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의 다문화, 다인종 사회로의 이행 과정에서 중요한 사회 변동의 축으로 자리잡은 여성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지역사회 수용성의 제 단면을 질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도시(안산)와 농촌(영암) 지역의 내국인 주민 2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인식과 접촉 경험,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개방성 및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 관한 인식을 조명하였다. 심층면접 결과, 조사된 지역주민들은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 인식과 개방적 태도를 지니고 있지만 이러한 긍정적 인식의 실체는 한국사회에 깊게 뿌리박힌 가부장제와 성역할 고정관념에 기반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 문화 적응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 역시 한국문화에 대한 일방적 동화를 전제로 공생관계를 인정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현 단계로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유입 및 그들과의 상호작용 경험이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양방향의 문화통합을 추구하는 형태의 문화적 다원화 과정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및 의의, 그리고 장래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한국 사회의 다문화, 다인종 사회로의 이행 과정에서 중요한 사회 변동의 축으로 자리잡은 여성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지역사회 수용성의 제 단면을 질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도시(안산)와 농촌(영암) 지역의 내국인 주민 2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인식과 접촉 경험,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개방성 및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 관한 인식을 조명하였다. 심층면접 결과, 조사된 지역주민들은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 인식과 개방적 태도를 지니고 있지만 이러한 긍정적 인식의 실체는 한국사회에 깊게 뿌리박힌 가부장제와 성역할 고정관념에 기반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 문화 적응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 역시 한국문화에 대한 일방적 동화를 전제로 공생관계를 인정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현 단계로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유입 및 그들과의 상호작용 경험이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양방향의 문화통합을 추구하는 형태의 문화적 다원화 과정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및 의의, 그리고 장래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overall receptivity of community members to migrant wives in Korea. A total of 23 community members from two regions, Ansan, an urban area and Youngam, a rural area, were selected for the interview based on their prior experience with migrant wives. Data were collected...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overall receptivity of community members to migrant wives in Korea. A total of 23 community members from two regions, Ansan, an urban area and Youngam, a rural area, were selected for the interview based on their prior experience with migrant wives. Data were collected via a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The participants provided their personal feelings and thoughts on a variety of issues involving migrant wives, such as how they perceive migrant wives' original culture and lifestyles, the nature of their interaction experience with migrant wives, their overall evaluation of migrant wives, their opinions about migrant wives' cultural adaptation, and their opinions about the on-going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society into a multi-racial, multi-cultural society. Interview results indicated that, although the participants' attitude toward migrant wives was positive, the overall receptivity to migrant wives was largely based on the traditional sex-role stereotypes typically found in the Korean society. Moreover, the vast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endorsed a narrow-minded, uni-directional perspective on cultural adaptation which puts far greater emphasis on migrant wives' assimilation into the host culture than reciprocal influence process between the two cultures.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overall receptivity of community members to migrant wives in Korea. A total of 23 community members from two regions, Ansan, an urban area and Youngam, a rural area, were selected for the interview based on their prior experience with migrant wives. Data were collected via a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The participants provided their personal feelings and thoughts on a variety of issues involving migrant wives, such as how they perceive migrant wives' original culture and lifestyles, the nature of their interaction experience with migrant wives, their overall evaluation of migrant wives, their opinions about migrant wives' cultural adaptation, and their opinions about the on-going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society into a multi-racial, multi-cultural society. Interview results indicated that, although the participants' attitude toward migrant wives was positive, the overall receptivity to migrant wives was largely based on the traditional sex-role stereotypes typically found in the Korean society. Moreover, the vast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endorsed a narrow-minded, uni-directional perspective on cultural adaptation which puts far greater emphasis on migrant wives' assimilation into the host culture than reciprocal influence process between the two cultures.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