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머위(Petasites japonicus)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암활성 효과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Butterbur (Petasites japonicus) Extract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1 no.4, 2008년, pp.265 - 269  

서훈석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자원학과) ,  정봉환 (서원대학교 친환경 바이오소재 및 식품센터) ,  조용구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머위의 뿌리, 줄기, 잎을 사용하여 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고, 추출물을 분획 정제하여 암세포 생장 억제성을 실험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머위 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96.7%의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추출 용매에 따른 머위의 SOD 유사활성은 물 추출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이 더욱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전체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머위 잎이 223mg/g dry weight으로 가장 높았다. 시료별로 전자공여능 효과를 살펴보면 머위 뿌리의 물 추출물에서 61.5%, 머위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34.9%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냈다. 암세포 생존 억제성의 실험에서 머위 추출물의 분획물들은 정상세포 DC2.4의 생육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위암세포주 SNU-719의 생육은 41.9%로 크게 억제시켰고, 간암세포주 Hep3B의 생육은 72.7% 억제시켰다. 본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머위를 이용한 새로운 기능성 식품 소재 및 약용자원식물로 개발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butterbur (Petasites japonicus) derived from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were investigated. SOD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differed according to the extraction solvents, showing a greater antioxidant effect with ethanol solvent than that of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XTT assay는 Hep3B 간암세포와 DC2.4 정상세포는 DMEM 배지에서 48시간 배양하여 1x105cell/well이 되게 농도를 조정하였고, SNU-719 위암세포는 RPMI-1640 배지에 48 시간 배양하여 1x105cell/well이 되게 농도를 조정하여 실험하였다. 96 well plate에 배지와 세포 100㎕씩 분주하고 100 /ml, 200㎕/ml, 300㎕/ml, 400㎕/ml, 500㎕/ml 농도의 시료를 2㎕씩 첨가하여 37C, 5% CO2 incubator에서 12시간 배양하였다.
  • 우선 검량선을 작성하기 위해 표준물(Gallic acid)을 증류수로 희석 후 농도별로 희석하였다. 각각 시험관에 넣고, 2% Na2CO3, 50% Folin과 Ciocalteu's phenol reagent를 첨가하여 30분간 방치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위와 동일 방법으로 실시한 다음 O.
  • 식물체의 부위별로 전자공여능효과가 다름을 알 수 있다. 기존에 이루어졌던 실험의 경우(Cho et al., 2001)는 머위 잎에 대해서 한 가지추출액을 사용해 이루어졌지만,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의 상용화 활용을 위해 뿌리, 줄기, 잎에 대해 각 부위별로 물과 에탄올 두 가지의 추출액을 사용해 실험을 하였다. 물의 경우는 약초 차나 음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기 위한 것이고, 에탄올의 경우는 그 외의 다른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머위 수집종의 뿌리, 줄기, 잎을 사용하여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고,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머위 추출물의 분획별 위암 및 간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 4㎕를 잘 혼합시켜 4분 경과 후 원심분리기에서 12000rpm으로 3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상등액만을 취하고 실온에서 10분경과 후 5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것을 무 첨가 구와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 었다.
  • 각각 시험관에 넣고, 2% Na2CO3, 50% Folin과 Ciocalteu's phenol reagent를 첨가하여 30분간 방치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위와 동일 방법으로 실시한 다음 O.D. 값을 구하고 농도를 계산하여 시료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으로 역산하였다 (Slinkard et al., 1977).
  • 약용식물의 분획물 제조는 시료로 사용한 머위는 건조 후 분쇄하여 메탄올 1:5(W/V)로 첨가한 후 상온에서 3회 추출하고 여과하여, 회전 진공증발기로 농축한 후 80% 메탄올을 첨가하여 극성에 따라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의 순으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다. 각 용매 분획물은 rotary evaporator로 농축한 후 냉동건조하여 DMSO로 녹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선 검량선을 작성하기 위해 표준물(Gallic acid)을 증류수로 희석 후 농도별로 희석하였다. 각각 시험관에 넣고, 2% Na2CO3, 50% Folin과 Ciocalteu's phenol reagent를 첨가하여 30분간 방치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위암 및 간암에 대한 항종양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인체 유래 위암세포주 SNU-719와 간암세포주 Hep3B를 선택하여 XTT 분석에 의한 세포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머위의 분획물을 각 세포에 100㎕/ml, 200㎕/ml, 300㎕/ml, 400㎕/ml, 500/ml 농도별로 증가시킬 때 정상세포인 DC2.
  • 재식거리는 120cm 이랑에 90cm 간격으로 1주씩정식하여 재배하였으며, 재배시 잡초와의 경합(競合)을 막기 위해 부직포로 멀칭을 하였다. 이듬해 5월 중순 머위를 수확하여 수세 후 40°C 건조실에서 2일간 음건하였고 마쇄하여 분말로 만든 후 각종 항산화 및 항암성 관련 분석을 실시하였다.
  • 96 well plate에 배지와 세포 100㎕씩 분주하고 100 /ml, 200㎕/ml, 300㎕/ml, 400㎕/ml, 500㎕/ml 농도의 시료를 2㎕씩 첨가하여 37C, 5% CO2 incubator에서 12시간 배양하였다. 이에 XTT 용액을 50㎕ 첨가하여 3시간 동안 37C, 5% CO2 incubator에서 발색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450〜650nm에서 측정하였다.
  • 재식거리는 120cm 이랑에 90cm 간격으로 1주씩정식하여 재배하였으며, 재배시 잡초와의 경합(競合)을 막기 위해 부직포로 멀칭을 하였다. 이듬해 5월 중순 머위를 수확하여 수세 후 40°C 건조실에서 2일간 음건하였고 마쇄하여 분말로 만든 후 각종 항산화 및 항암성 관련 분석을 실시하였다.
  • 전자공여능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분석하였다(Blois, 1958). 앞에서 준비한 분석용 시료 중에 100㎕를 취하여 1X10­ 4M DPPH 1.

