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의 검증 (II) - 국내 실지진 기록을 통한 검증
Verification of 2-Parameters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Site Coefficients (II) - Earthquake Record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8 no.3, 2012년, pp.35 - 43  

이세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구조부지평가실) ,  박동희 (한국수력원자력(주) 중앙연구원 부지재해평가팀) ,  하정곤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김동수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반논문(I. 국외 내진설계기준 및 부지응답특성과의 비교)에 이어서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의 지반 증폭계수가 국내 지반조건 및 지반증폭특성에 적합함을 검증하기 위하여, 2003년 이후 국내에서 발생 또는 영향을 미친 주요 지진에 대한 계측 기록을 분석하였다. 거리가 30km 이내인 암반 계측 관측소와 토사지반 계측 관측소의 계측 자료들을 추출하여 시간영역 가속도 신호로부터 암반 및 토사지반에서의 응답스펙트럼을 각각 결정하였고, 이로부터 단주기 및 장주기 증폭계수를 결정하였다. 일부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들도 존재하였지만, 대부분 국내 지반 특성에 적합하도록 단주기 영역에서의 증폭이 장주기 영역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에서 제안하는 지반 증폭계수는 실지진 계측 기록으로부터 획득한 결과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임으로써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전력연구원에서 운영중인 4개의 765kV 변전소 지진 계측 기록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암반 계측과 토사지반 계측 사이의 거리가 수백 m로 가깝게 설치되었으므로 오류 없이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였고,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의 지반 증폭계수는 경향성 및 절대값에서 실지진 계측 자료 분석 결과와 유사성을 보이면서 국내 지반 조건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llowing the companion paper (I. Comparisons with Well-known Seismic Code and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several acceleration data recorded during recent earthquake events in Korea were analyz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two-parameters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corresp...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는 2002년부터 지진 관측이 활발히 수행되기 시작했고, 그 동안 공학적인 활용이 미흡했던 국내 실지진 계측 자료의 활용이 지진관련 연구자들로부터 점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김준경, 2009; 박동희 등, 2003; 연관희와 서정희, 2007; Lee 등, 2011).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계측된 실지진 기록을 이용하여, 동반논문에서 설명한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김동수 등, 2008)이 현행 국내 내진설계기준에 비하여 국내 지반조건 및 지반 증폭 특성에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 한국전력연구원(KEPRI)은 4개의 765kV 변전소(신안성, 신가평, 신서산, 신태백)에 지진계측시스템을 설치하여 2006년 11월부터 시범 운영중에 있다(지식경제부, 2008). 765kV 변전소의 지진계측시스템은 지진발생시 신속한 피해 평가와 안전조치 그리고 765kV 변전소의 내진 안전성 평가 및 내진설계에 필요한 입력지진동의 확보를 목적으로 구축되었다. 765kV 변전소의 경우 고도가 높은 산의 중턱 일부를 절개한 후 보다 넓은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성토를 실시하고 성토 지반 상부에 변전소를 설치하였다.
  • 그림 7은 신안성 변전소의 지진계측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구조물 하부 기초에서 계측된 가속도 기록을 이용하여 성토 지반에 의한 지반 증폭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나머지 신가평, 신서산, 신태백 변전소의 지진계측시스템은 신안성 변전소와 유사할 것으로 판단된다.
  • 또한 앞서 그림 6에 나타낸 울진해역 지진, 후쿠오카 지진, 오대산 지진에 대해 국내 전역에 분포된 가속도 센서 계측 결과로부터 획득한 지반 증폭계수를 그림 9(b)에 종합하여 도시하였다. 그동안 국내에서 계측된 실지진 기록이 공학적으로 활용 정도가 미미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신설된 765kV 변전소 지진계측시스템 계측 기록을 함께 활용하여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의 국내 지반 조건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추후 만들어질 지진관측소는 765kV 변전소 부지와 같이 암반 노두 인근 토사층 및 지표면에도 가속도 센서를 함께 매설하여 계측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부지효과 평가 및 지반 증폭계수 검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의 국내 지반조건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최근 국내에서 계측된 실지진 기록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지진관측망을 운영하는 주요기관들은 어떻게 협력하고 있나? 국내에서 지진관측망을 운영하는 주요기관으로는 기상청(KMA),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한전전력연구원(KEPRI),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등이 있다. 이 기관들은 1999년 지진관측망운영기관 협의회를 구성하여 지진관측시스템 표준화, 지진관측소 신설, 실시간지진관측망 통합 및 자료 공동이용에 대하여 협력하여 왔다. 2002년부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개발한 실시간 통합지진관측망(KISS : Korea Integrated Seismic System)을 통해 상기 4개 기관은 타 기관의 지진관측 자료를 실시간 공유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지진통보를 담당하는 기상청뿐 아니라 다른 기관에서도 각자의 관측 목적에 맞게 자료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008년 제정된 “지진재해대책법 제5조, 제6조 규정” 및 2010년 제정된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운영기준”에 따라 다양한 시설물에 지진 가속도 계측기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으므로, 향후, 내진대책 및 지진재해 저감, 계측자료를 이용한 내진 연구에 활용도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천부에서 발생한 중규모 지진 또는 대규모 지진의 관측 및 연구에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우 작은 규모의 지진에 대해서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속도 센서를 지진관측 및 연구에 주로 이용하지만, 천부에서 발생한 중규모 지진 또는 대규모 지진의 경우 속도센서의 측정 범위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가속도 센서를 병행하여 운용하기도 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속도 센서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한 편이므로 지진 방재를 위한 계기진도 평가를 위해서 많이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국내에서 지진관측망을 운영하는 주요기관은 어디인가? 국내에서 지진관측망을 운영하는 주요기관으로는 기상청(KMA),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한전전력연구원(KEPRI),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등이 있다. 이 기관들은 1999년 지진관측망운영기관 협의회를 구성하여 지진관측시스템 표준화, 지진관측소 신설, 실시간지진관측망 통합 및 자료 공동이용에 대하여 협력하여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국토해양부, 기상청 (2010),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망 종합계획 : 2010-2014", 551.22087-11-1, 기상청 지진관리관실. 

