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완전 절제된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에서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과 임상 예후 The Caspase-3 and c-myc Expressions in Complete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Its Prognostic Significance원문보기
배경: 인체에서 세포증식과 세포자멸사(apoptosis)과정에서의 불균형은 악성 종양의 발생과 그 예후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는 세포자멸사에 관계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cysteine protease의 일종인 caspase-3 단백과 많은 종류의 암에서 세포분열 혹은 세포자멸사 모두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c-myc oncogene 단백의 발현과 폐암과의 연관성을 관찰하고, 완전 절제된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과 임상적인 예후 인자로서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5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으로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제외하고, 완전 절제술을 시행 받은 총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적 조사 기간은 중앙값 50개월($3{\sim}128$개월)로 연구시점에서 수술후 최소 3년 이상 경과 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폐암조직에서 caspase-3과 c-myc 단백의 발현은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염색하여 관찰하고 환자의 임상 및 병리 정보를 후향적으로 조사 비교하였다. 결과: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율은 각각 68% (88/130)과 59% (77/130)으로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율 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p=0.025).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 여부가 전체 수술 환자와의 생존율과의 관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IIIa군 환자에서 caspase-3 단백의 발현과 생존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중앙생존기간 35 vs. 10개월, p=0.021). 다변량 분석에 의한 예후인자로 전체 대상환자에서 병리조직학적인 병기(p=0.024), IIIa군 환자에서 caspase-3 단백발현(p=0.005), 암세포 분화도가 좋은 경우(p=0.003), 그리고 암세포가 현미경학적으로 신경침습이 얼는 경우(p=0.004)에 좋은 예후를 보였다. 걸론: 비소세포 폐암에서 caspase-3와 c-myc 단백은 비교적 흔히 발현하고 폐암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완전 절제된 진행성 병기(IIIa군)의 폐암 환자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한 caspase-3 단백의 발현은 양호한 예후를 나타내는 임상적인 예후의 지표가 될 수 있다.
배경: 인체에서 세포증식과 세포자멸사(apoptosis)과정에서의 불균형은 악성 종양의 발생과 그 예후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는 세포자멸사에 관계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cysteine protease의 일종인 caspase-3 단백과 많은 종류의 암에서 세포분열 혹은 세포자멸사 모두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c-myc oncogene 단백의 발현과 폐암과의 연관성을 관찰하고, 완전 절제된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과 임상적인 예후 인자로서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5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으로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제외하고, 완전 절제술을 시행 받은 총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적 조사 기간은 중앙값 50개월($3{\sim}128$개월)로 연구시점에서 수술후 최소 3년 이상 경과 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폐암조직에서 caspase-3과 c-myc 단백의 발현은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염색하여 관찰하고 환자의 임상 및 병리 정보를 후향적으로 조사 비교하였다. 결과: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율은 각각 68% (88/130)과 59% (77/130)으로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율 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p=0.025).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 여부가 전체 수술 환자와의 생존율과의 관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IIIa군 환자에서 caspase-3 단백의 발현과 생존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중앙생존기간 35 vs. 10개월, p=0.021). 다변량 분석에 의한 예후인자로 전체 대상환자에서 병리조직학적인 병기(p=0.024), IIIa군 환자에서 caspase-3 단백발현(p=0.005), 암세포 분화도가 좋은 경우(p=0.003), 그리고 암세포가 현미경학적으로 신경침습이 얼는 경우(p=0.004)에 좋은 예후를 보였다. 걸론: 비소세포 폐암에서 caspase-3와 c-myc 단백은 비교적 흔히 발현하고 폐암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완전 절제된 진행성 병기(IIIa군)의 폐암 환자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한 caspase-3 단백의 발현은 양호한 예후를 나타내는 임상적인 예후의 지표가 될 수 있다.
Background: Caspase-3 is a cysteine protease that plays a major role in the process of apoptotic cell death. The dysregulated expression of c-myc contributes to the tumorigenesis in a variety of human canc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s of caspase-3 and c-myc and their ...
