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강 하구역 점착성 퇴적물 침식특성의 지엽적·계절적 변화 해석
Analyses on Local-Seasonal Variations of Erosional Properties of Cohesive Sediments in Keum Estuary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28 no.1B, 2008년, pp.125 - 135  

임상호 ((주)동호 수자원부) ,  류홍렬 (전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황규남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공업기술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하구의 표층에 분포하는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매개변수를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침식매개변수들의 금강하구역 내에서의 지엽적 계절적 변화에 대한 조사와 타 지역 분석 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공간적 변화에 대한 조사를 포함한다.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은 기본적으로 퇴적물 자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본 연구는 또한 퇴적물의 이러한 기본특성이 침식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포함한다. 침식실험은 전북대 환형수조를 이용하여 균일저면 조건하에서 수행되었으며, 저면밀도와 바닥전단응력을 변화시키면서 총 16회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금강하구역 점착성 퇴적물은 저면밀도 $1.14{\sim}1.38g/cm^3$ 범위에서 침식한계전단응력(${\tau}_{ce,s}$)은 $0.19{\sim}0.41N/m^2$, 침식률 계수(${\varepsilon}_{M,s}$)는 $54.26{\sim}7.70mg/cm^2{\cdot}hr$ 범위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정된 침식 매개변수들은 타 지역 점착성 퇴적물과 비교시 정량적으로 그 값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금강하구역 내에서의 지엽적/계절적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fy the erosion parameters of cohesive sediments in Keum Estuary. This study also involves the examinations on the local/seasonal variation of them in Keum Estuary and on their spatial variation comparing with those of other sites. As erosional properties of co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예를 들어, 퇴적물 표본시료 채취 위치 및 기본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들은 금강 하구역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특성 분석을 위하여 류홍렬 등(2006a)에 의해 제시된 바 있으며, 금강 하구역 1개 정점에서의 점착성 퇴적물에 대한 침식특성 분석 결과는 류홍렬 등(2006b)에 의해 제시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금강 하구역 점착성 퇴적물 침식특성의 지엽적·계절적 변화 해석시, 편의 및 종합적 분석을 위하여 류홍렬 등(2006a) 및 류홍렬 등(2006b)에 제시된 일부 결과들이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고유의 결과들과 함께 제시되고 분석된다.
  • 본 연구를 통하여 산정된 금강 하구역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τce,s 와 εM,s) 산정결과의 타당성 검토를 목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과거 타 지역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과의 비교/검토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실험조건 중 하나인 균일저면과 환형수조를 사용한 침식실험 연구들 중 대표적인 예는 Hwang(1989), 황규남 등(2005), 류홍렬 등(2006b)의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식 (3)과 (4)를 이용하여 저면밀도(ρB)가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을 나타내는 두 매개변수 τce,s와 εM,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매개변수와 ρB간의 관계가 조사되었다. 식 (3)과 (4)를 이용하여 산정된 최적접합곡선 중 대표적인 예가 그림 7에 주어지는데, 그림들로부터 두 매개변수 τce,s와 εM,s가 모두 저면밀도 ρB와 상관성이 매우 크며, 또한 ρB가 증가할 때, 일반적으로 τce,s는 증가하는 반면에 εM,s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황규남·소상돈, 2002; 황규남 등, 2005 참조).
  •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은 입자간의 응집 현상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응집강도는 광물질 구성, 입경분포, 유물 함량 등으로 묘사되는 퇴적물 자체의 물리·화학적 기본특성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Mehta, 1986), 이러한 항목들에 대한 조사/분석은 점착성 퇴적물 침식특성의 지엽적·계절적 변화 해석시에 필수적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점별·계절별로 채취된 총 6개의 금강 하구역 점착성 퇴적물 시료들에 대하여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이 수행되었다. 단, 본 연구에서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은 입경분포, 광물질 구성 및 유기물 함량에 대한 분석으로 한정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점착성 퇴적물의 이동특성은 크게 무엇으로 대표되는가? 점착성 퇴적물의 이동특성은 크게 침식특성과 퇴적특성의 2가지로 대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특성들은 모두 현장 특성(site-specific)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점착성 퇴적물의 site-specific한 특성은 타 지역에서 측정된 침식/퇴적특성의 결과를 특정지역에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치모형을 통하여 점착성 퇴적물의 이동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고자 할 경우, 실험이나 현장관측을 통하여 직접 구한 후에 수치모형의 입력값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에서의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 특성에 대한 실험 및 현장관측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특히,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 특성은 항로수심 유지, 효율적인 준설 및 준설토의 외해 투기 등을 위해 필수적으로 조사되어야 할 중요한 인자로서, 최근 미국 및 유럽 연합 등 여러 국가에서는 다양한 실험장치들을 이용하여 흐름조건과 퇴적물의 침식/퇴적간의 역학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많은 현장 및 실내 실험들이 수행되어져 왔고, 또한 예측을 위한 수치모형의 개발에도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의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에 대한 실험 및 현장관측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며, 수치모형을 이용한 예측 실험 시에 측정자료의 결핍으로 인하여 해외를 비롯한 일부 국내 타 지역에서 관측된 값들을 편의적으로 사용하는 큰 오류를 범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site-specific한 특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점착성 퇴적물의 이동특성은 크게 침식특성과 퇴적특성의 2가지로 대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특성들은 모두 현장 특성(site-specific)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점착성 퇴적물의 site-specific한 특성은 타 지역에서 측정된 침식/퇴적특성의 결과를 특정지역에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치모형을 통하여 점착성 퇴적물의 이동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고자 할 경우, 실험이나 현장관측을 통하여 직접 구한 후에 수치모형의 입력값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군산지방해양수산청(1999) 금강하구 수리현상변화조사 보고서 

