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역의 계절적인 퇴적환경 변화특성
Characteristics of Seasonal Variation to Sedimentary Environment at the Estuary area of the Nakdong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0 no.4, 2008년, pp.372 - 389  

윤은찬 (부경대학교 건설공학부) ,  이종섭 (부경대학교 건설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에서 상세한 격자망을 구성하여 표층 퇴적물을 계절별로 채취하였다. 퇴적물의 계절적인 변화특성과 장기간의 변화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입도분석과 기존 자료들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퇴적물 분포는 계절적으로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낙동강 하구둑의 방류량과 입사파랑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질퇴적물들은 연간 탁월 파향인 ENE 계열 파랑의 영향으로 낙동강 하구역의 서쪽 진우도 전면으로의 이동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니질퇴적물은 흐름을 따라 수심이 깊은 외해쪽으로 이동하여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상은 과거의 연구 결과들과 비교하여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formed a detailed grid at the estuary area of the Nakdong and collected the surface sediments. Particle size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existing data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and long-term changes in the sediment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해역의 지형변화 예측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인 표층 퇴적물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과거 낙동강 하구역에서 수행된 퇴적물 조사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체계적인 현지조사를 수행하여 계절적인 퇴적물 분포 특성을 조사·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해역인 낙동강 하구역의 표층퇴적물의 분포를 상세하게 조사하기 위해서 기존의 연구들에 비하여 최대 간격 1 km의 조밀한 격자망을 구성하여 계절별로 표층퇴적물을 조사하였다. 하계인 1차 조사 부터 춘계인 4차 조사까지의 정점의 수는 시기별로 약간 차이가 나며 1차 조사의 경우 2007년 7월 31일~8월 1일의 기간에 총 69개 정점에서, 2차 조사의 경우 2007년 10월 31일~11월 1일의 기간에 총 74개 정점에서, 3차 조사는 2008년 1월 29일~30일의 기간에 75개 정점에서 그리고 4차 조사는 2008년 4월 29일~30일의 기간에 총 76개 정점에서 표층퇴적물을 채취 하였다.
  • 이러한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환경의 변화는 주변 해안지형의 변화, 토사유출량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들에 기인할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 중에서 낙동강 하구둑으로부터 유출되는 토사량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수자원공사의 낙동강 하구둑 접근수로의 퇴사량 및 준설량 자료를 조사하였다. Fig.

가설 설정

  • 분급도의 분포는 (Fig. 9(b)) 사질 퇴적물이 존재하는 지역은 하계와 동일하게 매우 분급이 양호하게 나타고 니질 퇴적물들이 존재하는 외해쪽에서는 분급이 불량하거나 매우 불량하다. 퇴적 상의 분포는(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 하구둑이 건설된 이후로 하구 지형에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였는데 윤 등(2007)은 무엇을 고찰하였는가? 낙동강 하구역은 낙동강 하구둑이 건설된 이후로 하구 지형에 커다란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되었다(이 등, 1994; 김, 2005; 김 등, 2007). 윤 등(2007)은 이러한 낙동강 하구역의 사주변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수행된 기존의 문헌들을 정리하여 하구사주 변형에 대하여 고찰을 하였다. 그러나 윤 등(2007)의 연구에서도 밝혔듯이 대상해역에서 지형변화와 관련하여 공학적인 사주변형 예측수법을 이용하여 지형변화를 예측한 예가 없고 이러한 예측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들의 구축도 미비한 실정이다.
하구역의 퇴적환경을 지배하는 외력에는 무엇이 있는가? 하구역의 퇴적환경을 지배하는 외력은 하천류, 조석, 파랑 등으로 매우 복잡하다. 낙동강 하구역 주변은 1987년 낙동강 하구둑 및 제방 등의 인공구조물의 설치로 인하여 하구역의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어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낙동강 하구역 주변은 무엇의 설치로 인하여 하구역의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어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가? 하구역의 퇴적환경을 지배하는 외력은 하천류, 조석, 파랑 등으로 매우 복잡하다. 낙동강 하구역 주변은 1987년 낙동강 하구둑 및 제방 등의 인공구조물의 설치로 인하여 하구역의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어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Elliott and McLusky (2002)는 하 구역의 정의, 분류, 모니터링, 평가, 보고 그리고 관리를 위한 일반적인 체계를 제시하였고, 실제 하구역의 관리에 앞서 각 지역에 적합한 정의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 구역의 지형적인 특성을 기본으로 다양한 자료의 수집을 강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4), 361-374 

  2. 김석윤, 하정수 (2001).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 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4(3), 268-278 

  3. 김성환 (2005).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0(4), 416-427 

  4. 김성환, 류호상, 신영호 (2007).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 표층퇴적물의 입도특성과 공간적 분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1), 43-53 

  5. 김원형, 이형호 (1980). 낙동강 하구지역의 퇴적물운반 및 퇴적에 관한 고찰. 한국지구과학회지, 16(3), 180-188 

  6. 김항묵 (1988). 한국 낙동삼각주 일대의 구조 및 퇴적환경의 평가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9(1), 45-69 

  7. 반용부 (1985). 낙동강삼각주의 퇴적물 입경분석. 지리학연구, 10, 713-747 

  8. 윤한삼, 유창일, 강윤구, 류청로 (2007).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21(2), 22-34 

  9. 이유대 (1993). 부산만 해저지질의 특성 연구 : 낙동강 하 구 수역의 퇴적 영력. 한국지구과학회지, 14(1), 67-74 

  10. 이종섭, 김가야, 박일흠, 주귀홍 (1994). 낙동강 하구둑 건설 후의 하구사주 변천과정.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논문집(II), 171-174 

  11. Blott, S.J. and Pye, K. (2001). 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6, 1237-1248 

  12. Davis, R.A., Hayes, M.O. (1984). What is a wave-dominated coast?, Marine Geology, 60, 313-329 

  13. Elliot, M. and McLusky, D.S. (2002). The Need for Defiinitions in Understanding Estuarie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5, 815-827 

  14.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6 

  15. Galehouse, J.S. (1971). Sedimentation analysis.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New York, Wiley Interscience, 69-94 

  16. Ingram, R. (1971). Sieve analysis.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New York, Wiley Interscience, 49-67 

  17. Konert, M. and Vandenberghe, J. (1997). Comparison of laser grain size analysis with pipette and sieve analysis : a solution for the underestimation of the clay fraction. Sedimentology, 44, 523-535 

  18. Passega, R. (1964). Grain size representation by CM patterns as a geological tool.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34, 830-8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