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산불피해지역의 생태계 복원을 위한 식생회복속도 비교 연구 - 원격탐사기법을 통하여 -
Comparative Analysis for Vegetation Restoration Status on Fired Area of Kangwon Province - Using Remote Sensing Technologies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6 no.2, 2003년, pp.71 - 77  

전성우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  성현찬 (경기개발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fires happened simultaneously in Go-Seong, Gang-Neung, Sam-Cheok, Dong-Hae, Ul-Chin for 9 days(7th-15th of April, 2000). The area of those fires came to 23,794ha, about 80 times of Yeoui-Do and the extent of damage was the biggest and worst in Korea.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동해안 산불피해지역에 대한 산불발생 후의 건전한 생태계 복원모델 개발 및 효과적인 숲 관리를 위한 방향 제시를 위하여, 산림피해유형별 복원속도 비교에 주안점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범용식생지수인 NDVI와 시계열변화를 주로 탐지하는 MODVI를 중심으로 처리하였다. 처리결과, 고성군 지역은 NDVI와 MODVI 평균값이 산불발생 전보다, 산불발생 후 전체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동해, 삼척지역은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이러한 노력은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 green cover, 엽록소 함량, green biomass와 APAR(absorbe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과 같은 식생의 활력과 상대적인 양을 나타내는 방사측정치의 함수로 정의되는 식생지수가 표 1과 같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피해유형에 따른 피해정도 및 식생회복속도 비교 분석을 위하여 NDVI와 MODVI의 적용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격탐사를 이용한 식생분석의 장점은? 원격탐사를 이용한 식생분석은 대규모 지역의 신속하고 객관적인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있어(전성우, 1997) 산불피해지역의 피해유형별 복원속도를 비교․분석하는데 많은 장점이 있다.
1960년대이래 과학자들은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식생의 여러 가지 생물물리학적 변이를 모형화하여 추출하는 시도를 통해 어떤 식생지수가 개발되었나? 1960년대이래 과학자들은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식생의 여러 가지 생물물리학적 변이를 모형화하여 추출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노력은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 green cover, 엽록소 함량, green biomass와 APAR(absorbe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과 같은 식생의 활력과 상대적인 양을 나타내는 방사측정치의 함수로 정의되는 식생지수가 표 1과 같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피해유형에 따른 피해정도 및 식생회복속도 비교 분석을 위하여 NDVI와 MODVI의 적용가능성을 고찰하였다.
2000년 4월 7일부터 4월 15일까지 9일간 발생한 동해안 산불피해지역의 면적과 피해 분포는? 2000년 4월 7일부터 4월 15일까지 9일간 강원도, 고성군, 강릉시, 삼척시, 동해시 및 경북 울진군에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였다. 이때 발생한 피해지역은 23,794ha로서 여의도 면적의 약 80여배에 달하고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피해가 컸었다. 전체 피해면적의 72%는 삼척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1%는 고성군이었다. 소유권별로는 42%가 국공유림이며, 58%가 사유림이었다(정연숙, 2002). 이와 같은 대형 산불은 발생 후 이를 어떻게 조사, 복원하는가에 따라 생태적 회복속도가 상이해져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