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지역의 해안선에서 이격거리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특성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Level with Distance from Shoreline in the Jeju Island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18 no.2 = no.55, 2008년, pp.167 - 176  

강동환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양성일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김태영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박현주 (한국농촌공사 환경지질팀) ,  권병혁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의 257개 공에서 갈수기(1998년 12월) 풍수기(1999년 7월)에 관측된 지하수위 자료에 의해 해안선에서 이격거리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특성이 규명되었다. 갈수기 지하수위는 $7.46{\sim}203.88\;m$의 범위에 평균은 60.49 m, 풍수기에는 $4.01{\sim}204.10\;m$의 범위에 평균 57.66 m 이었다. 제주도에서는 1998년 $6{\sim}10$월에 내린 강우에 의한 영향으로 갈수기의 지하수위가 풍수기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에 이용된 지하수공의 표고와 지하수위 사이의 상관계수는 0.86 이상이었으며, 갈수기와 풍수기 지하수위 간의 상관계수는 0.95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본 연구에 이용된 257개 지하수공 자료를 해안선에서 500 m 간격으로 재정리한 후, 17개구간의 이격거리, 표고, 갈수기 및 풍수기 지하수위에 대한 평균을 산정하였다. 해안선에서 $0{\sim}4\;km$ 구간의 표고와 지하수위는 이격거리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4{\sim}9\;km$ 구간에서는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면서 불규칙적이었다. 제주도 지역의 해안선에서 이격거리에 대한 지하수위의 선형함수가 추정되었으며, 전체 구간($0{\sim}9\;km$)보다 $0{\sim}4\;km$ 구간 자료를 이용한 경우의 결정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제주도 지역의 해안선에서 이격거리가 $0{\sim}4\;km$ 구간이 전체 구간의 지하수위 증가율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이는 해안선에서 4 km 정도까지는 지하수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지만, $4{\sim}9\;km$ 지역들에서는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면서 증가하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level with distance from shoreline at Jeju Island was investigated using groundwater level data monitored from 257 wells for dry season (December 1998) and wet season (July 1997), respectively. Groundwater levels of the dry season were $7.46{\sim}203...

주제어

참고문헌 (18)

  1. 고경석, 김용제, 고동찬, 이광식, 이승구, 강철희, 성현정, 박원배, 2005, 주성분분석과 지구통계법을 이용한 제주도 지하수의 수리지화학 특성 연구, 자원환경지질, 38(4), p.435-450 

  2. 고기원, 1997, 제주도의 지하수 부존특성과 서귀포층의 수문지질학적 관련성,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5p 

  3. 고기원, 박원배, 김호원, 채종일, 1992, 제주도의 지하지질 구조와 지하수위 변동과의 관계(II)-조석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지질학회지, 28, p.540-541 

  4. 박원배, 1993, 제주도 지하수의 수위변동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8-21 

  5. 박원배, 양성기, 고기원, 1994, 제주도 지하수의 수위변 동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3(4), p.333-348 

  6. 심병완, 정상용, 강동환, 김규범, 박희영, 2000, 영산강섬 진강 유역의 지하수 데이터베이스 자료에 대한 지구 통계학적 분석, 대한지질공학회지, 10(2), p.131-142 

  7. 윤정수, 김기표, 정차연, 2003, 제주도 동부 한동리지역 고염분 지하수에 대한 수리지질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39(1), p.115-131 

  8. 윤정수, 박상운, 1998, 제주도 용천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지하수환경학회지, 5(2), p.66-79 

  9. 이용두, 2001, 고도에 따른 제주도 지하수의 수질특성, 한국토양환경학회지, 5(3), p.65-75 

  10. 정상용, 유인걸, 윤명재, 권해우, 허선희, 1999, 불균질 이방성 대수층의 지하수 유동분석에 지구통계기법의 응용, 대한지질공학회지, 9(2), p.147-159 

  11. 제주도, 2000, 지하수 보전관리계획보고서, 588p 

  12. 한국수자원공사, 건설부, 제주도, 1993, 제주도수자원종 합개발계획 수립보고서, VII, p.26-33 

  13. Bredehoeft, J. D., 1967, Response of well-aquifer systems to earth tides: J.Geophys. Res., 72, p.3075-3087 

  14. Jacob, C. E., 1939, Fluctuations in artesian pressure produced by passing railroad trains as shown in a well on Long Island, New York: Trans. Amer. Geophys. Union, v.20, p.666-674 

  15. Kim, K. Y., Seong, H. J., Kim, T. H., Park, K. H., Woo, N. C., Park, Y. S., Hoh G. W. and Park, W. B., 2006, Tidal dffects on variations of fresh-saltwater interface and groundwater flow in a multilayered coastal aquifer on a volcanic Island(Jeju Island, Korea), Journal of Hydrology, 330, p.525-542 

  16. Koh, D. C., L. Niel Plummer, Eurybiades Busenberg and Kim, Y. J., 2007, Evidence for terrigenic SF6 in groundwater from basaltic aquifers, Jeju Island, Korea: Implications for groundwater dating, Journal of Hydrology, 339, p.93-104 

  17. Robison, T. W., 1939, Earth tides shown by fluctuations of water levels in wells in new Mexics and Iowa: Trans. Amer. Geophy. Union, v.20, p.656-666 

  18. Todd, D. K., 1980, Groundwater hydrology,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p.218-1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