Background: Caspase-3 is a cysteine protease that plays a major role in the process of apoptotic cell death. The dysregulated expression of c-myc contributes to the tumorigenesis in a variety of human canc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s of caspase-3 and c-myc and their significances as prognosis markers in patients with complete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aterial and Method: A total 130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complete resection without pre-operative radio-therapy or chemotherapy between May 1996 and December 2003 for NSCLC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an follow-up period of the patients was 50 months (range: $3{\sim}128$ months). The expressions of caspase-3 and c-myc were immuno-histochemically examined, and these were correlated with the clinico-pathologic data. Result: The prevalence of caspase-3 and c-myc expressions in the patients was 68% (88/130) and 59% (77/130), respective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expressions of caspase-3 and c-myc (p=0.025). The caspase-3 and c-myc expression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ognosis in all the patients. However, according to stages, a positive caspase-3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favorable prognosis for patients with stage IIIa disease (median survival period: 35 months vs. 10 months, p=0.021).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e pathologic stage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good prognosis in all the patients (p=0.024), and with a positive caspase-3 expression, well differentiated tumor and negative neuronal invasion in the patients with stage llla disease (p=0.005, p=0.003, p=0.004, respectively). Conclusion: Caspase-3 and c-myc were frequently expressed in NSCLC, suggesting its possible involvement in tumor development. The caspase-3 expression, as determined with perform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ay be a favorable prognostic indicator in patients with completely resected NSCLC an advanced stage (IIIa).
Background: Caspase-3 is a cysteine protease that plays a major role in the process of apoptotic cell death. The dysregulated expression of c-myc contributes to the tumorigenesis in a variety of human canc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s of caspase-3 and c-myc and their significances as prognosis markers in patients with complete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aterial and Method: A total 130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complete resection without pre-operative radio-therapy or chemotherapy between May 1996 and December 2003 for NSCLC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an follow-up period of the patients was 50 months (range: $3{\sim}128$ months). The expressions of caspase-3 and c-myc were immuno-histochemically examined, and these were correlated with the clinico-pathologic data. Result: The prevalence of caspase-3 and c-myc expressions in the patients was 68% (88/130) and 59% (77/130), respective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expressions of caspase-3 and c-myc (p=0.025). The caspase-3 and c-myc expression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ognosis in all the patients. However, according to stages, a positive caspase-3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favorable prognosis for patients with stage IIIa disease (median survival period: 35 months vs. 10 months, p=0.021).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e pathologic stage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good prognosis in all the patients (p=0.024), and with a positive caspase-3 expression, well differentiated tumor and negative neuronal invasion in the patients with stage llla disease (p=0.005, p=0.003, p=0.004, respectively). Conclusion: Caspase-3 and c-myc were frequently expressed in NSCLC, suggesting its possible involvement in tumor development. The caspase-3 expression, as determined with perform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ay be a favorable prognostic indicator in patients with completely resected NSCLC an advanced stage (III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원발성 폐암환자에서 암세포의 자멸사와 암세포의 증식 사이의 균형은 임상적인 예후 인자로써 중요하다고 보고되고 있다[2, 6, 9]. 저자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세포 자멸사에 관계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caspase-3 단백과 많은 종류의 암에서 세포분열 혹은 세포 자멸사 모두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c-myc oncogene 단백의 발현과 비소세포폐암과의 연관성을 보고, 근치적 수술을 시행 받은 원발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폐암조직에서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과 임상적인 예후인자로서의 의의를 알아 보고자 했다.
제안 방법
연구대상 환자는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을 시행 받은 경우는 제외하였고, 연구시점에서 최소 3년 전에 수술 받고 추적 조사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적 조사는 환자의 사망여부, 폐암종 재발 유무 및 최근의 건강상태 등 각종 임상정보에 대하여 병록지를중심으로 조사하였고, 빠진 환자에 대해서는 젼화연락을통해 조사하였다. 각 증례의 병리학적인 분석은 병리 보고서를 중심으로 종양의 조직학적인 유형 및 분화의 등급, TNM 병기 등에 따라 분류하였다.