  2. 군산지방해양수산청(2004) 금강하구 수리현상변화조사 보고서 

  3. 군산항건설사무소(1989) 금강하구 수리현상조사 보고서, 1. 현지자료조사. (주)한국해양과학기술 

  4. 김재중(1989) 점성토의 침식 및 퇴적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5. 김차겸, 이종섭(1992) 미세퇴적물의 부상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2권 제3호, pp. 221-229 

  6. 김태인(2002) 금강하구의 해수유동과 퇴적과정.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7. 류홍렬, 황규남(2006) 시화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침식 특성 매개변수 산정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8권 제3호, pp. 179-188 

  8. 류홍렬, 천민철, 황규남(2006a) 금강 하구역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강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8권 제3호, pp. 251-261 

  9. 류홍렬, 이현승, 황규남(2006b) 금강 하구역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8권 제4호, pp. 283-293 

  10. 서승원(1998) 금강하구역의 수동역학적 변화 (1), (2).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0권 제1호, pp. 10-26 

  11. 이재연(2001) 새만금 해역 갯벌 퇴적물의 침강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12. 황규남, 소상돈(2002) 환형수조를 이용한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 조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II), 한국수자원학회, pp. 1075-1080 

  13. 황규남, 소상돈, 김태민(2005)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식률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7권 제2호, pp. 119-128 

  14. Ariathurai, R. and Arulanandan, K. (1978) Erosion rates of cohesive soils, J. Hyd. Div., Asce. 104, HY2, pp. 279-283 

  15. Hwang, K.-N. (1989) Erodibility of fine sediment in wave-dominate environment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Florida 

  16. Hwang, K.-N. and Mehta, A.J. (1989) Fine-sediment erodibility in Lake Okeechobee., Florida. UFL/COEL-89/019, Coastal and Oceanographic Engineering Dept.,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Florida 

  17. Mehta, A.J. (1986) Characterization of cohesive sediment properties and transport processes in estuaries, Estuarine Cohesive Sediment Dynamics, A.J. Mehta ed., Springer-Verlag, Berlin, pp. 290-325 

  18. Shields A. (1936) Anwendung der Ahnlichkeitsmechanik und Turbulenzforschung 멸 die Geschiebebewegung. Mitteil. Preuss. Versuchsanst. Wasser Erd. Schiffbau, Berlin, No. 2 

  19. Winterwerp, J.C., Cornelisse, J.M., and Kukjper, C. (1990) Parameters to characterise natural muds. In: Abstract Volume, Int. Workshop on Cohesive Sediments, Brussels. KBIN, Brussels, pp. 103-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