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수계의 유역환경 변화에 따른 퇴적환경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iver Sediments in Watershed Environment of Nakdong River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2 no.4, 2019년, pp.316 - 323  

이권철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김신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양득석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박수정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정현기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이규열 (낙동강유역환경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서 강우, 유량 등 유역환경의 변화가 퇴적환경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강정고령보의 상류 구간에서 장마 기간 이후 퇴적물의 입도분포가 세립해지며, 유기물질 및 영양염류의 농도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장마 기간 동안 증가한 유량에 의해 부유물질, 유기물질 등이 공급된 후 인공구조물로 인한 유수의 일시적인 정체로 퇴적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낙동강 수계 모든 지역의 퇴적환경을 지시할 수는 없지만 보와 같은 인공구조물이 설치된 지역 인접한 구간에서의 퇴적물 성상 변화를 이해하는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변화하는 수계의 환경에 따라 퇴적물 내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 등이 수계에서 내부오염원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s in Nakdong River sediments. For this purpose, sediments at six sites upstream of Gangjeong-Goryung Weir in the middle of the Nakdong River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Particles size, IL, TOC, TN, TP,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 유역환경 변화에 따른 퇴적 환경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낙동강 수계의 퇴적물 대상으로 유기물과 영양염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강우량, 방류량 등의 유역환경 변화가 보와 같은 인공구조물 상류 구간의 퇴적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서 강우, 유량 등 유역환경의 변화가 퇴적환경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강정고령보의 상류 구간에서 장마 기간 이후 퇴적물의 입도분포가 세립해지며, 유기물질 및 영양염류의 농도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정고령보는 어떤 지역인가? 본 연구의 조사지점은 강정고령보 상류 약 1.2 km에 해당되며, 강정고령보는 길이가 953.5 m (고정보 833.5 m, 가동보 120 m)로 4대강 16개 보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상류에 많은 지류하천이 포함되는 지역이다(DDG, 2019). 퇴적물 조사지점은 강정고령보 상류 약 1.
강정고령보의 상류 구간에서 장마 기간 이후 퇴적물의 입도분포가 세립해지며, 유기물질 및 영양염류의 농도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그 원인은 무엇으로 판단되는가? 강정고령보의 상류 구간에서 장마 기간 이후 퇴적물의 입도분포가 세립해지며, 유기물질 및 영양염류의 농도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장마 기간 동안 증가한 유량에 의해 부유물질, 유기물질 등이 공급된 후 인공구조물로 인한 유수의 일시적인 정체로 퇴적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낙동강 수계 모든 지역의 퇴적환경을 지시할 수는 없지만 보와 같은 인공구조물이 설치된 지역 인접한 구간에서의 퇴적물 성상 변화를 이해하는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천의 퇴적물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 2012). 하천의 퇴적물은 유역에서 유입되는 각종 유기물질이 모래, 점토, 광물질 등과 함께 하상의 변화와 유속의 저하에 의해서 운반력이 약화된 곳에 쌓이거나 화학적으로 침전되어 형성하게 된다(NIER, 2012). 형성된 퇴적층은 일정기간 축적되어 수온, pH, 용존산소(DO), 산화환원전위(ORP), 유속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환경요인과 저서생물 등의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분해, 확산, 생물교란 등의 과정에 의해 퇴적물에서 수계로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J.M., T.H. Im, S.M. Kim, S.S. Lee, S. Kim, K.C. Lee, Y.S. Kim and D.S. Yang. 2018. Evaluating sediment heavy metal pollution level and monitoring network representativeness at the upstream points of the Gangjeong-Goryeong Weir in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7(7): 477-488. 

  2. Ahn, J.M., T.H. Im, I.J. Lee, K.L. Lee, K.Y. Jung, J.W. Lee, S.U. Cheon and I.H. Park. 2014. A study on efficiency of water supply through conjunctive operation of reservoirs and multy-funtion weirs in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0(2): 138-147. 

  3. Cho, Y.C. and S.W. Chung. 2007. Sediment release rate of nutrients from Namyang Reservoi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9: 1345-1352. 

  4. Digital Dalseong Grandculture (DDG) http://dalseong.grandculture.net/Contents/index?localdalseong (accessed october. 2019). 