추적 조사는 환자의 사망여부, 폐암종 재발 유무 및 최근의 건강상태 등 각종 임상정보에 대하여 병록지를중심으로 조사하였고, 빠진 환자에 대해서는 젼화연락을통해 조사하였다. 각 증례의 병리학적인 분석은 병리 보고서를 중심으로 종양의 조직학적인 유형 및 분화의 등급, TNM 병기 등에 따라 분류하였다. 폐암 수술은 표준방법으로 폐엽 절제술 및 종격동 림프절 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폐엽 절제술로 완전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 이엽혹은 전폐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각 증례의 병리학적인 분석은 병리 보고서를 중심으로 종양의 조직학적인 유형 및 분화의 등급, TNM 병기 등에 따라 분류하였다. 폐암 수술은 표준방법으로 폐엽 절제술 및 종격동 림프절 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폐엽 절제술로 완전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 이엽혹은 전폐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편을 만들었다. 파라핀 절편은 H-E 염색 후 세계보건기구(WHO) 폐암 분류를 기준으로 종양의 조직학적인 진단과 분화도 등을 결정하였다. 폐암조직의 면역조직화학염색은 sensitive peroxidase-streptavidin 방법을 사용하였다.
폐암조직의 면역조직화학염색은 sensitive peroxidase-streptavidin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보관상태가 양호하고 종양의 대표적인 부위를 포함하는 파라핀 블록에서 4 μm의 두께로 절편을 박절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붙여 건조과정을 거친 후 Xylene으로 10분간 탈파라핀 시킨 후 에탄올 액으로 함수과정을 수행하고 완충용액에 담가 처리하였다. 내인성 과산화효소 (endogenous peroxidase)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45도의 온도에서 3% H2O2에 4분간 처리하였다.
즉, 보관상태가 양호하고 종양의 대표적인 부위를 포함하는 파라핀 블록에서 4 μm의 두께로 절편을 박절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붙여 건조과정을 거친 후 Xylene으로 10분간 탈파라핀 시킨 후 에탄올 액으로 함수과정을 수행하고 완충용액에 담가 처리하였다. 내인성 과산화효소 (endogenous peroxidase)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45도의 온도에서 3% H2O2에 4분간 처리하였다. 슬라이드는 항원성을 회복하기 위해 citrate buffer (2.
충분히 슬라이드를 세척한 후에 1 : 20으로 희석한 이차 항체인 biotinylated anti-mouse immunoglobulin (Zymed, San Francisco, CA)으로 1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1 : 25 로 희석시킨 streptavidin-biotin peroxidase complexes에 적용시켰다. 슬라이드 표본을 3, 3'-diaminobenzidine tetrahydro- chloride로 발색시키고 최종적으로 hematoxylin 으로 대조염색을 하고 봉입하였다. 모든 표본들은 양성 및 음성 대조군으로 검경하였는데, 제조사의 권장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caspase-3 의 양성 대조군으로 편도선 조직을, c-myce 유방암 조직을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은 일차 항체를 처리하지 않고 희석된 버퍼로 대체하여 면역화학염색을 하였다.
슬라이드 표본을 3, 3'-diaminobenzidine tetrahydro- chloride로 발색시키고 최종적으로 hematoxylin 으로 대조염색을 하고 봉입하였다. 모든 표본들은 양성 및 음성 대조군으로 검경하였는데, 제조사의 권장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caspase-3 의 양성 대조군으로 편도선 조직을, c-myce 유방암 조직을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은 일차 항체를 처리하지 않고 희석된 버퍼로 대체하여 면역화학염색을 하였다. 광학현미경상 caspase-3 단백의 발현은 핵에 일부가 염색되며 주로 세포질이 우세하게 염색된 경우를 양성으로 판정하였고, c-myc 단백의 발현은 폐암세포의 핵에 면역화학염색 되어 나타나는 경우에 양성으로 판정하였다(Fig.
