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무관의 길짐승흉배제도와 실제
Joseons Badge System for Military Ranks and Practice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no.5, 2008년, pp.102 - 117  

이은주 (안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hows the badge system for military officials of Joseon dynasty. The badge system for military officials of the 15th century consists of rank badges with tiger and leopard for the first and second ranks and rank badges with bear for the third rank. According to the code of laws, military ...

주제어

참고문헌 (81)

  1. 肅宗實錄 卷23 肅宗 17年 3月 乙巳 

  2. 김영재 (2000). 중국과 우리나라 흉배(胸背)에 관한 고찰. 韓服文化, 3(3), pp. 45-55 

  3. 오경미, 전혜숙 (2000). 조선 후기 흉배변화에 관한 연구. 韓服文化, 3(1), pp. 117-133 

  4. 大明會典 卷61, 11b, 20a-23a 

  5. 王圻 (1607). 三才圖會 衣服 2卷, 上海古籍出版社, pp. 1530-1531 

  6. 明史 卷67 志43 輿服3 1638 

  7. 숙명여자대학교 정영양자수박물관 (2004). 실의 비밀, p. 97 

  8. 大淸會典 卷48 官員士庶冠服, 12b-13a 

  9. 민족문화추진회 (1991). 연행록선집 VII, p. 158 

  10. 淸會典圖 卷66 冠服8, 661d-680b 

  11. 世宗實錄 卷111 世宗 28年 1月 辛卯 

  12. 端宗實錄 卷11 端宗 2年 12月 丁丑 

  13. 端宗實錄 卷11 端宗 2年 12月 丙戌 

  14. 經國大典 卷3 儀章 10b 

  15. 이은주 (2005). 조선시대 백관의 時服과 常服 제도 변천. 服飾, 55(6), p. 49 

  16. 燕山君日記 卷60 燕山君 11年 11月 甲辰 

  17. 하명은, 이은주 (2007). 날짐승흉배의 감정(鑑定)을 위한 기준 설정. 韓服文化 10(3), p. 164, p. 172 

  18.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3). 坡平尹氏 母子 미라 종합 연구 논문집 II, p. 84 

  19. 肅宗實錄 卷23 肅宗 17年 3月 乙巳 

  20. 英祖實錄 卷之39 10年 12月 丁未 

  21. 국가문화유산포털 충남 당진 시도유형문화재 제84호 http://www.heritage.go.kr/index.jsp 

  22. 이강칠 外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p. 495 

  23. 肅宗實錄 卷24 肅宗 18年 12月 癸未 

  24. 英祖實錄 卷61 英祖 21年 5月 丁酉 

  25. 續大典 卷3 17a-b 

  26. 大典通編 卷3 15a 

  27. 高宗實錄 卷8 高宗 8年 2月 10日 

  28. 大韓禮典 卷5 48b 

  29. 成俔, ?齋叢話 卷7 物有相類者甚繁 

  30.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7). 名品圖錄, pp. 171-172. 閑虎八曲屛 

  31. 문화재청 편 (2007). 한국의 초상화, pp. 410-411 

  32. 肅宗實錄 卷17 12年 閏4月 丙子 

  33.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p. 68 

  34. 경기도박물관 (2004). 경기도박물관 명품선, p. 275 

  35. 繡林苑 (1979). 胸背, 知慧社, p. 57 

  36. 하명은 (2005). 조선시대 문관 흉배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01 

  37. 국립고궁박물관 (2007). 전시안내도록, p. 279 

  38. 大明會典 卷61 p. 21b 

  39. 三才圖會 衣服 2卷 p. 43 

  40. 국립진주박물관 (1997). 임진왜란, p. 95 

  41.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pp. 90-91 

  42. 宣祖實錄 卷175 37年 6月 甲辰. 宣祖實錄 

  43.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pp. 132-133 

  44. 문화재청 편 (2007). 한국의 초상화, p. 436 

  4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3). 韓國服飾, 11, p. 163 

  46. 문화재청 편 (2007). 한국의 초상화, p. 83 

  47. KBS TV진품명품, 2007년 9월 23일 방영 

  48. 光海君日記 卷62, 5年 1月 乙酉 

  49. 英祖實錄 卷118 48年 1月 乙巳 

  50. 憑虛閣李氏 (1809). 鄭良婉 譯註 (1975). 閨閤叢書. 寶晉齋, p. 141 

  51. 三才圖會 卷之鳥獸 3, p. 4a-b 

  52. 경기도박물관 (2008). 초상, 영원을 그리다, p. 23 

  53. 문화재청 편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복식. 자수편, pp. 155-156 

  5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고문서에 담긴 옛 사람들의 생활과 문화, p. 32 

  55. 서울역사박물관 (2003). 趙儆墓出土遺衣, p. 13 

  56. 조선미 (1994). 韓國肖像畵 硏究, 열화당, p. 230 

  57. 李裕元, 林下筆記 卷15 

  58. 燃藜室記述 別集 卷13 政敎典故 冠服 

  59. 正祖實錄 卷20 9年 6月 乙酉 

  60. 오경미, 전혜숙 (2000). 조선 후기 흉배변화에 관한 연구. 韓服文化, 3(1), p. 120 

  61. 이은주, 박가영 (2007). 英祖代 大射禮儀 참여자의 복식 유형 고증. 服飾, 57(2), pp. 106-107 

  62. 小田畿五郞(栗田英二 譯註) (2005). 象胥紀聞, 이회, p. 151 

  63. 英祖實錄 卷122 50年 1月 壬午 

  64. 英祖實錄 卷119 48年 9月 己酉 

  65. 樂學軌範 卷6 編鐘 3b 

  66. 春官通考 卷36 吉禮 文宣王廟 編鐘,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1975) 春官通考 上, p. 833 

  67. 李在淑 外 (1998).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 서울대학교 출판부, 圖 8 

  68. 慈慶殿進爵整禮儀軌 卷首 圖式 29a 

  69. 국가문화유산포털 전남 담양군 시도유형문화재 제148호 http://www.heritage.go.kr/index.jsp 

  70.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민속원, p. 141 

  71. Sotheby's (1996). Korean Works of Art. New York, Sep. 17, pp. 52-53 

  72. 아주문물학회 (2003). 위대한 얼굴, p. 97 

  73.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민속원, p. 135 

  74. 조선미 (1994). 韓國肖像畵 硏究. 열화당, p. 229 

  75.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p. 415 

  76. 하명은, 이은주 (2007). 날짐승흉배의 감정(鑑定)을 위한 기준 설정. 韓服文化 10(3) p. 175 

  77. 成海應, 硏經齋全集 5, 外集 卷43 儀章類 巾服攷 視事服, p. 236 

  78. 張弼基 (2004). 朝鮮後期 武班閥族家門 硏究. 集文堂, pp. 212-222 

  79.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p. 479 

  80.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p. 507 

  81.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p. 519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