  5. Ha, S.R., J.Y. Lee and G.S. Lee. 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with storm density flows in a stratified dam reservoir, Proceeding of the 2009 Spring Co-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95-96. 

  6. Hwang, J.Y., E.J. Han, S.J. Yu, Y.S. Yoon, S.E. Cheon and T.K. Kim. 1999. Distribution of the organic contenrs in reservoir sediment. Environmental Impact Aseessment 8(2): 95-107. 

  7. Hwang, K.Y., S.Y. Park, W.S. Baek, J.H. Jung, Y.H. Kim, W.S. Shin, N.J. Lee and I.S. Hwang. 2007. Speciation and leaching potential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of Nakdong Ri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1(1): 113-122. 

  8. Jeon, S.B., P.J. Kim, S.S. Kim, J.S. Ju, Y.H. Lee, D.S. Chang, J.U. Lee and S.Y. Park. 2012.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geochemical component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Deukryang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15(3): 203-214. 

  9. Jeong, A. and K. Jung. 2015, Analysis of long-term riverbed-level and flood stage variation due to water gate operation of multi-functional weirs at Geum River.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8(5): 379-391. 

  10. Kim, I.J., S.I. Hwang and H.J. Kim. 2010. Freshwater sediment management and beneficial use of dredged material.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0(10): 1-103. 

  11. Kim, S., J.M. Ahn, H.G. Kim, H.G. Kwon, G.H. Kim, D.S. Shin and D.S. Yang. 2018.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s of surface sediments from the Nakdong-Goryeong mid-watershe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7: 411-423. 

  12. Kim, S., J.E. Kim, K.C. Lee, K.Y. Lee, H.R. Jeon, J.J. Yu, I.J. Lee and J.M. Ahn. 2015. Distribution and pollution of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from Nakdong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8): 969-980. 

  13. Lee, B.H., H.J. Cho, S.B. Lee and B.S. Ryu. 1996. Characteristics of leachate and ways of usage of polluted dredged sediments in the Nak Dong Ri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6(2-4): 399-409. 

  14. Lee, I.C., K.H. Kim, C.R. Ryu and Y.T. Kim. 2004. A study on the analysis of behavior of inflowing sediments in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2004(5): 218-222. 

  15. Lee, K.Y., J.E. Kim, K.C. Lee, K.L. Lee, I.J. Lee and T.H. Im. 2013. Characteristics of change in DOC concentration according to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and suspended solids in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4): 540-550. 

  16. Lee, K.Y., K.C. Lee, J.E. Kim, S. Kim, J.M. Ahn and T.H. Im. 2015. A study on the nutrient release characteristics from sediments in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6): 644-652. 

  17. Lee, S.E., I.S. Choi, S.K. Lee, I.H. Lee and J.M. Oh. 2012. The evaluation of pollution level and release characteristics by inner productivity in the sediment of lak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1): 81-91. 

  18. MOE. 2012. Official test methods of water quality, Notification No. 2012-99,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Republic of Korea. 

  19. MOLIT. 2009. River maintenance master plan in the Nakdong River,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ejong, Republic of Korea. 

  20. Muller, P.J. 1977. C/N Ratio in pacific deep-sea sediment: Effect of inorganic ammonium and organic nitrogen compounds sorbed by clay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1(6): 765-776. 

  21. NIER. 2012. Diversion Weir Edge Research and Management Studies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Republic of Korea. 

  22. Oh, K.H., J.Y. Kim, Y.K. Koh, S.T. Youn, S.E. Shin, B.Y. Park, B.C. Moon and H.G. Kim. 2003,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amin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streams of gwangju cit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4): 346-360. 

  23. Sampei, Y. and E. Masumoto. 2001. C/N Ratios in a sediment core from Nakaumi Lagoon, southwest Japan - usefulness as an organic indicator -. Geochemical Journal 35: 189-205. 

  24. Son, K.I. and C.L. Jang. 2017.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ation and sediment budget in Nakdong River under weir operations.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0(9): 587-595. 

  25.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EIS) http://water.nier.go.kr/publicMain/mainContent.do (accessed october. 2019). 

  26. Water Resoure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http://www.wamis.go.kr/ (accessed october. 2019). 

  27. Yoon, E.C. and J.S. Lee. 2008. Characteristics of seasonal variation to sedimentary environment at the estuary area of the Nakdo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0(4): 372-3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