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서 증착거리와 증착온도가 무기 액정 배향막의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Influences of Target-to-Substrate Distance and Deposition Temperature on a-SiOx/Indium Doped Tin Oxide Substrate as a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18 no.10, 2008년, pp.521 - 528  

박정훈 (부산대학교 전자공학학부) ,  손필국 (부산대학교 전자공학학부) ,  김기범 (부산대학교 물리학부) ,  박혁규 (부산대학교 물리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sent the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amorphous silicon suboxide (a-$SiO_x$) films grown on indium tin oxide glass substrates with a radio frequency magnetron technique from a polycrystalline silicon oxide target using ambient Ar. For different substrate-targe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박막을 마그네트론 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ITO박막위에 증착할 때, 증착거리와 증착온도가 성장된 박막의 두께, 조성, 표면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X선 회절법(X-ray diffraction),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원자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투과율 측정(optical transmittance measurement), 임피던스 측정(impedance spectroscopy)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액정박막 표시장치에 액정 배향막 화학구조, 표면성질, 전기/광학적 성질을 증착거리와 증착온도의 변화만으로 제어할 수 있는지를 알아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정질 산화규소 박막을 제작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특히 응용분야가 집적화 기술과 관련 되어 영상표시분야와 전자부품분야로 집중되며 비정질SiOx 박막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1,2) 비정질 산화규소 박막을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metal-organic chemical-vapor deposition,3)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4) sol-gel,5) pulsed laser deposition,6) 스퍼터링(sputtering),7,8,9) ion implantation10,11)과 같은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 중에서도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은 단순하면서도 여러가지 변수를 쉽게 제어할 수 있어 고품질의a-SiOx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비정질 산화규소는 어떤 한계가 있어 박막화를 통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고 이루어지고 있는가? 비정질 산화규소(a-SiOx)는 소결성이 매우 낮아서 벌크 상태로는 고밀도 제조가 어렵고, 다공성 상태로 존재하여 응용의 한계가 있어서 박막화를 통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응용분야가 집적화 기술과 관련 되어 영상표시분야와 전자부품분야로 집중되며 비정질SiOx 박막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액정 영상표시장치에 액정 배향막으로 사용되는 ITO가 증착된 유리기판위에 후막 SiOx의 증착온도와 증착거리별 성장특성을 조사하여 어떤 결과를 얻었는가?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액정 영상표시장치에 액정 배향막으로 사용되는 ITO가 증착된 유리기판위에 후막 SiOx의 증착온도와 증착거리별 성장특성을 조사하였다. X선 회절법을 통하여 ITO위에 성장된 절연 막이 비정질 형태로 잘 성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증착 온도가 증가할수록 박막의 성장속도가 선형적으로 감소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Ox박막 성장에서 타켓과 시료간의 거리와 증착온도가 낮을수록 박막의 속도가 증가함을 알수가 있었다. X선 분광법에 분석한 조성비는 증착거리가 8 cm인 경우 증착온도가 증가할수록 조성비는 1.52에서 1.34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증착거리 d = 10 cm인 경우에는 150°C를 기준으로 조성비가 변화하였다. 증착온도가 30°C에서 150°C로 증가함에 따라서 조성비 x는 1.63에서 1.54까지 감소하였다. 증착 온도 200도, 300도에서 성장된 SiOx박막의 경우에는 오히려 x값이 1.54에서 1.64로 증가하였다. SiOx박막은 조성비 x가 0에 가까울 수록 가시광선 영역에서 불투명한 광학적 성질을 보인다. 전기적, 광학적 특성변화는 박막의 조성비 변화와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박막의 표면 거칠기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것은 박막의 성장률 감소 경향과 동일 하였다. Nematic 액정을 이용하여 액정 셀을 제작 하였을 때 조성비 x값이 1.6보다 작은 경우에는 액정분자들이 a-SiOx박막위에서 수직배향을 보였으며 x값이 1.6보다 큰 경우에는 수평배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X선 회절, 원자현미경 등의 복잡한 측정을 이용하지 않고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율 값의 변화를 통하여 액정 영상표시 장치의 특성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1. K. D. Hirschman, L. Tsybeskov, S. P. Duttagupta and P. M. Fauchet, Nature, 384, 338 (1996) 