대상 데이터

  • 세포주 배양은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암세포로서 인간 위암 세포인 SNU-719, 간암세포인 Hep3B를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고, 시료 자체의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세포로서 인간의 면역력 세포인 DC2.4를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SNU-719는 RPMI-1640 배지에 10% FBS를 첨가하고 1% penicillin-streptomycin, 2- mercaptoethanol 250㎕를 첨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고, Hep3B 세포와 DC2.
  • 4를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SNU-719는 RPMI-1640 배지에 10% FBS를 첨가하고 1% penicillin-streptomycin, 2- mercaptoethanol 250㎕를 첨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고, Hep3B 세포와 DC2.4 세포는 DMEM 배지에 10% FBS를 첨가히.고 1% penicillin-streptomycin, 2-mercaptoethanol 250 첨가하였다.
  • 전국 각지의 산야에서 자생하는 머위(Petasites japonicus) 를 수집하여 충북 괴산군 청안면에 위치한 시험포장에 이식하여 관리하였다. 재식거리는 120cm 이랑에 90cm 간격으로 1주씩정식하여 재배하였으며, 재배시 잡초와의 경합(競合)을 막기 위해 부직포로 멀칭을 하였다.

이론/모형

  •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측정방법은 Marklund의 방법에 따라 각 시료 추출액 80㎕에 Tris-HCl 1.2 7.2mM Pyrogallol 80㎕를 가하여 잘 혼합하여 25C 항온수조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1 N HCl 40㎕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Marklund et al., 1974).
  •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s 방법에 의해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선 검량선을 작성하기 위해 표준물(Gallic acid)을 증류수로 희석 후 농도별로 희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8-1202 

  2. Brattstrom, A. 2003. A newly developed extract (Ze 339) from butterbur (Petasites hybridus L.) is clinically efficient in allergic rhinitis (hay fever). Phytomedicine 10: 50-52 

  3. Cho, B.S., J.J. Lee, J.O. Ha and M.Y. Lee. 2006.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 Korean J. Food Preserv. 13(5): 661-667(in Korean) 

  4. Cho, S.Y., Y.B. Han and K.H. Shin. 2001.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1): 133-137(in Korean) 

  5. Choi, O.B. 2002. Anti-allergic effects of Petasites japonicum. Korean J. Food & Nutr. 15(4): 382-385(in Korean) 

  6. Jee, Y.H. and C.S. Lee. 1996. Pathological changes on rats and mice fed with Petasites japonicus Maxim. Korean J. Vet. Res. 36(2): 417-428(in Korean) 

  7. Kikuchi, M. 1973.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flower stalk of Petasites japonicus Maxim VII. on the components of the volatile oil. Yakugaku Zasshi 93: 123-126 

  8. Lee, C.H., M.C. Chung, H.J. Lee and Y.H. Kho. 2000. An apoptosis regulator isolated from Petasites japonic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2): 448-453(in Korean) 

  9. Lee, K.S., M.G. Kim and K.Y. Lee.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2): 182-186 

  10. Lee, J.S., Y.K. Park, Y.S. Ahn, H.S. Kim, M.N. Chung, B.C. Jeong and J.K. Bang. 2007.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sweetpotato tips. Korean J. Crop Sci. 52(2): 228-238 

  11. Marklund, S. and M. Gudrun.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2. Oh, S.H., Y.H. Yang, O.Y. Kwan and M.R. Kim. 2006. Effects of diet with added Butterbur(Petasites japonicus Maxim) on the plasma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index of m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4): 399-407 

  13. Slinkard, K. and V.L. Singleton. 1977. Total phenol analysi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 Am. J. Ecol. Vitic. 28(1): 49-56 

  14. Wang, G.J., A.Y. Shum, Y.L. Lin, J.F. Liao, X.C. Wu, J. Ren and C.F. Chen. 2001. Calcium channel blockade in vasscular smooth muscle cell is major hypotensive mechanism of S-petasin, a hypotensive sequiterpene from Petasites formosanus. J. Pharmacol. Exp. Ther. 297: 240-246 

  15. Yaoita, Y. and M. Kikuchi. 1994. Eremopetasidione a Norsesquiterpenoid form the rhizomes of Petasites japonicus. Phytochem. 37: 1765-1766 

  16. Yaoita, Y. and M. Kikuchi. 1994. Petasiphenone a phenolic compound form rhizomes of Petasites Japonicus. Phytochem. 37: 1773-1774 

  17. Yaoita, Y. and M. Kikuchi. 1994. Structures of six new eremophilenolides from the rhizomes of Petasites Japonicus. Pharm. Bull. 42: 1944-1947 

  18. Yoo, J.S., Y.K. Song and H.H. Lim. 2007. Studies on the antioxidant effects of Carthami Flos extract. J. Korean Oriental Med. 28(1): 137-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