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를 고려한 홍수 위험도 평가
Flood Risk Assessment with Climate Change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28 no.1B, 2008년, pp.55 - 64  

정대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제리 스테딘져 ,  성장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영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대한 명백한 증거가 전 세계적으로 관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 중인 홍수 빈도분석 방법은 이러한 기후변화나 장기변동성을 고려할 요소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연최대 일강우량과 일유출량 시계열을 대상으로 추세분석을 실시하여 전 지구적으로 나타난 기온상승과 같은 증가추세가 존재하는지 linear regression과 Mann-Kendall 기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기후의 변동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홍수량의 증가추세를 반영한 빈도분석 방안을 제시하였다. 5개 대상지점(서울, 인천, 울릉도, 전주, 강릉)의 연최대 일강우량 모두 시간에 따른 증가추세를 일관되게 보이고 있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이 검증되지는 않았다. 홍수량도 3개의 대상지점(안동댐, 소양강댐, 대청댐) 모두에서 시간에 따른 증가추세가 관찰되었으나, 안동댐의 상향추세만이 통계적인 유의성을 내포하였다. 선형추세를 가진 홍수량의 빈도분석 및 위험도를 추정할 수 있는 대수정규 추세모형(log-normal trend model)을 소개하고, 안동댐과 소양강댐의 홍수 빈도분석을 위해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대수정규 추세모형의 2005년 50년 빈도 홍수량은 안동댐과 소양강댐 모두 대수정규 모형보다 각각 41%와 21% 증가하였으며, 목표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추정되는 홍수량 역시 함께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vidence of changes in the climate system is obvious in the world. Nevertheless, at the current techniques for flood frequency analysis, the flood distribution can not reflect climate change or long-term climate cycles. Using a linear regression and a Mann-Kendall test, trends in annual maximu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후의 변동성이나 이상홍수를 고려하지 않은 빈도분석을 통해 생성된 설계강우량과 설계홍수량으로 수자원 사업이 수행된다면, 막대한 피해가 계속적으로 반복되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본 연구는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빈도를 분석하고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후변화에 의해 증가 추세를 보이는 강우량이나 홍수량에 대한 빈도해석과 위험도 분석에 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아직 미흡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후변화를 고려한 설계홍수량의 추정에 관한 연구결과는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방어대책을 마련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홍수량의 증가추세를 반영한 빈도분석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강우량과 유출량 자료 중에서 길이가 긴 서울, 인천, 울릉도, 전주, 강릉 기상청 관측소의 연최대 일강우량과 안동댐, 소양강댐, 대청댐의 연최대 일유출량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추세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표준오차(Standard Error, SE)와 유효자료길이 (Effective Record Length, ERL)를 이용하여 추정된 평균과 홍수량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ERL은 LN모형의 추정값들의 정확성에 대한 LNTrend모형의 추정값들의 상대적인 정확성을 자료의 길이로 나타낸 지표이다. ERL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따라서 기후변화와 홍수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강우 및 홍수자료에 대한 통계적 연구와 대기대순환모형(GCM, General Circulation Model)을 통해 미래의 강우와 유출의 변화를 예측하고 분석하는 물리적 연구가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서용원과 김영오, 2000).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연구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홍수 빈도분석에는 어떤 점을 가정하고 이뤄지는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현재 수행되고 있는 일반적인 홍수 빈도분석은 연최대 홍수량(annual maximum flood)이 기후변화나 장기적 변동(decadal variations) 등의 장기 사이클 (cycle)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정상성(stationary)임을 가정하고 있다(Stedinger et al., 1993).
일반적인 홍수 빈도분석에 변화가 있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1993).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 연구에서 보고되는 강우량이나 유출량의 추세(trend)변화는 정상성의 가정이 유효한가에 대한 점검과, 비정상성을 고려한 빈도 분석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한다(Franks and Kuczera, 2002). 따라서 과거 발생하던 홍수사상의 경향을 현격히 벗어나 최근 발생하고 있는 이상홍수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기상현상의 비정상성으로부터 기인되는 것이라는 우려에 반론을 제시하는 수문학자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홍수의 주요 원인으로 어떤 것들이 지목받는가? 과거에 비해 강도와 피해가 점점 심각해지는 홍수의 주요 원인으로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와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한 토지이용의 변화 등이 지목되고는 있으나, 이들의 인과 관계를 밝히는 일이 그리 쉽지만은 않다. 따라서 기후변화와 홍수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강우 및 홍수자료에 대한 통계적 연구와 대기대순환모형(GCM, General Circulation Model)을 통해 미래의 강우와 유출의 변화를 예측하고 분석하는 물리적 연구가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서용원과 김영오,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권원태, 부경온, 허인혜(2007) 한반도 최근 10년 기후특성. 2007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한국수자원학회, CD 