  2. A. Hohl, T. Wieder, P. A. van Aken, T. E. Weirich, G. Denniger, M. Vidal, S. Oswald, C. Deneke, J. Mayer and H. Fusses, J. Non-cryst. Solids, 320, 255 (2003) 

  3. Z.-X. Ma, X.-B. Liao and J. He, J. Appl. Phys., 83, 7934 (1998) 

  4. X. Y. Chen, Y. F. Lu, L. J. Tang, Y. H. Wu, B. J. Cho, X. J. Xu, J. R. Dong and W. D. Song, J. Appl. Phys., 97, 014913 (2005) 

  5. V. Belot, R. J. P. Corriu, D. Leclercq, P. Lefevre, P. H. Mutin, A. Vioux and A. M. Flank, J. Non-cryst. Solids, 127, 207 (1991) 

  6. T. Makimura, Y. Kunii, N. Ono and K. Murakami, Jpn. J. Appl. Phys., Part II, 35, L1703 (1996) 

  7. S. Hasegawa, L. He, T. Inokuma and Y. Kurata, Phys. Rev. B, 46, 12478 (1992) 

  8. H. S. Bae, T. G. Kim, C. N. Whang, S. Im, J. S. Yun and J. H. Song, J. Appl. Phys., 91, 4078 (2002) 

  9. N. Tomozeiu, E. E. van Faassen, A. Palmero, W. M. Arnoldbik, A. M. Vredenberg and F. H. P. M. Habraken, Thin Solid Films, 447, 306 (2004) 

  10. R. S. Brusa, G. P. Karwasz, G. Mariotto, A. Zecca, R. Ferragut, P. Folegati, A. Dupasqueier, G. Ottaviani and R. Tonini, J. Appl. Phys., 94, 7483 (2003) 

  11. G. R. Lin, C. J. Lin and K. C. Yu, J. Appl. Phys., 96, 3025 (2004) 

  12. F. J. Himpsel, F. R. McFeely, A. Taleb-Ibrahimi, J. A. Yarmoff and G. Hollinger, Phys. Rev. B, 38, 6084 (1988) 

  13. A. Pasquarello, M. S. Hybertsen and R. Car, Phys. Rev. Lett., 74, 1024 (1995) 

  14. C. Yi, H. U. Kim, S. W. Rhee, S. H. Oh and C.-G. Park, J. Vac. Sci. Technol. B, 19, 2067 (2001) 

  15. A. B. Christie, In: J. M. Walls (E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in methods of surface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987, p. 157. 

  16. J. F. Watts and J. Wolstenholme, An introduction to surface analysis by XPS and AES,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2003, p. 76 

  17. E. D. van Hattum, A. Palmero, W. M. Arnoldbik, H. Rudolph and F. H. P. M. Habraken, J. Appl. Phys., 102, 124505 (2007) 

  18. K.-N. Tu, J. W. Mayer, L. C. Feldman, Electronic Thin Film Science, 1st ed., p. 100-193,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992) 

  19. A. K. Kulkarni and L. C. Chang, Thin Solid Films, 301, 17 (1997) 

  20. N. I. Cho and D. I. Park, Thin Solid Films, 308/309, 465 (1997) 

  21. W. T. Tseng, Y. L. Wang and J. Niu, Thin Solid Films, 370, 96 (2000) 

  22. W. Tang, K. Xu, P. Wang and X. Li, Microelectronic Engineering, 66, 445 (2003) 

  23. H. Rinnert, M. Vergnat, G. Marchal and A. Burneau, J. Lumin., 80, 445 (1999) 

  24. H. Miyazaki and T. Goto, J. Non-Cryst. Solids, 352, 329 (2006) 

  25. H. Rinnert, M. Vergnat and G. Marchal, Mater. Sci. Eng. B, 69/70, 484 (2000) 

  26. G. Baur, V. Wittwer and D. W. Berreman, Phys. Lett. A, 56, 142 (1976) 

  27. T. J. Scheffer and J. Nehring, J. Appl. Phys., 48, 1783 (1977) 

  28. D. L. Smith, Thin-film deposition principles and practices, 1st ed., p 23-25, McGraw Hill, San Francisco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