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칠 기법 규명을 위한 칠도막의 현미경 관찰
Observation by the Microscopic Analysis of Lacquer Layer for Identification of Lacquer-ware Function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6 = no.153, 2008년, pp.96 - 104  

김수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이광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대 칠 기법을 규명하기 위하여 4가지 그룹의 표준칠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투광, 낙사광, 편광)을 이용한 관찰을 실시하였다. 그룹 I 은 투명한 적갈색을 띠며 일부 층의 구분이 불명확하였고 연마가 된 층은 구분이 쉽게 되었다. 그룹 II는 대부분 투명 황갈색을 띠며 목재표면에 먼저 흑색안료를 메운 후 칠한 칠층과 흑색안료를 혼합하여 칠 한 칠층은 구분이 가능하였다. 그룹 III은 칠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층 부분이 먼저 막을 형성하고 내부는 칠과 불포화지방산산화 건조되어 상층의 칠층이 분리되어 관찰되었다. 그룹 IV의 칠도 막은 편광에서 관찰시 철 성분이 검은색과 붉은색으로 혼합되어 보이며 토분은 실리카 결정이 빛의 반사에 의하여 구분되어 졌다. 또한 석간주 칠층은 붉은색을 띠고 주칠과 석간주가 혼합된 칠은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짙은 붉은 색을 띠며 가운데는 밝은 붉은색으로 구분되어 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observation of test pieces with an optical microscope was carried out after fabricating 4 groups of standard lacquer,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ancient lacquering techniques. Group I had transparent reddish brown color, and the part of layer was indefinite, and the layer poli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대 칠 기법을 밝히기 위하여 우선 국산 생칠과 재료를 사용하여 대조 구로 표준 칠편을 제작하였고 칠도막 프레파라트를 만들어 현미경적 방법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김경수, 유해선, 이용희. 2003. 낙랑칠기의 칠기법 조사. 박물관보존과학. 4: 79-88. 

  2. 김경수, 유해선, 이용희. 2003. 낙랑칠기의 칠기법조사. 박물관보존과학. 4: 79-88. 

  3. 김수철, 이광희. 신성필. 2007. 무령왕릉 목관재 및 칠기의 수종과 칠 기법 연구. 무령왕릉 출토유물분석보고서 (III). pp. 202-231. 

  4. 김수철, 이용희, 이효선. 2004. 출토 칠기의 칠기법 조사. 제20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pp. 101-102. 

  5. 송홍근. 1998. 정제옻칠의 생산기술 개발. 농림개발사업연구보고서. 

  6. 岡田文男. 1995. 古代出土漆器의 硏究. 京都書院. 

  7. 李容喜, 安秉燦, 岡田文男. 1994. 韓國古代漆器の下地中に混和された骨粉について. 日韓における考古遺物の材質, 技法に?する分析の比較硏究. 平城4,5年渡科?硏究費補助金硏究成果報告書. 

  8. 李容喜. 1994. 統一新羅時代漆器の材質と技法. 日韓における考古遺物の材質, 技法に?する分析の比較硏究.平城4,5年渡科?硏究費補助金硏究成果報告書. 

  9. 中里壽克. 1985. 古代漆下地の硏究. 保存科學. 24: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