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양 산불지역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에 대한 식생회복의 영향
Effects of Vegetation Recovery for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in Burned Mountains, Yangyang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28 no.4B, 2008년, pp.393 - 403  

신승숙 (강릉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박상덕 (강릉대학교 토목공학과) ,  조재웅 (강릉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이규송 (강릉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양 산불 피해 지역 당해년도의 극심한 지표 변화에 따른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을 분석하기 위해 산불 산지사면에 10개의 소규모 조사구를 설치하여, 지형, 토양, 식생, 강우사상별 유출 및 토양침식량을 측정하였다. 조사는 총 15개 단일강우사상을 기준하여 이루어졌다. 산불이후 식생회복이 빠른 지역과 그렇지 않은 사면의 유출 및 토양침식량은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식생회복이 빠른 조사구들은 대조구보다 약 2배 많은 평균 유출량 및 토양침식량을 나타냈으나, 나지상태 조사구들에서는 대조구의 약 10배 이내의 유출 및 토양침식이 발생되었다.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에 대한 주요 인자들과의 상관분석에 의하면 강우인자 및 식생인자는 유출과 토양침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유출 및 토양침식 민감도는 식생지수들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산불에 의해 교란된 지표식생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회복되고, 산불초기에 다량의 토사유출이 발생된 이후 사면 토양의 안정화에 따라 전반적으로 유출 및 토양침식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식생회복이 안되거나, 식생회복이 더딘 지역은 지속적으로 유출 및 토양침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산불 지역별로 차별화된 대응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soil, and vegetation coverage were surveyed, also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for each rainfall event were measured to analyze effect of change of land cover conditions in mountain areas, Yangyang, directly after wildfire. Fifteen rainfall events were take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산불지역의 토양과 식생변화에 따른 유출 및 토양침식 특성을 파악하기 위여 산불 당해 지역인 낙산사 일대에 10개의 소규모 조사구를 설치하여 산불 직후의 초기 식생회복에 따른 변화와 각각의 강우인자, 지형인자, 식생인자, 토양인자에 대한 유출 및 토양침식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불은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산불피해 지역에서 호우가 발생하면, 홍수재해 위험도 증가하고 과도한 토양침식으로 인한 토사재해도 피하기 어렵다. 산불은 수자원 함양, 홍수방지, 토사유출억제, 산지사면 붕괴방지 등의 국토로서의 기능과 환경보전, 휴양 및 여가활동 공간제공 등의 산림생태의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황폐화시킨다. 2000년 대규모 산불지역인 강릉 사천에서 2002년 발생한 태풍 루사로 인해 산불이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 비해 약 11.
산불피해 지역에서 호우가 발생하면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건조기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산불은 산지환경을 악화시키는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산불피해 지역에서 호우가 발생하면, 홍수재해 위험도 증가하고 과도한 토양침식으로 인한 토사재해도 피하기 어렵다. 산불은 수자원 함양, 홍수방지, 토사유출억제, 산지사면 붕괴방지 등의 국토로서의 기능과 환경보전, 휴양 및 여가활동 공간제공 등의 산림생태의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황폐화시킨다.
양양 산불 피해 지역 당해년도의 극심한 지표 변화에 따른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을 분석하기 위해 산불 산지사면에 10개의 소규모 조사구를 설치하여, 지형, 토양, 식생, 강우사상별 유출 및 토양침식량을 측정한 결과는 어떠한가? 조사는 총 15개 단일강우사상을 기준하여 이루어졌다. 산불이후 식생회복이 빠른 지역과 그렇지 않은 사면의 유출 및 토양침식량은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식생회복이 빠른 조사구들은 대조구보다 약 2배 많은 평균 유출량 및 토양침식량을 나타냈으나, 나지상태 조사구들에서는 대조구의 약 10배 이내의 유출 및 토양침식이 발생되었다.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에 대한 주요 인자들과의 상관분석에 의하면 강우인자 및 식생인자는 유출과 토양침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유출 및 토양침식 민감도는 식생지수들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산불에 의해 교란된 지표식생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회복되고, 산불초기에 다량의 토사유출이 발생된 이후 사면 토양의 안정화에 따라 전반적으로 유출 및 토양침식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식생회복이 안되거나, 식생회복이 더딘 지역은 지속적으로 유출 및 토양침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산불 지역별로 차별화된 대응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정찬, 고희재, 이승렬, 이창범, 최성자, 박기화(2001) 강릉-속초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박상덕 등(2001) 강원도 산불지역 재해의 저감대책 수립. 연구보고서 11-1310148-000088-01,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pp. 205-217 

  3. 박상덕 등(2005) 산지의 토양침식모형(SEMMA) 실용화 연구. 연구보고서 11-1660030-00035-01, 소방방재청 국립방재연구소, pp. 69-87 

  4. 박상덕, 신승숙, 심관섭(2002) 산불지역 토사유출에 대한 와지의 기능에 관한 연구. 방재연구논문집, 제4권, 제1호, pp. 121-130 

