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반암 깊이와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를 이용한 국내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 개선
Development of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Modification of Site Coefficients in Korea Based on Mean Shear Wave Velocity of Soil and Depth to Bedrock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 지반공학, 터널공학, v.28 no.1C, 2008년, pp.63 - 74  

김동수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이세현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윤종구 (한국유지관리(주) 전략기획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국내 125개 지반에 대한 지층 구성, 전단파속도 주상도, 기반암 깊이 등을 기존 자료의 수집 및 부분 시험 수행을 통해 확보하여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반암이 얕아 대부분의 지반조사가 기반암까지 이루어지는 국내 지반조건에 적합하도록 기반암 깊이와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를 동시에 고려하는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우선, 기반암 깊이(H)에 대해 10m와 20m를 경계 값으로 설정하여 $H_1$ 지반(H<10m), $H_2$ 지반($10m{\leq}H<20m$) 그리고 $H_3$ 지반($H{\geq}20m$)으로 분류하고 이후,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V_{s,soil}$)를 추가 변수로 하여 총 7개의 지반그룹으로 세분화 하였다. 또한 각 지반그룹에 대하여, 지진응답해석 결과로부터 획득한 지반 증폭계수의 경향성과 그 분산정도를 분석하여 새로운 지반분류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각 지반그룹별 대표 지반 증폭계수 및 설계응답스펙트럼도 함께 제안하였다. 제안된 지반 증폭계수와 이를 대표하는 추세선은 암반노두 가속도의 변화에 따른 지반의 비선형성을 일정한 경향성과 함께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지진응답해석으로부터 획득한 스펙트럴 가속도의 평균값과 제안된 설계응답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일부 지반그룹에서 차이가 발생하였고, 추후 지반 증폭계수 계산을 위한 적분구간을 국내 지반조건에 적합하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te response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equivalent linear technique using the local geologic and dynamic site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 soil profiles,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and depth to bedrock for 125 sites collected in Korean Peninsula. From the results of site response analy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술된 지반의 고유주기를 이용한 지반분류 방법의 장점을 흡수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기반암 깊이(H)와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Vs,soil)를 동시에 고려하는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고, 이에 따른 지반 증폭계수도 함께 제안하고자 한다.
  • 입력지진파의 경우, 우리나라는 지진의 규모가 작고 발생빈도가 낮은 중약진 지역이고(김성균 등, 2001), 내진설계기준 제정을 위한 실지진 기록이 부족하여 PEER(Pacif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센터의 입력지진 선택 권고안을 바탕으로 인공지진파 1개와 6개의 실계측 지진파를 선택하였다(Pacif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또한 입력지진파를 선정하는데 있어 다양한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지진파를 선정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단주기 특성을 보이는 암반계측 지진파와 장주기 특성을 보이는 토층계측 지진파를 선정하였다.
  • 그림 11(b)에 나타낸 H3 지반의 Fv 추세선의 경우 Vs,soil 값, 200m/s 이하에서는 암반노두 가속도의 증가에 따라 추세선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확연히 구분되는 Fa와 동일한 경향을 보였고, 360m/s 이상에서는 미미하지만 반대의 경향이 나타났다. 물론, 그림 9~11에서 보이는 추세선은 위와 같이 증폭계수들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좋은 결과를 도출하고 있지만, 실제 각 추세선을 이루고 있는 증폭계수 값들을 비교하면 추세선이 나타내는 경향성과 다른 경향을 보이는 값들도 일부 존재함을 언급하는 바이다.
  • 0초에서 RRS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감쇠비 5%에 해당하는 응답 스펙트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설계지반운동의 신뢰성 있는 예측을 위해, 기반암이 얕아 비교적 단주기적 특성을 보이는 국내 지반 조건에 적합하도록 기반암 깊이(Depth to Bedrock, H)와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Mean Shear Wave Velocity of Soil, Vs,soil)를 동시에 고려하는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고, 이에 따른 지반 증폭계수 및 설계응답스펙트럼을 함께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한 아파트, 철도, 교량, 항만, 도로 등의 다양한 공사현장 지반을 대상으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고,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획득한 각 지반그룹별 단주기 및 장주기 증폭계수의 경향성과 분산정도를 분석함으로써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에 대해 도시하여 그림 4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재현주기에 대한 암반노두가속도를 이용하여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였으나, 여기에서는 재현주기 1,000년 지진에 해당하는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표식을 달리하여, H에 따라 우선적으로 분류된 3가지 지반을 구별하였다.
  • )를 이용하여 지반분류를 수행하고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반암이 상당히 깊은 미국 서부 해안지역에서 기반암 깊이까지의 토층 물성을 모두 설계에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지진시 상대적으로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얕은 심도의 지반 특성을 반영하고자 상부 100ft(약 30m) 토층의 물성을 설계에 이용한다는 취지로써 제안된 방법이다. 그러나 기반암이 주로 30m 이내에 존재하는 국내 지반 조건에 Vs,30을 이용하여 지반분류를 수행한다면, 암반의 물성을 함께 반영하여 지반 분류가 이루어지게 된다.

