장 ((주)혜인 이엔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끝막이 공사가 완료된 새만금 인공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침식실험은 국내 최초로 제작되고 그 타당성이 검증된 전북대 환형수조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밀도를 갖는 균일저면 조건하에서 수행되었으며, 새만금 인공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한계전단응력 및 침식률계수가 정량적으로 산정되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은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기본특성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 새만금 인공호 점착성 퇴적물의 이러한 특성 또한 조사되었으며, 이와 연계하여 침식특성이 해석되었다. 새만금 인공호 점착성 퇴적물의 경우에, 저면밀도 $1.17{\sim}1.34g/cm^3$ 범위에서 침식한계전단응력은 $0.26{\sim}0.52N/m^2$로 로그함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침식률계수는 $14.28{\sim}6.02mg/cm^2\;hr$ 범위로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다. 산정된 침식 매개변수들은 타 지역 점착성 퇴적물과 또한 비교/분석되었으며, 그 값은 정량적으로 지역마다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새만금 인공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한계전단응력은 군산해역 퇴적물보다는 크며, 시화호 퇴적물과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새만금 인공호 퇴적물의 침식률계수는 군산해역 퇴적물보다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erosional properties for cohesive sediment from Saemankeum artificial lake. A series of erosion tests were conducted with Chonbuk annular flume, which is the first one constructed in this country and verified with validities. Each erosi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인공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 특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하여 환형수조를 이용한 실내실험이 수행되었다. 1개 지점에 대해 총 4회의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각기 다른 밀도를 갖는 균일저면 조건하에서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인공호에서 채취된 표본 퇴적물 시료의 물리·화학적 특성 조사를 위한 목적으로 입경분포, 유기물 함량 및 광물질 구성성분의 3가지 항목에 대한 조사·분석이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저면밀도 ρB의 함수로 주어지는 침식한계전단응력 산정식과 침식률계수 산정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과거 Hwang and Mehta(1989)와 황규남 등(2005)에 의해 사용된 다음의 Eqs.

가설 설정

  • 또한, 저면과 액상이토층(fluid mud layer)의 경계에서의 퇴적물 밀도를 나타내는 ρl값으로 Hwang and Mehta(1989)는 vane전단강도가 “0”이 될 때의 저면밀도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이러한 가정에 근거하여 류홍렬 등(2006) 또한 군산해역 퇴적물에 대해 저면밀도 및 vane 전단강도를 측정하고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 해석을 통하여 ρl값으로 1.13 g/cm3을 산정하고 적용한 바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접합곡선 산정시의 최적 값인 1.11g/cm3이 적용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퇴적물의 전단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침식을 유발하는 원천적인 힘은 흐름에 의한 바닥전단응력(τb)이라 할 수 있으나, 저면 퇴적물이 지니는 저항력(resistive force) 또한 침식의 정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퇴적물이 갖는 이 저항력은 전단강도(shear strength) τs라 불리며, 그 크기는 광물질구성 성분, 함수비, 공극비, 염도, 퇴적물의 형성과정 등에 따라 변화한다. 퇴적물의 전단강도는 종종 침식한계전단응력(critical shear stress for erosion)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현상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일반적으로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현상은 표면침식(surface erosion)과 붕괴침식(mass erosion)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표면침식은 저면으로부터 입자들이 떨어져서 수층 내로 부유되기 쉽도록 상호간의 결합력들이 깨어진 형태로, 개개 입자별로 침식되는 현상이며, 붕괴침식은 보통 저면전단응력(bed shear stress)이 클 때에 저면밀도가 작은 저면이 구조적으로 파괴됨으로서 발생한다.
호소에 분포되어 있는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 및 퇴적은 수질과 저면 경계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과거 시화호에서의 경험을 통하여 쉽게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위적으로 조성된 호소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 및 퇴적(혹은 침강)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문제점들 중의 하나는 수질(water quality)과 저면 경계층(benthic boundary)과 관련된 문제들이다. 예를 들어, 침식으로 인하여 저면 퇴적물이 수층으로 과다하게 부유하게 되면, 높은 탁도의 수층은 태양 빛의 투과능을 저하시키고, 결과적으로 수층 내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쳐 생물학적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는 호소에서의 수질오염의주원인이 된다. 또한, 점착성 퇴적물은 부유 혹은 용해 상태의 여러 가지 독성을 가진 오염물질과 쉽게 결합하는 특성이 있어, 오염물질과 결합된 부유토사가 침강․퇴적되어 바닥의 퇴적층을 형성하게 되며, 호소 저층의 표층퇴적물 오염의 주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질 오염 및 표층퇴적물 오염과 관련된 문제들에서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퇴적특성에 대한 해석 및 예측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류홍렬, 황규남 (2006). “시화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침식 특성 매개변수 산정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8 권, 제3호, pp. 179-188 

  2. 류홍렬, 이현승, 황규남 (2006). “금강 하구역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안 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8권, 제4호, pp. 283-293 

  3. 국립수산진흥원 (1997).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4. 황규남 (2000). “새만금 갯벌퇴적물의 침강속도 산정을 위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2-B호, pp. 277-286 

  5. 황규남, 소상돈, 김태민 (2005).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식률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안해양공 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7권, 제2호, pp. 119-128 

  6. Alishahi, M.R. and Krone, R.B. (1964). Suspension of cohesive sediments by wind-generated waves. Technical Report HEL-2-9, Hydraulic Engineering Lab. Univ. of California, Berkeley, CA, 24 

  7. Ariathurai, R. and Arulanandan, K. (1978). “Erosion rates of cohesive soils.” J. Hyd. Div., ASCE. 104, HY2, pp. 279-283 

  8. Berlamont, J., Ockendon, M., Toorman, E. and Winterwerp, J. (1993). “The characterisation of cohesive sediment properties.” Coastal Engineering, Vol. 21, pp. 105-128 

  9. Dash, U. (1968). Erosive behavior of cohesive soils. Ph.D. Dissertation, Purdue University 

  10. Fukuda, M.K. and Lick, W. (1980). “The entrainment of cohesive sediments in freshwater.” J. Geophys. Res. Vol. 85, pp. 2813-2824 

  11. Hwang, K.-N. and Mehta, A.J. (1989). Finesediment erodibility in Lake Okeechobee., Florida. UFL/COEL-89/019, Coastal and Oceanographic Engineering Dept., University of Florida, Gainesbille, Florida 

  12. Krishnappan, B.G. (1993). “Rotating circular flume.” J. Hyd. Engineering, ASCE Vol. 119, No. 6, pp. 758-767 

  13. Maa, J.P.Y. (1989). The bed shear stress of an annular sea-bed flume. Proc. Water Quality Management. Hambur, Germany, pp. 271-276 

  14. Mehta, A.J. (1986). Characterization of cohesive sediment properties and transport processes in estuaries. Estuarine Cohesive Sediment Dynamics, A.J. Mehta ed., Springer-Verlag, Berlin. pp. 290-325 

  15. Parchure, T.M. (1984). Erosional behavior of deposited cohesive sediments. Ph.D. dissertation, Univ. of Florida, Gainesville, pp. 321 

  16. Parchure, T.M. and Mehta, A.J. (1985). “Erosion of soft cohesive sediment deposits.”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Oct 

  17. Thorn, M.F.C. and Parsons, J.G. (1980). Erosion of cohesive sediments in estuaries: an engineering guide. Proc. 3rd Int. Symp. Dredging Technology, England, pp. 349-3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