  2. 김광섭, 임태경(2005) 한반도 강수량과 유량의 장기 추세 분석. 2005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916-919 

  3. 김남원, 원유승(2004) 우리나리의 빈도홍수량의 추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2호, pp. 1019-1032 

  4. 백희정, 권원태(2005) 한강과 낙동강 유역평균 월강수량의 기후 특성: I. 유역평균 시계열의 변동.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2호, pp. 111-119 

  5. 서용원, 김영오(2000) 선진국의 기후변화 연구동향(I): 유출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22-31 

  6. 한국수자원학회(2005) 하천설계기준.해설, 건설교통부 

  7. Burn, D.H. (1994) Hydrological effects of climatic change in westcentral Canada. Journal of Hydrology, Vol. 160, pp. 53-70 

  8. Chiew. F.H.S. and McMahon, T.A. (1993) Detection of trend or change in annual flow of Australian river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13, pp. 643-653 

  9. Coles, S. (2001)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odeling of Extreme Values. Springer-Verlag, United Kingdom 

  10. Douglas, E.M., Vogel, R.M., and Kroll, C.N. (2000) Trends in floods and low flows in the United States: impact of spatial correl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40, No. 1-2, pp. 90-105 

  11. Franks, S.W. and Kuczera, G. (2002) Flood frequency analysis: Evidence and implications of secular climate variability, New South Wal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8, No. 2, pp. 432-439 

  12. Griffis, V.W. and Stedinger, J.R. (2007) Incorporating climate change and variability into Bulletin 17B LP3 Model,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2007, ASCE, Tampa, FL, USA, CD 

  13. Lins, H.F. and Slack, J.R. (1999) Streamflow trends in the United Stat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26, pp. 227-230 

  14. MaCabe, G.J. and Wolock, D.M. (2002) A step increase in streamflow in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29, No. 24, 2185, doi: 10.1029/2002GL015999 

  15. Olsen, J.R., Stedinger, J.R., Matalas, N.C., and Stakhiv, E.Z. (1999) Climate variability and flood frequency estimation for the Upper Mississippi and Lower Missouri River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5, No. 6, pp. 1509-1524 

  16. Salas, J.D. (1993) Analysis and modeling of hydrologic time series, Chapter 19, Handbook of Hydrology, D. Maidment (ed.), McGraw-Hill, Inc., New York, USA 

  17. Stedinger, J.R. (1983) Confidence intervals for design events. Journal of the Hydraulic Engineering, Vol. 109, pp. 19-27 

  18. Stedinger, J.R. and Crainiceanu, C.M. (2001) Climate variability and flood-risk management, risk-based decision making in water resources. IX Proceedings of the Ninth Conference, United Engineering Foundation, ASCE, Santa Barbara, CA, USA, pp. 77-86 

  19. Stedinger, J.R., Vogel, R.M., and Foufoula-Georgiou, E. (1993)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events, Chapter 18, Handbook of Hydrology, D. Maidment (ed.), McGraw-Hill, Inc., New York, USA 

  20. Strupczewski, W.G., Singh, V.P., and Feluch, W. (2001) Non-stationary approach to at-site flood frequency modeling I.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48. pp. 123-1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