모든 표본들은 양성 및 음성 대조군으로 검경하였는데, 제조사의 권장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caspase-3 의 양성 대조군으로 편도선 조직을, c-myce 유방암 조직을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은 일차 항체를 처리하지 않고 희석된 버퍼로 대체하여 면역화학염색을 하였다. 광학현미경상 caspase-3 단백의 발현은 핵에 일부가 염색되며 주로 세포질이 우세하게 염색된 경우를 양성으로 판정하였고, c-myc 단백의 발현은 폐암세포의 핵에 면역화학염색 되어 나타나는 경우에 양성으로 판정하였다(Fig. 1).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1996년 5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흉부외과에서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으로 근치적 인 절제수술을 시행한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환자는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을 시행 받은 경우는 제외하였고, 연구시점에서 최소 3년 전에 수술 받고 추적 조사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환자는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을 시행 받은 경우는 제외하였고, 연구시점에서 최소 3년 전에 수술 받고 추적 조사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적 조사는 환자의 사망여부, 폐암종 재발 유무 및 최근의 건강상태 등 각종 임상정보에 대하여 병록지를중심으로 조사하였고, 빠진 환자에 대해서는 젼화연락을통해 조사하였다.
그 후 1 : 50으로 희석된 일차 항체를 4도 온도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Caspase-3 단백의 발현을 보기 위해 항원 염색에 사용된 일차 항체로는 비활성형 32kDa cas- pase-3와 활성 형 17 kDa fragment에 모두 반응하는 polyclonal anti-caspase-3 항체 (Pharmingen, San Diego, CA)를 사용하였다. 또한 c-myc 단백의 발현을 보기 위한 일차 항체로 anti-c-myc (NeoMarkers, Fremont, CA)를 사용하였다.
대상 환자는 130명으로 남자 99명, 여자 31명으로 수술 당시 나이는 34세부터 74세로 평균 중간 연령은 62세였다. AJCC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병 리 조직 학적인 TNM 분류상 la 군이 27명, Ib 군이 48명' Ila 군이 5명, lib 군이 21명, Illa 군이 29명이었다.
데이터처리
, Chicago, USA)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Caspase-3와 c-myc을 포함한 여러 가지 임상-병리학적인 인자들과의 상관성은 Fisher exact probability test 및 Pearson chi-square test를 이용한 교차분석을 시행하였고, 생존 곡선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였고 환자의 생존에 여러 인자들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기 위해 log-rank 검사를 이용하였다. 의미 있는 예후 인자 간의 다변량 분석을 위해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모델을 이용하였다.
의미 있는 예후 인자 간의 다변량 분석을 위해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모델을 이용하였다. 모든 통계학적인 분석은 유의수준이 0.05 이하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론/모형
파라핀 절편은 H-E 염색 후 세계보건기구(WHO) 폐암 분류를 기준으로 종양의 조직학적인 진단과 분화도 등을 결정하였다. 폐암조직의 면역조직화학염색은 sensitive peroxidase-streptavidin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보관상태가 양호하고 종양의 대표적인 부위를 포함하는 파라핀 블록에서 4 μm의 두께로 절편을 박절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붙여 건조과정을 거친 후 Xylene으로 10분간 탈파라핀 시킨 후 에탄올 액으로 함수과정을 수행하고 완충용액에 담가 처리하였다.
Caspase-3와 c-myc을 포함한 여러 가지 임상-병리학적인 인자들과의 상관성은 Fisher exact probability test 및 Pearson chi-square test를 이용한 교차분석을 시행하였고, 생존 곡선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였고 환자의 생존에 여러 인자들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기 위해 log-rank 검사를 이용하였다. 의미 있는 예후 인자 간의 다변량 분석을 위해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모델을 이용하였다. 모든 통계학적인 분석은 유의수준이 0.
생존율에 대한 독립적인 예후인자를 보기 위해 전체 130명 대상환자에서 나이, T분류, N분류, 병리 조직학적인 병기, 폐암의 세포형,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을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모델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이 중에서 다변량 분석에 의한 예후인자로 병리 조직학적인 병기(p=0.
