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6세기 조선 기녀의 일반 연회(宴會) 규정복식 고증 디자인 연구;문화콘텐츠용 이미지 작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Official Costume of 16th Century Gineyo in Scholar's Banquet;Focusing on the Image Design for Cultural Content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2 no.8, 2008년, pp.1322 - 1331  

최해율 (원광대학교 패션디자인. 산업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official costume of Joseon Ginyeo in the scholar’s banquet in 16th century, thereby making correct historical animation, drama costumes, and various costume contents. Every Ginyeo in and wore a long yellow coat with short front edge. 'Dan-ei', Ginyeo’s c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악학궤범(樂學軌範)」권 9에는 궁중 여기들의 복장 규정 (女妓服飾)이 있었으므로, 지방 관아의 관리를 받던 관기들도 연회에 동원되어 가무를 선보이고 시중을 들 때 착용하는 규정복장을 따로 갖추고 있었을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16세기 기녀의 일반연회용 규정복식 유물은 찾아보기 어려우므로, 16세기의 연회도와「악학궤범」및 관련 사서에 기록된 여기 (女妓) 복식 품목을 중심으로 관찰하려고 한다. 특히농암 종가의 연회도에 묘사된 기녀들은 모두 비슷한 복식을 착용하고 있어, 이것이 당시의 관기 규정 복식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어 중심 자료로 선택했다.
  • 조선의 기녀 복식에 대한 연구는 일찍부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의 선행연구로는 남후선(2000), 정옥임, 김경희(2002), 박재선(2003)의 궁중 무용의상에 관한 연구, 장민정(2004)의 조선시대 기녀복식 연구, 최경희(2006) 의 논개복식 연구 등이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궁중무복(舞服)과 평상복, 외줄복을 위주로 한 것이 많고 조선 중기 기녀의 일반연회용 규정복식을 중심으로 한 것은 상대적으로 적으며, 본 연구는 이 점을 보완하여 더욱 다양한 고증복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기존자료가 적은 16세 기 조선 기녀의 일반연회용 규정복식에 대한 효과적인 문화콘텐츠를 제공하고, 의상 구현을 위한 자세 한 정보를 미리 마련하기 위한 고증 디자인 이미지 작업이다. 2D와 3D 애니메이션 의상인 경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므로 도식화 또는 패턴 및 직물자료가 제공되면 실물제작 없이도 상당한 수준의 재현이 가능하다.
  • 기녀들의 의복재료에는 큰 제한이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16세기 복식의 특성을 지닌 양반가 여인들의 복식 유물도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의상들을 자세히 분석하고 현대 인체와 직물에 맞도록 디자인하려고 한다. 제작팀에게 디테일과 태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시중에서 판매되는 참고직물과 도식화를 함께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복식 2천년. 서울: 신유문화사 

  2. 국립중앙박물관. (2005). 호조낭관계회도. 자료검색일 2008, 3. 1, 자료출처 http://www.museum.go.kr/kor/ 

  3. 김영재. (2004). 이응해 출토복식의 바느질법과 특성. 충주 박물관 (편),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pp. 157-166). 서울: CMCad 

  4. 국역 조선왕조실록. (2004). KoreaA2Z 동방미디어 한국학데 이터베이스연구소. 자료검색일 2008, 3. 22, 자료출처 http://www.koreaa2z.com/sil99/index.html 

  5. 남후선. (2000). 朝鮮 後期 宮中舞踊服飾의 服色思想 硏究(I) ?육화대, 무산향, 춘앵전을 중심으로?. 복식, 50(4), 73?87 

  6. 도량형 환산표. (2002). 공구사랑. 자료검색일 2008, 03. 24, 자료출처 http://www.mok09.co.kr/data/change.htm 

  7.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 편. 대전: 금강인쇄사 

  8. 박재선. (2003). 呈才 服飾 色彩에 관한 硏究.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백두현. (2006). 청주출토 순천김씨 의복 및 간찰. 문화재청 (편), 문화재대관: 중요민속 자료 (2) 복식자수 편 (pp.274-281). 대전: 금강인쇄사 

  10. 성현, 신말평, 유자광. (1493). 악학궤범. 민족문화추진회 옮김 (1978). 국역 악학궤범 I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1. 송미경. (2007). 17세기 전기 여자 염습의(殮襲衣)의 일례?김 확 배위 동래정씨(1567-1631)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10(2), 129?140 

  12. 심연옥. (2004). 이응해 출토복식 직물연구. 충주박물관 (편),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pp. 169-199). 서울: CMCad 

  13. 아세아문화사. (1983). 朝鮮王朝法典集書:經國大典. 서울: 아세아문화사 

  14. 이은주. (2000). 16세기 중엽의 上衣類에 대한 조형적 고찰 ?경북 안동시 정상동 一善 文氏 묘 출토복식을 중심으 로?. 아시아민족조형학보, 1(5), 119?140 

  15. 이정섭. (2002). 문중 유물의 성격과 특징?경북 북부지방의 전적과 고문서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편), 선비, 그 멋과 삶의 세계 (pp. 150-160). 서울: 대성당인쇄사 

  16. 이혜자. (2007). 17.18세기 耆老宴圖의 官僚服飾 硏究. 복식, 57(5), 112?122 

  17. 장민정. (2004). 조선시대 기녀복식(妓女服飾) 연구. 한국외 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정옥임, 김경희. (2002). 궁중 무용의상에 관한 연구?유럽 일 반 복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복식, 52(7), 123?138 

  19. 조선희. (2005). 전통신의 조형미와 제작실태에 관한 연구(I) ?운혜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8(3), 55?63 

  20. 조효숙. (2006). 청원 전 박장군묘 출토유물. 문화재청 (편), 문 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 편 (pp. 318-329). 대전: 금강인쇄사 

  21. 조효순, 원혜은. (2004). 사극 드라마 의상제작에 관한 연구 ?제국의 아침과 무인시대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7(3), 99?111 

  22. 최경희. (2006). 조선 중기 기녀복식에 관한 연구?진주 '논개' 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최해율. (2001). 몽골여자복식의 변천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서울: CMCad 

  25. 한국국학진흥원. (2002). 선비, 그 멋과 삶의 세계. 서울: 대성당인쇄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