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국 140여개 가구를 대상으로 실측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을 도출함으로써 상 하수도시설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원단위를 제시하고, 용도별 사용특성분석, 영향인자 평가 등을 통하여 가정용수의 변동특성을 이해하고 향후 사용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전국 140가구를 대상으로 약 3여년간 실측한 결과, 가정용수의 총사용량은 165.8 lpcd였으며, 각 용도별 사용량은 세면용수 15.4 lpcd(10%), 욕조용수 24.7 lpcd(16%), 싱크대용수 29.7 lpcd(19%), 세탁기용수 30.8 lpcd(20%), 변기용수 38.5 lpcd(25%), 기타용수 13.5 lpcd(9%)순으로 나타났다. 가정용수 중에서 변기용수의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베란다, 정원용수 등이 포함된 기타용수의 경우 사용빈도가 일정하지 않고 사용량의 편차도 심하여 변동계수와 표준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을 미국, 영국 가정과 비교한 결과, 기타용수와 실외용수를 제외하고는 미국의 실내용수 사용량과 비율이 우리나라와 매우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가정에서 물사용에 기초한 생활양식이 미국과 유사하게 변화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 결과이다. 또한 1985년에 서울에서 조사된 용도별 사용량과 금번결과를 비교한 결과, 목욕, 변기, 세탁, 취사용수의 총량은 23 l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세면과 욕조용수를 합산한 목욕용수가 27 l에서 40 l로 크게 늘어났고, 세탁용수도 17 l나 늘어났다. 생활양식이 서구화되면서 가정에서의 목욕, 사워문화가 점차 확산되고 대용량 세탁기의 보급이 늘어난 것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and patterns of various kind of water uses in a household by metering in Korea. Water use components are classified by toilet, washbowl, bathing, laundry, kitchen, miscellaneous. Flow meters are installed in 140 household selected by sampling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생활용수의 공급계획, 시설설계 및 수요관리에 필요한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을 전국 140개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하고 이들이 갖는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여 용도별 원단위를 도출하였다.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가정의 용도별 물사용량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사용패턴을 분석하고자 2002년부터 2006년 사이에 전국 140 가구를 대상으로 가정용수 용도별 사용량을 실측하였다. 조사된 가정용수의 각 용도별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 원단위를 도출함으로써 상·하수도시설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설계치를 제시하고, 용도별 사용특성분석, 영향인자 평가 등을 통하여 가정용수의 변동특성을 이해하고 향후 사용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조사된 가정용수의 각 용도별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 원단위를 도출함으로써 상·하수도시설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설계치를 제시하고, 용도별 사용특성분석, 영향인자 평가 등을 통하여 가정용수의 변동특성을 이해하고 향후 사용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용수 사용량을 유수수량기준 순서대로 나열하면 어떠한가? 우리나라 상수도통계(2006)에 따르면 생활용수 사용량은 유수수량기준으로 가정용이 2,939백만(65.6%)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영업용 826백만(18.4%), 업무용 612백만(13.7%), 욕탕용 107백만(2.4%) 순이다.
가정에서의 물 소비량이 증가 추세인 배경은 무엇인가? 가정에서의 물 소비량은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산업이 발전 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물소비 패턴 역시 생활 양식, 거주도시의 특성, 수도와 관련된 가전제품이나 설비 등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고 있으나, 현재와 같이 월단위 사용량만으로는 이러한 변화요인을 추적하고 규명하기 어렵다.
생활용수의 공급계획, 시설설계 및 수요관리에 필요한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을 조사하고 통계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1. 가정용수의 총사용량 기준 원단위는 165.8 lpcd였으며, 각 용도별 사용량은 세면용수 15.4 lpcd(10%), 욕조용수 24.7 lpcd(16%), 싱크대용수 29.7 lpcd(19%), 세탁기용수 30.8 lpcd(20%), 변기용수 38.5 lpcd(25%), 기타용수 13.5 lpcd(9%)로 나타났다. 가정용수중에서 변기용수의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베란다, 정원용수 등이 포함된 기타용수의 경우 사용빈도가 일정하지 않고 사용량의 편차도 심하여 변동계수와 표준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총사용량과 개별사용의 누적량 사이에는 미측정 수도꼭지, 옥내누수, 유량계 오차 등이 반영되어 약 13.4 l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2. 가정용수사용량 원단위의 주택유형별 비교에서는 아파트 (159 lpcd), 공동주택(155 lpcd), 단독주택(141 lpcd) 순으로 사용량이 많았으며, 단독주택의 경우 특히 욕조용수 사용량이 다른 주택유형에 비해 적은 특성을 보였다. 이는 단독주택의 경우 50대 이상 가구원 비율이 가장 높은 것과 관련지어 50대 이상의 장, 노년층이 대중목욕탕 문화에 익숙하기 때문에 욕조용수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거주인수가 증가할수록 사용량 원단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변기용수, 싱크대용수, 기타용수의 감소경향이 뚜렷하였다. 3.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을 미국, 영국 가정과 비교한결과, 기타용수와 실외용수를 제외하고는 미국의 실내용수 사용량과 비율이 우리나라와 매우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가정에서 물사용에 기초한 생활양식이 미국과 유사하게 변화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 결과이다. 또한 1985년에 서울에서 조사된 용도별 사용량과 이번 연구결과를 비교한 결과, 목욕, 변기, 세탁, 취사용수의 총량은 23 l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세면과 욕조용수를 합산한 목욕용수가 27 l에서 40 l로 크게 늘어났고, 세탁용수도 17 l나 늘어났다. 생활양식이 서구화되면서 가정에서의 목욕, 사워문화가 점차 확산되고 대용량 세탁기의 보급이 늘어난 것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철우 외(1993) 현대통계학, 영지문화사 

  2.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 가정에서의 수돗물 사용량 기초조사 연구 

  3. 한국수자원공사(2001) 용도별 유량계 설치를 위한 표본선정수립 용역보고서 

  4. 한국통계학회(1997) 통계학용어집, 자유아카데미 

  5. 환경부(2007) 2006상수도통계 

  6. 환경부(2003)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 지속가능한 발전 

  7. Berthouex, P.M. and Brown, L.C. (1994) Statistics For Enivronmental Engineers, Lewis Publisher www.h2ouse.net 

  8. Bradley, R.M. (2004) Forecasting domestic water use in rapidly urbanizing area in asia,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30, No. 4, pp. 465-471 

  9. Bradley, R.M. (1985) Water use in urban Korea, Effuent Water Treatment J., Vol. 25, No. 10, pp. 348-354 

  10. De Oreo, W.B., Dietemann, A., Skeel, T., Mayer, P.W., Lewis, D.M., and Smith, J. (2001) Retrofit realities, J. Am. Water Works Assoc., Vol. 93, No. 3, pp. 58-72 

  11. Hodges, D. (1998) Water conservation-a need but how do we achieve it?, Water Environ. Manage., Vol. 3, No. 2, pp. 2-3 

  12. Richard Cochran and Arthur W. Cotton (1985) Municipal water demand study, oklahoma city and tulsa, oklahoma,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1, No. 7, pp. 941-943 

  13. Denver Water (2006) Post Drought Changes in Residential Water U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