성능/효과
T (tumor) 분류상 T1 이 36명(28%), T2가 80명(61%), 그리고 T3가 14명(11%) 이었으며, N (lymph node) 분류는 NO가 82명(63%), N1 이 20 명(15%), 그리고 N2가 28명(22%)이었다. 폐암종의 세포 형은 편평세포암종이 63명, 선암종이 46명, 대세포암종 등이 21명(4명의 비정형 카시노이드암종, 1명의 pleomorphic carcinoma 포함)이었다. 폐암종의 현미경학적인 분화도와늑막, 림프관, 혈관, 신경침습 여부나 괴사부위의 존재 여부는 Table 1에서와 같다.
1). 총 130명의 환자에서 암조직에서 caspase-3 단백의 발현은 88예로 68%의 발현율을 보였고, c-myc 단백은 77예로 59%의 발현율을 보였다. 그러나 환자의 나이, 성별, T분류, N분류, 병리학적인 병기, 폐암의 세포형, 폐암의 현미경학적 분화도, 늑막, 혈관, 신경침습 및 괴사 여부에 따라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c-myc 단백의 발현과 현미경학적으로 폐암조직의 림프관 침습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
총 130명의 환자에서 암조직에서 caspase-3 단백의 발현은 88예로 68%의 발현율을 보였고, c-myc 단백은 77예로 59%의 발현율을 보였다. 그러나 환자의 나이, 성별, T분류, N분류, 병리학적인 병기, 폐암의 세포형, 폐암의 현미경학적 분화도, 늑막, 혈관, 신경침습 및 괴사 여부에 따라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c-myc 단백의 발현과 현미경학적으로 폐암조직의 림프관 침습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Table 1).
전체 130명 대상환자에서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 빈도를 교차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발현율의 상호 연관성은 있었으나(p=0.025, Table 2), caspase-3과 c-myc 단백 모두 발현한 군의 평균 생존기간은 84.8개월, caspase-3은 발현하고 c-myc 단백은 발현하지 않은 군은 79.2개월, caspase-3은 발현하지 않고 c-myc 단백만 발현된 군은 73.1 개월, caspase-3과 c-myc 단백 모두가 발현되지 않은 군은 72.5개월로 이 비교군들 간에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024)가 생존율에 대한 유일한 독립적인 예후인자였다(Table 3). 그러고 대상환자를 병리 조직학적인 병기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할 때, 제 I, II 병기 환자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예후인자는 없었지만, 제Illa 병기 환자에서 caspase-3 단백발현(p=0.005), 암세포 분화 도가 좋은 경우(P=0, 003), 그리고 암세포가 현미경학적으로 신경침습이 없는 경우(p=0.004)에 좋은 예후를 보였다(Table 4).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 여부가 전체 130명 대상 환자 및 제 I, II 병기 대상환자들의 생존률과의 관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Fig. 2), 제 Illa 병기 환자에서 caspase-3 단백의 발현과 생존율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중앙생존기간 35 vs. 10개월, 평균 생존 51 vs. 24개월, p=0.021, Fig. 3).
후속연구
그렇지만 병기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caspase-3 단백 양성발현을 나타낸 Illa기 환자 군에서만 의미 있게 좋은 생존율을 보였는데, 저자들의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해서 유추해 볼 때 보다 진행성 폐암환자에서 동시에 비활성 그리고 활성 상태의 caspase-3 단백의 면역화학염색 적 발현은 완전 절제수술 후 좋은 예후에 관계된 인자가 될 수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향후 병기에 따른 좀더 많은 수의 환자에서 장기간에 걸친 추적조사로 이 caspase-3 단백의 발현과 폐암의 예후와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새로운 항체를 이용한 연구로 비활성 혹은 활성 caspase-3 단백 각각의 발현과 임상적인 예후와의 보다 정확한 관계를 밝혀야 될 것이다. transcription fact or 의 일종으로 Myc gene family 의 하나인 c-myc oncogene 은 인간에서 세포의 증식, 자멸사 과정 및 종양의 발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비록 Myc 작용 기전이 여전히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들은 중요 세포주기 조절인자(key cell cycle regulator)를 자극하거나 억제함으로써 세포의 성장과 세포주기 진행에 있어 주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지고 있다[8, 20].