  5. 박상덕, 신승숙, 이규송(2005) 산불지역의 유출 및 토양침식 민감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1호, pp. 60-61 

  6. 이규송, 박상덕(2005) 산화적지에서 지상부 식생구조와 표토에 분포하는 세근의 관계. 한국생태학회지, 한국생태학회, 제28권, 제3호, pp. 149-156 

  7. 이규송, 정연숙, 김석철, 신승숙, 노찬호, 박상덕(2004) 동해안 산불 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 수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 한국생태학회지, 한국생태학회, 제27권 제2호, pp. 99-106 

  8. Bennett, J.P. (1974) Concepts of mathematical modeling of sediment yield.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0, pp. 485-492 

  9. Buchanan, J.R., Yoder D.C., Denton, H.P., and Smoot, J.L. (2002) Wood ships as a soil cover for construction sites with steep slopes. Appl. Eng. Agric. Vol. 18, pp. 679-683 

  10. Cerdan, O., Bissonnais, Y., Souchere, V., Martin, P., and Lecomte, V. (2002) Sediment concentration in interrill flow: interactions between soil surface conditions, vegetation and rainfall.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Vol. 27, pp. 193-205 

  11. Chien, N., Wan, Z., and McNown, J.S. (1999) Mechanics of sediment transport. ASCE Press, pp. 49-58 

  12. Florinsky, I.V. and Kuryakova, G.A. (1996) Influence of topography on some vegetation cover properties. CATENA, Elsevier, Vol. 27, pp. 123-141 

  13. Foster, G.R. (1982) Modelling the erosion process. ASAE Monograph, Vol. 5. ASAE, Saint Joseph, Michigan, pp. 297-380 

  14. Hartanto, H., Prabhu, R., Widayat, A.S.E., and Asdak, C. (2003) Factors affecting runoff and soil erosion: plot-level soil loss monitoring for assessing sustainability of forest managemen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Elsevier, Vol. 180, pp. 361-374 

  15. Hudson, N.W. (1971) Soil Conservation. Batsford Ltd, London 

  16. Johansen, M.P., Hakonson, T.E., and Breshears, D.D. (2001) Postfire runoff and erosion from rainfall simulation: contrasting forests with shrublands and grasslands. Hydrological Processes, Vol. 15, pp. 2953-2965 

  17. Kim, C., Shin, K., Joo, K.Y, Lee, K.S. Shin, S.S., and Choung, Y. (2008) Effects of soil conservation measures in a partially vegetated area after forest fir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399, pp. 158-164 

  18. Kirkby, M.J. (1980b) Modelling water erosion processes. In M.J. Kirkby and R.P.C. Morgan(eds), Soil erosion. Chichester, Wiley, pp. 183-216 

  19. Klute, A. and Dirksen, C. (1986) Hydraulic conductivity and diffusivity: Laboratory methods. Methods of Soil Analysis, edited by Klute, A., Agronomy Monograph Series No. 9 ASA and SSSA, Madison, Wisconsin, pp. 687-734 

  20. McCool, D.K., Brown, L.C., Foster, G.R., Mutchler, C.K., and Meyer, L.D. (1989) Revised slope length factor for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Trans. Am. Soc. Agric. Eng., Vol. 32, No. 5, pp. 1571-1576 

  21. Moffet, C.A., Pierson, F.B., Robichaud, P.R., Spaeth, K.E., and Hardegree, S.P. (2007) Modeling soil erosion on steep sagebruch rangeland before and after prescribed fire. CATENA, Elsevier, Vol. 71, pp. 218-228 

  22. Morgan, R.P.C. (1996) Soil Erosion and Conservation. Longman, New York 

  23. Nearing, M.A., Foster, G.R., Lane, L.J. and Finkner, S.C. (1989) A process-based soil erosion model for USDA-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technology. Transactions of the ASAE Vol. 32, pp. 1587-1593 

  24. Shakesby, R.A., Blake, W.H., Doerr, S.H., Humphreys, G.S., Wallbrink, P.J., and Chafer, C.J. (2006) Hillslope soil erosion and bioturbation after the Christmas 2001 forest fires near Sydney, Australia. In Owens, P.N. and Collins, A.J.(eds), Soil erosion and sediment redistribution in river catchments: measurement, modelling and management, CABI, pp. 51-61 

  25. Soto, B. and Diaz-Fierros, F. (1998) Runoff and soil erosion from areas of burnt scrub: Comparison of experimental results with those predicted by the WEPP model. CATENA, Elsevier, Vol. 31, pp. 257-270. 

  26. Toy, T.J., Foster, G.R., and Renard, K.G. (2002) Soil erosion: Processes, prediction, measurement and control. John Wily & Sons, Inc. New York 

  27. Van Dijk, A.I.J.M., Bruijnzeel, L.A., and Rosewell, C.J. (2002) Rainfall intensity-kinetic energy relationships. Journal of Hydrology, Elsevier, Vol. 261, pp. 1-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