가설 설정

  • 이를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지반 증폭계수 및 그 표준편차(표 1, 표 2)와 비교하고자 한다. Fa의 경우,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Fa 의 표준편차 값들이(표 6) 기존 연구 결과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H3 지반(그림 8(a))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반 고유주기의 영역이 넓게 분포하여 비교적 큰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며, H1 지반과 H2 지반은 그림 6(a)와 그림 7(a)에서 보듯이 Vs,soil에 따라 지수 형태로 감소하는 특성을 지닌 데이터들에 대하여 각 세부그룹별 평균값을 기준으로 계산한 표준편차이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 여기서, Rrock과 Rsoil은 각각 진원(fault)에서 암반노두와 지표면까지의 거리(hypocentral distance)를 의미하고, 본 연구에서는 Rsoil/Rrock의 경우 진원에서 거리가 먼 경우로 가정하여 1.0으로 계산하였다. RSsoil과 RSrock은 각각 주기가 T인 구조물에 대한 지표면과 암반노두에서의 스펙트럴 가속도 값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 지반그룹별로 제안된 지반 증폭계수로부터 획득한 설계 응답스펙트럼과 지진응답해석 결과로부터 획득한 스펙트럴 가속도의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각 지반그룹별로 제안된 지반 증폭계수로부터 획득한 설계 응답스펙트럼과 지진응답해석 결과로부터 획득한 스펙트럴 가속도의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일부 지반그룹에서 둘 사이의 차이가 발생하였고, 이는 증폭계수 산정방법이 미국지반조건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추후 지반 증폭계수 계산방법을 검토하고, 국내 지반 조건에 적합하도록 적분구간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내진설계시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하중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내진설계시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하중은 구조물이 들어서는 지역, 구조물의 중요도 및 국지적 지반조건 등에 의해 결정되고, 지역 및 구조물의 중요도는 구체적인 설계가 이루어지기 전에 결정되는 요소이므로 결국 국지적 지반조건이 지진하중 결정을 좌우하게 된다. 구조물 하부에 위치한 지반의 국지적 특성에 따라 가변성을 지닌 지반 증폭계수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하중 산정을 위한 직접적인 요소이며, 현재 국내 여러 기관에서 제정한 기준서 및 시방서 등에 명시되어 있다.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하중 산정을 위한 직접적인 요소로는 무엇이 있는가? 내진설계시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하중은 구조물이 들어서는 지역, 구조물의 중요도 및 국지적 지반조건 등에 의해 결정되고, 지역 및 구조물의 중요도는 구체적인 설계가 이루어지기 전에 결정되는 요소이므로 결국 국지적 지반조건이 지진하중 결정을 좌우하게 된다. 구조물 하부에 위치한 지반의 국지적 특성에 따라 가변성을 지닌 지반 증폭계수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하중 산정을 위한 직접적인 요소이며, 현재 국내 여러 기관에서 제정한 기준서 및 시방서 등에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판 경계로부터 멀리 떨어진판 내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미국과 일본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생하는 지진의 규모가 작고 발생빈도가 낮아서 중 약진 지역으로 분류되고(김성균 등, 2001), 내진설계기준 제정을 위한 실지진 기록이 부족하여 지반분류 및 지반 증폭 계수의 경우, 기반암이 깊은 미국 서부 해안지역 지반에 적합하도록 작성된 1997 NEHRP(BSSC, 1997), 1997 UBC(ICBO, 1997)와 같은 미국 기준을 준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건설교통부(1997) 내진설계기준연구(II) - 내진설계성능기준과 경제성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2. 김동수, 추연욱(2001) 공진주시험을 이용한 국내 비점성토 지반의 동적변형특성,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17권, 제5호, pp. 115-128 

  3. 김성균, 이정모, 김준경(2001) 한반도에서 발생가능한 최대지진, 지질학회지, 대한지질공학회, 제37권, 제1호, pp. 107-114 

  4. 선창국, 정충기, 김동수(2005) 국내 내륙의 설계 지반 운동 결정을 위한 지반 증폭계수 및 지반분류 체계 제안,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21권, 제6호, pp. 101-115 

  5. 선창국, 한진태, 최정인, 김기석, 김명모(2007) 지반응답해석 Round Robin Test의 입력 지진파 및 물성에 관한 고찰, 2007 가을 정기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pp. 266-292 

  6. 윤종구, 김동수, 방은석(2006a)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 방법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에 대한 연구 (I) - 국내 내진설계기준의 문제점 분석,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10권, 제2호, pp. 39-50 

  7. 윤종구, 김동수, 방은석(2006b)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 방법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에 대한 연구 (II) - 지반분류 개선방법,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10권, 제2호, pp. 51-62 

  8. 윤종구, 김동수, 방은석(2006c)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 방법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에 대한 연구 (III) -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방법,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10권, 제2호, pp. 63-71 

  9. BSSC (1997) NEHRP Recommended Provisions for Seismic Regulations for New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Part 1- Provisions, 1997 Edition,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 Washington D.C 

  10. Dobry, R. and Martin, G. (1999) Development of Site-Dependent Ratio of Elastic Response Spectra (RRS), Proceeding of the Workshop on Earthquake Site Response and Seismic Code Provisions. 

  11. Dobry, R., Ramos, R., and Power, Maurice S. (1998) Site Factors and Site Categories in Seismic Codes, Technical Report MCEER-99-0010, Multidisciplinary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MCEER), Buffalo, New York 

  12. ICBO (1997) 1997 Uniform Building Code, Volume 2-Structural Engineering Design Provis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of Building Officials, California 

  13. Idriss, I.M. and Sun, J.I. (1992) User's manual for SHAKE91 : a computer program for conducting equivalent linear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horizontally layered soil deposits",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California 

  14. Pacif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PEER), http://peer.berkeley.edu/smcat/search.html 

  15. Schnabel, P.B., Lysmer, J., and Seed, H.B. (1972) SHAKE : A Computer Program for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of Horizontally Layered Sites, Report EERC 72-12,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liforni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