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지하수위의 변화와 지하수 함양부피
Variation of Groundwater Level and Recharge Volume in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0 no.7, 2011년, pp.857 - 872  

박원배 (제주발전연구원) ,  김기표 (제주도특별자치도수자원본부) ,  이준호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문덕철 (제주도특별자치도수자원본부) ,  김수정 (제주특별자치도보건환경연구원) ,  고기원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  방성준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방익찬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ariation of groundwater level in Jeju Island is analyzed with the data of precipitation observed from 48 monitoring post and groundwater level observed from 84 monitoring wells during 2001 to 2009. The groundwater level rises in summer and falls in winter. The rise of groundwater level by pre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규모로 물산업을 육성할 경우 지하수의 수요가 급증하게 됨으로써 지하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제주도 지하수의 공급원인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관계를 분석하여 제주도 지하수를 효율적로 이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지하수를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지하수의 공급원인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1992년부터 2008년까지 중산간 및 고지대 지역을 포함한 제주도 전역에서 관측된 강수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제주도 전체의 연평균 강수량은 1,973 mm이었다.
  • 이 방법은 지하수위로부터 지하수가 채워진 함양부피를 직접 계산하는 방법으로 강수량에서 증발산량과 직접유출량을 제하여 함양량을 구하는 간접적인 방법에 비해 강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함양부피 중 어느 정도가 지하수로 채워져 있는지를 알려주는 공극률을 현재로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역시 한계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하수위의 변화로부터 구한 함양부피와 2003년 제주도 수문지질 및 지하수자원 종합조사 Ⅲ(제주도․한국수자원공사, 2003)에서 산출한 함양량을 근거로 제주도 전역의 평균 공극률을 산정해 보았다. 지하수위 변화로부터 지하수 함양부피를 구하고 지하수로 채워진 공극률을 계산하는 것은 제주도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을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이정도의 관측망이면 제주도 전역에 대한 강수와 지하수위의 관계와 강수에 의한 지하수 함양부피를 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료를 수집하여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관계를 분석하고 지하수위의 변동으로부터 제주도 전역과 지역별로 지하수 함양부피를 계산하고자 한다.
  • 그러나 지하수위 변동만으로는 함양량을 구할 수는 없다. 이 절에서는 함양부피를 활용하여 함양량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함양부피로부터 함양량을 구하려면 공극률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 지역별 함양부피는 강수량에 따른 지하수위의 상승 정도와 가뭄 시 지하수위의 하강 정도에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강수와 무강수 시 지하수위의 반응을 지역별로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강수량에 따른 지하수위의 변화와 지속적인 가뭄에 의한 지하수위의 변화 등을 예측하게 해 주기 때문에, 지하수 이용 및 개발, 효율적 수자원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규범, 이명재, 김정우, 이진용, 이강근, 2004, 수위강하곡선을 이용한 함양량 추정기법의 국가 지하수 관측소 지하수위 자료에의 적용성 평가,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4(3), 313-323. 

  2. 김경호, 윤영호, 조재희, 박재성, 1998,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17(2), 175-182. 

  3. 김태원, 함세영, 정재열, 류상민, 이정환, 손건태, 김남훈, 2008, 금정산지역의 수위변동 자료를 이용한 시계열 및 지하수 함양량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7(2), 257-267. 

  4. 문상기, 우남칠, 2001, 누적 강수량과 지하수위 곡선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률 추정기법, 지하수토양환경, 6(1), 33-43. 

  5. 문상기, 우남칠, 이광식, 2002, 지하수위 유형과유역별 지하수 함양률의 관련성연구: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의 분석, 지하수토양환경, 7(3), 45-59. 

  6. 박재성, 김경호, 전민우, 김지수, 1999, 소유역의 지하수 함양율 추정기법, 지하수환경, 6(2), 76-86. 

  7. 박창희, 2002,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수위 및 온도 자료를 이용한 함양량 산정,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8.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6-2020), 2006, 건설교통부. 

  9. 이봉주, 구민호, 박윤석, 고기원, 박기화, 2006, 제주 동부지역의 수리확산계수와 지하수 도관 유동 가능성, 지질학회지, 42(3), 439-454. 

  10. 이상덕, 2007, 광릉 소유역 내 원두부 지역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과 지하수위 변동 분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1. 제주도, 한국수자원공사, 2003. 제주도 수문지질 및 지하수자원 종합조사(3차). 

  12. 제주특별자치도, 2010,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모델 개발. 

  13. 최병수, 안중기, 1998, 지역단위 지하수 자연 함양율 산정방법 연구, 지하수환경, 5(2), 57-65. 

  14. 한정상, 한규상, 김창길, 김남종, 한 찬, 1994. 제주도 지하수자원의 최적 개발가능량,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1(1), 33-50. 

  15. Healy, R. W., Cook, P. G., 2002, Using groundwater levels to estimate recharge, Hydrogeology Journal, 10, 91-109. 

  16. Moon, S. K., Woo, N. C., Lee, K. S., 2004, Statistical analysis of hydrographs and water-table fluctuation to estimate groundwater recharge, Journal of Hydrology, 292(1-4), 198-209. 

  17. Scanlon, B. R., Healy, R. W., Cook, P. G., 2002, Choosing appropriate techniques for quantifying groundwater recharge, Hydrogeology Journal, 10, 18-39. 

  18. Solomon, D. K., Sudicky, E. A., 1991, Tritium and helium-3 isotopic ratios for direct estimation of spatial variations in groundwater recharge, Water Resources Research, 27, 2309-23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