이러한 결과는 c-myc 단백의 발현을 검출하는 방법의 차이에 의해서거나 c-myc 단백 단독으로 폐암의 진행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다른 단백이나 부가적인 요인들이 작용함으로써 폐암의 진행에 관여할 것 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향후 이 단백과 연관된 세포주기 경로에 관여하는 다른 암 유발 혹은 억제 유전자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Volm 등[18]의 경우 caspase-3 단백이 발현되고 c-myc 단백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 가장 좋은 예후를, 그 반대의 경우 가장 나쁜 예후를 보였다고 보고하였으나 저자들의 경우 cas- 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간 서로 연관관계를 보였으나, 실제 생존율에 있어 두 단백의 발현 사이에 의미 있는 상호 역위 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Volm 등[18]의 경우 caspase-3 단백이 발현되고 c-myc 단백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 가장 좋은 예후를, 그 반대의 경우 가장 나쁜 예후를 보였다고 보고하였으나 저자들의 경우 cas- 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간 서로 연관관계를 보였으나, 실제 생존율에 있어 두 단백의 발현 사이에 의미 있는 상호 역위 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향후 이들 단백의 발현과 폐암 환자의 예후에 관한 보다 정확한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보다 장기간에 걸쳐 모든 병기의 환자를 대상으로 많은 증례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비소세포 폐암에서 caspase-3와 c-myc 단백은 비교적 흔히 발현하면서 어느 정도 폐암 발생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완전 절제된 진행성 병기(Illa 기)의 폐암 환자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한 caspase-3 단백의 발현은 양호한 예후를 나타내는 임상적인 예후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25)
Kerr JF, Winterford CM, Harmon BV. Apoptosis. Its significance in cancer and cancer therapy. Cancer 1994;73: 2013-26.
Takata T, Tanaka F, Yamada T,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caspase-3 expression in pathologic-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Int J Cancer 2001;96(suppl):54-60.
Krajewska M, Wang HG, Krajewski S, et al.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in vivo patterns of expression of CPP32 (caspase-3), a cell death proteases. Cancer Res 1997;57: 1605-13.
Estrov Z, Thall PF, Talpaz M, et al. Caspase-2 an caspase-3 protein levels as predictors of survival in acute myelogenous leukemia. Blood 1998;92;3090-7.
Tanaka F, Kawano Y, Li M, et al. Prognostic significance of apoptotic index in complete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J Clin Oncol 1999;17:2728-36.
Koomagi R, Volm M.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caspase-3 and the clinical outcome of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Anticancer Res 2000;20:493-6.
Nakagawara A, Nakamura Y, Ikeda H, et al. High levels of expression and nuclear localization of interleukin-1beta converting enzyme (ICE) and CPP32beta gene into malignant gliomas in vitro and in vivo. Cancer Res 1998;58:962-7.
Glinsky GV, Glinsky VV, Ivanova AB, Hueser CJ. Apoptosis and metastasis: increased apoptosis resistance of metastatic cancer cells is associated with the profound deficiency of apoptosis execution mechanisms. Cancer Letters 1998;115: 185-93.
Volm M, Koomagi R. Prognostic relevance of c-myc and caspase-3 for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Oncol Rep 2000;7:95-8.
Donoghue S, Baden HS, Lauder I, Sobolewski S, Pringle JH.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caspase-3 correlates with clinical outcome in B-cell diffue-cell lymphoma. Cancer Res 1999;59:5386-91.
Gosney JR, Field JK, Gosney MA, et al. c-myc oncoprotein in bronchial carcinoma: expression in all major morphological types. Anticancer Res 1990;10:623-8.
Rha SJ, Kwack MS.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p53, k-ras, c-myc oncoprotein expression i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2000;33:60-7.
Volm M, Koomagi R, Mattern J, Efferth T. Protein expression profile of primary human squamous cell lung carcinomas indicative of the incidence of metastases. Clin Exp Metastasis 2002;19:385-90.
Yakut T, Egeli U, Gebitekin C. Investigaton of c-myc and p53 gene alterations in the tumor and surgical borderline tissues of NSCLC and effects on clinicopathologic behavior: by the FISH technique. Lung 2003;181:245-5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