  2. 기상청 (2009), "http://www.kma.go.kr/". 

  3. 김동수, 이세현, 윤종구 (2008), "기반암 깊이와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를 이용한 국내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 개선",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8권 제1C호, pp.63-74. 

  4. 김준경 (2009), "오대산지진 자료를 이용한 국내 지진관측소 부 지의 지반증폭특성 연구",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제13권 제1호, pp.27-34. 

  5. 박동희, 연관희, 장천중 (2003), "지진관측 자료를 이용한 국내 관측소의 지반특성 분류", 한국지진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61-68. 

  6. 연관희, 서정희 (2007), "지진동모델 파라미터 동시역산을 이용한 지진관측소 분류", 물리탐사학회 논문집, 제10권 제3호, pp.183-190. 

  7. 지식경제부 (2008), "지진발생 시 765kV 변전설비의 내진성능평가 및 안전조치기술 개발", R-2005-0-039, 한국전력연구원. 

  8.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08), "우리나라 지진재해 저감 및 관리대책의 현황과 개선 방안", 한림원연구보고서 51. 

  9. Dobry, R., Borcherdt, R. D., Crouse, C. B., Idriss, I. M., Joyner, W. B., Martin, G. R., Power, M. S., Rinne, E. E. and Seed, R. B. (2000), "New site coefficients and site classification system used in recent building seismic code provisions", Earthquake Spectra, Vol.16, No.1, pp.41-67. 

  10. Dobry, R., Ramos, R., and Power, M. S. (1999), "Site factors and site categories in seismic codes", Technical Report MCEER-99-0010, Multidisciplinary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11. Idriss, I. M. (1991), "Earthquake ground motions at soft soil sites",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cent Advances in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and Soil Dynamics, Rolla, Missouri, Vol.3, pp.2265-2273. 

  12. Joyner, W. B., Fumal, T. E., and Glassmoyer, G. (1994), "Empirical spectral response ratios for strong motion data from the 1989 Loma Prieta, California, earthquake", Proceedings of the 1992 NCEER/SEAOC/BSSC Workshop on Site Response During Earthquakes and Seismic Code Provisions, G. R. Martin, ed.,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A, November 18-20, 1992, National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Special Publication NCEER-94-SP01, Buffalo, NY. 

  13. Lee, Sei-Hyun, Sun, Chang-Guk, Yoon, Jong-Ku, Kim, Dong-Soo (2011),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site coefficients for regions of shallow bedrock in Korea",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Accepte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