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에서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변화가 경질폴리우레탄 폼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socyanate Index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Rigid Polyurethane Foam under Sea Water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19 no.4, 2008년, pp.427 - 431  

강성구 (경기대학교 화학공학과) ,  조일성 (경기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상범 (경기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수 하에서 경시변화에 따른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를 변화시키며 경질 폴리우레탄 폼(PUF)을 합성하였다. 해수 하에서 이소시아네이트의 인덱스가 90, 100, 130, 150으로 증가함에 따라 PUF의 인장강도는 각각 10%, 3%, 7%, 4%씩 감소하였고, 압축강도는 각각 7%, 6%, 5%, 4%씩 감소하였다. PUF의 물성저하를 규명하기 위해 PUF의 기공을 확인한 결과 기공의 변화는 없었다. 해수 하에서 PUF의 유리전이온도($T_g$), 인장 모듈러스는 증가하였는데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결과 우레아, 알로파네이트, 바이우렛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수 하에서 PUF는 가교도 증가하고 이로 인해 폼이 brittle하게 형성되어 $T_g$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 것으로 사료된다. 해수 하에서 PUF의 물성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만능시험기, 시차 주사 열량계, 주사 전자 현미경, 적외선 분광계를 이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igid polyurethane foams (PUF) were prepared using polyols with 90, 110, 130, and 150 isocyanate index. The effect of sea wat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UF with the increase in isocyanate (NCO) index and ageing time was investigated. Tensile strengths and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PUF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폴리우레탄 폼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데는 유리하지만 수분에 의해 가수분해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에 의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를 변화시키면서 합성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변화를 고찰하였다.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기계적 강도는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화학적 구조변화는 시차주사열량계와 적외선 분광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우레탄 폼은 상온과 초저온에서 어떤 기계적 성질을 가져야 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무엇을 사용하는가? 폴리우레탄 폼은 LNG선박의 화물창이나 LNG지상용 저장탱크의 단열재로도 사용되고 있다. LNG저장탱크용 폴리우레탄폼은 상온과 초저온에서 우수한 기계적인 강도와 플라이우드와 유사한 선팽창계수등의 특성을 가져야 하며, 이러한 기계적 성질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한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폴리우레탄 폼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데는 유리하지만 수분에 의해 가수분해되는 단점이 있다.
폴리우레탄의 물성은 무엇에 민감하게 반응하는가? 열역학적으로 소프트 세그먼트와 하드 세그먼트는 폴리우레탄에서 양립하여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분리된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의 소프트 세그먼트와 하드 세그먼트의 상 분리와 상 혼합에 의해서 폴리우레탄의 성질은 크게 영향을 받는다[5-8]. 폴리우레탄의 물성은 각 세그먼트의 구조, 중합방법, 조성비 등에 의한 상 분리도와 상 분리 형태등에 따라서 매우 민감하게 변화하는데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9]. Camberlin 과 Pascult는 Fox equation을 사용하여 분리율은 하드 세그먼트의 상호작용과 함께 증가한다고 보고하였고, Wagener는 하드 세그먼트의 상 분리율은 소프트 세그먼트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을 보고하였다[10,11].
우레탄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폴리우레탄은 1849년 독일의 Wurtz와 Hoffman이 최초로 하이드록실기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을 발표하면서 폴리우레탄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1937년 Otto Bayer에 의하여 상업적인 용도로 개발되었다[1,2]. 폴리우레탄은 우레탄과 우레아를 포함하고 있는데, 우레탄은 수산기를 갖고 있는 알코올과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부가 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되고 우레아는 물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carbamic acid에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고 생성된 아민이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우레탄반응에서 형성된 우레탄과 우레아와 반응하여 각각 알로파네이트와 바이우렛을 형성하여 경질 폴리우레탄의 가교를 증가시킨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H. Choi,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0, 621 (1999) 

  2. G. Oertel, Polyurethane Handbook, chap. 2, Hanser Publisher, New York (1993) 

  3. G. Woods, The ICI Polyurethanes Handbook, John Wiley & Sons, 2nd ed., New York (1990) 

  4. E. Kontou, G. Spathis, M. Niaounakism, and V. Kefalas, Collid. Polym. Sci., 268, 636 (1990) 

  5. H C. Jung, S. J. Kang, W. N. Kim, S. B. Kim, Y. B. Lee, and S. H. Hong, KIGAS 2, 59 (1998) 

  6. H. F. Mark, N. M. Bikales, C. G. Overberger, and G. Menges,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John Wiley & Sons, 2nd Ed. vol 13 (1988) 

  7. J. H. Saunder and K. C. Frisk, Polyurethanes; Chemistry and Technology,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vol 1 (1964) 

  8. V. A. Vilensky and Y. S. Lipatov, Polymer, 35, 3069 (1994) 

  9. C. Hepburn, Polyurethane Elastomers, Elsevier Science, New York (1992) 

  10. Y. Camberlin and J. P. Pacult, J. Polym. Sci. Polym Chem. Ed., 21. 415 (1983) 

  11. K. B. Wagener, J.r. Matayabas, J. C., and S. Wanigatunga, Macromolecules, 22, 3211 (1989) 

  12. T. O. Ahn, S. U. Jung, H. M. Jeong, and S. W. Lee, J. Appl. Polym. Sci., 51, 43 (1994) 

  13. S. S. Kim and J. N. Park,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0, 614 (1999) 

  14. Y. B. Lee, S. H. Choi, and G. H. Choi., KIGAS, 9, 16 (2005) 

  15. K. Kolat, G. Neser, and C. Ozes, Composite Structures, 78, 11 (2007) 

  16. M. Rutkowska, K. Krasowska, A. Heimowska, I. Steinka, and H. Janik,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76, 233 (2002) 

  17. A. Lapprand, F. Boisson, F. Delolme, F. Mechin, and J. P. Pascault,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90, 36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