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상추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Chlorine Dioxide 및 상업적 Chlorine 살균소독제의 저해효과 평가
Inhibitory Effects of Chlorine Dioxide and a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Against Foodborne Pathogens on Lettuc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4 no.4, 2008년, pp.445 - 451  

최미란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선영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chlorine dioxide and a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for inhibiting foodborne pathogens, including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and Escherichia coli O157 : H7, on lettuce leaves. The lettuce samples were inoculated with each coc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lO2와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상업적 염소소독제를 액체형태로 농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하였을 때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Typhemurium 에 대한 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상업적 염소소독제보다 ClO2 에서 세 가지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관찰하였고(p < 0.
  • 본 연구는 상업적 염소소독제와 ClO2의 양상추에 오염된 세 가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세 가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동일한 농도의 ClO2는 상업적 염소소독제에 비하여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 염소 소독제와 ClO2의 양배추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ClO2는 상업적 살균소독제 보다 살균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든 처리 구간에서 2 log 전후의 감소를 보여 높은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또한 살균소독제를 처리했을 때 생성될 수 있는 injured celle 죽지 않고 살아남아 저장 시 생육하여 식중독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인 요소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살균소독제의 처리 시 잠재적인 위해성을 가진 injured cell 의 생성에 대하여도 조사하였다.
  • 특히, National Advisory Committee on Microbiological Criteria for Foods(NACMCF)에서는 새싹 채소에 사용되는 종자에 calcium hypochlorine 20, 000 ppm을 처리하여 병원성미생물을 5 log cycle 감소하였으나, 그 농도가 너무 높으며 20, 000 ppm 이하의 농도에서는 병원성 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키는데 만족할만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선농산물 중 양상추를 대상으로 각각 증류수, ClO2, 국내에서 상업적으로 상용되고 있는 염소계소독제를 이용하여살균소독을 실시했을 때 주요 병원성 미생물(E. coli O157 :H7, L.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 에 대한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살균소독제를 처리했을 때 생성될 수 있는 injured celle 죽지 않고 살아남아 저장 시 생육하여 식중독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인 요소로 알려져 있다.

가설 설정

  • 1) Means with the same letter within a column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2) Means with the same letter within a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교육인적자원부. 2004. 학교 급식 위생 관리 지침서 제2차 개정 

  2. 김혜영. 2004. 단체급식소에서 이용되는 일부 생채소의 소독방 법 및 저장에 따른 품질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20(6):684- 695 

  3. 류경. 2001. 생채소 과일의 세척 및 소독. 대한영양사협회 국민영양. 2001년 1월호 통권 225호. pp 23-25 

  4. 문혜경, 전지영, 김창순. 2004. 단체급식 비가열조리 생채소의 소독 효과.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0(4):381-389 

  5.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http://www.kfda.go.kr/index.html 

  6. 이선영, 정진호, 진현호, 김영호, 오세욱. 2007. 에어로졸 형태의 상업적 살균소독제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해효과 평가. J Food Hyg safety 22(4):235-242 

  7. Benarde MA, Israel BM, Oliveri VP, Granstrom ML. 1965. Efficiency of chlorine dioxide as a bactericide. Appl Microbiol 13(5):776-780 

  8. Beuchat LR, Larry R. 1996. Pathogenic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fresh produce. J Food Prot 59(2):204-216 

  9. Beuchat LR. 1998. Surface decontamin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eaten raw. Document WHO/FSF/FOS/98.2.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10. Beuchat LR, Farbar JM, Garrett EH, Harris LJ, Parish ME, Suslow TV, Busta FF. 2001. Standardization of a metho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sanitizers in inactivating human pathogenic microorganisms on row fruits and vegetables. J Food Prot 64(7):1079-1084 

  11. Burnett SL, Beuchat LR. 2001. Human pathogens associated with raw produce and unpasteurized juices and difficulties in decontamination. J Ind Microbiol Biotechnol 27(2):104-110 

  12. Han Y, Linton RH, Nielsen SS, Nelson PE. 2001.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green peppers(Capsicum annuum L.) by gaseous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water washing and its growth at 7 $\circC$ . J Food Prot 64(3):1730- 1738 

  13. Kang DH, Fung DYC. 1999. Thin agar layer method for recovery of heat-injured Listeria monocytogenes. J Food Prot 62(11): 1346-1349 

  14. Kang DH, Siragusa GR. 1999. Agar underlay method for recovery of sublethally heat-injured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65(12):5334-5337 

  15. Lee SY, Kang DH. 2001. Suitability of overlay method for recovery of heat-injured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Typhimurium. Food Sci Biotechnol 10(3):323-326 

  16. Lee SY, Yun KM, Fellman J. Kang DH. 2002. Inhibi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mung bean sprouts by chemical treatment. J Food Prot 65(7): 1088-1092 

  17. Lillard HS. 1979. Levels of chlorine dioxide of equivalent bactericidal effect in poultry processing water. J Food Sci 44(6): 1594-1597 

  18. Marcy AW, Bonita AG, Mark LG, Cheryll AR. 2000.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 : H7 counts on whole Fresh apples by treatment with sanitizer. J Food Prot 63(6):703-708 

  19. McCarthy SA, Motes ML, McPhearson RM. 1990. Recovery of heat stressed Listeria monocytogenes from experimentally and naturally contaminated shrimp. J Food Prot 53(1):22-25 

  20. Park HO, Kim CM, Woo GJ, Park SH, Lee DH, Chang EJ, Park KH. 2001. Monitering and Trands Analysi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in Recent Years in Korea. J Food Hyg Safety 16(4):280-294 

  21. Rhee MS, Lee SY, Hillers VN, Mcccurdy SM, Kang DH. 2003. Evaluation of consumer-style cooking method for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 : H7 in ground beef. J Food Prot 66(6):1030-1034 

  22. Rolando JG, Yaguang L, Saul RC, James LM. 2004. Efficacy of sanitizers to inactivate Escherichia coli O157 : H7 on freshcut carrot shreds under simulated process water conditions. J Food Prot 67(11):2375-2380 

  23. Weissinger WR, Chantarapanont W, Beuchat. 2000. Survival and growth of Salmonella baildon in shredded lettuce and diced tomatoes, and effectiveness of chlorinated water as a sanitizer. J Food Microbiology 62(1):123-131 

  24. Youm HJ, Ko JK, Kim MR, Cho YS, Chun HK, Song KB. 2005.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citric acid treatment on microbial safety and quality control of minimally processed and refrigerated(MPR) sala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1):129-133 

  25. Zhang S, Farber JM. 1996. The effects of various disinfectant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on fresh-cut vegetables. Food Microbiol 13(4):311-3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