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월경전증후군 여대생의 영양소 섭취량 및 식품선호도와 혈액성상 조사
A Study of Nutritional Intakes, Food Preference and Blood Composi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3 no.4, 2008년, pp.565 - 572  

김주연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안홍석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nutritional intakes and preference food and blood compos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premenstrual syndrome. Based on physical measurement test results, both groups showed no noticeable difference and both group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ccording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경전증후군 정도에 따른 여대생의 영양소섭취량과 생리 전 식품선호도, 혈액성상을 살펴봄으로서 월경전증후군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여성의 주기적인 변화에 적절히 대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정도에 따른 건강상태와 생활습관 및 섭식양상, 혈액성상을 비교 분석하여 월경전증후군의 요인을 살펴봄으로서 여성의 생리주기에 따른 변화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월경전증후군은 무엇인가? 월경전증후군은 월경 5~10일 전과 월경기간 동안 월경을 하는 여성들의 50%가 경험하는 매우 흔한 부인과적 장애로(Woods 1985) 여성들이 월경 전에 쉽게 피곤해지고 기분이 저조해지거나 두통 및 복통 등의 신체적 증상을 느끼는 증상이다(Sullivan 1996). 월경전증후군을 일부 여성들은 월 경이 곧 시작할 것이라는 신호로 생각하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우울증이나 단 음식에 대한 갈망, 유방통, 공격성 같은 증상이 심각해져 여성 자신의 생활에 파괴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며(Sullivan 1996) 심하면 이혼이나 자살의 충동 혹은 범죄 의도까지 보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볼 때 그 영향은 적지 않게 보여 진다.
월경전증후군 원인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2%가 심한 정도의 월경전증후군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제시되는 월경전증후군 원인들에는 스트레스, 성격특성, 월경에 대한 태도 등의 심리적 요인과 호르몬의 불균형, 염분축적 등의 생리적 요인, 영양 불균형의 식이요인(Lauersen 1985; Tayler 등 1991)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호르몬의 불균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Lauersen(1985), Lee(1998), Smith & Shiff(1989)은 에스트로겐 과다 분비와 프로게스테론과 프로스타글란딘의 결핍으로 월경전증후군이 발생한다고 보고하였으나 Lee(1998)는 월경전증후군의 일종인 월경 전 긴장이 있는 사람이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에스트로겐이 낮았다고 하였다.
월경전증후군의 증상은 대부분 언제부터 시작되며 특히 어떤 연령대의 여성에게 증상 호소가 심한가? 이러한 증상은 주로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에 대부분 시작되는데(Dunnihoo 1992) 특히 20대 여성에게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증상 호소가 많고 정도도 더 심하며(Park 1999) 심각한 생활사적 스트레스로 작용한다(Johnson 1987). 미국과 영국에서는 가임기 여성 중 1/3이 월경전증후군을 호소하고 있으며(Lauersen 1985) 그 중 10% 정도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을 정도로 그 증세가 심하다고 한다(Woods 1982; Lauersen 19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endich (2000): The potential for dietary supplement to reduce premenstrual syndrome (PMS) symtoms. J Am Coll Nutr 19(1): 3-12 

  2. Bussell G (1998): Premenstrual syndrome and diet. J Nutr & Enviro Med 28(3): 65-75 

  3. Dunnihoo DR (1992): Menstrual problems. The fundamentals of Gynecology and Obstetric, pp. 622-627, JB. Lippincott Company, Philadelphia 

  4. Jang NS, Kim JM, Jung BS, Kim CY, Lee C (2002): Food cravings, Appetite and Taste Palatability in Women with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Korean Nutr Soc 35(3): 314-321 

  5. Jeong BS, Chang NS, Kim JM, Kim CY, Lee C (2002): Food Oravings, appetite, and taste palatability in women with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or. Korea J Nutr 35(3): 314-321 

  6. Johnson SR (1987): The epidemiology and social impact of premenstrual symptoms. Clin Obestet Gynecol 30(3): 368-369 

  7. Kendall KE, Schnurr PP (1987): The effects of vitamin B6 supplementation on premenstrual syndromes. Obstet Gynecol 70(3) : 145-149 

  8. Kim BR, Im YS (1998): A style of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by body mass index. Korean J Community Nutr 3(1): 44-52 

  9. Kim JY (2006): Research on dietary habits and blood compos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effect of foot reflexology on relieving premenstrual syndrome. PhD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pp. 65-67 

  10. Kim MZ (2004): The effect of self-foot veflexology on the relief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nhea in high school girls. Korean J Society Nursing Science 34(5): 801-808 

  11. Kim SY, Cha BK, Park PS (1998): Macro nutrient intakes during menstural cycle in young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3(2): 210-217 

  12.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3. Lauersen NH (1985):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Nurse Pract 10(3): 11-17 

  14. Lee YS (1998): Acute Changes in Lipoprotein Cholesterol and Apoprotein with Aerobic Exercise of Different Intensitie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35(1): 188-201 

  15. London RS, Bradley L, chiamori NY (1991): Effects of nutritional supplement on premenstrual symptomatology in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 a double blind longitudical study. J am Coll Nutr 10(2): 494-499 

  16. Moos RH (1968): Psychological aspects of oral contraceptives. Arch Gen. Psychiatry 19(1): 87-95 

  17. O'Brien (1983): P.M.S. Helping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B M J 307(4): 1471-1475 

  18. Park YE, Lee DH (2002): A study on socio-psychological stresses affected with health status. J Korean soc for health edu & promo 13(1): 65-74 

  19. Park IG (1999): The effects aerobics dance with machine weight exercise on blood electroyte variables according to 12 week training om college women.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 pp. 18-23 

  20. Park KE (2001): A study on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attitude. Korean Women's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7(3): 359-372 

  21. Pearlstein T, Steiner M (2000): Non-antidepressant treat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J Clin Psychiatry 61 (suppl 12): 22-27 

  22. Ryu HK, Yoon JS (2000): A study of factors inducing weight control behavior in adolescent females. Korean J Community Nutr 5(3): 444-451 

  23. Smallwood J, Ah-kye D, Taylor I (1986): Vitamin B6 in the treatment of premenstrual mastalgia. Br J Clin Nutr 40(2): 532-543 

  24. Steinberg S, Annable L, Young SN (1999): A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of L-tryptophan in premenstrual dysphoria. Biol Psychiatry 45(3): 313-320 

  25. Smith S, Schiff I (1989): The premenstrual syndrome diagnosis and management. Fertility and Sterility 52(4): 527-543 

  26. Steege JF, Blumensthal JA (1993):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premenstrual symptoms in middle aged womens: a preliminary study. J Psychosom Res 37(3): 127-133 

  27. Sullivan N (1996): Dysmenorrhea, In Gynecology Well-Women Care, pp. 333-343, Material. Philadelphia 

  28. Tayler RJ, Fordyce ID, Aleander DA (1991):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premenstrual symptom. Br J Gen Practice 41(3): 55-57 

  29. Thys-Jacoba S, Starkey P, Bernstein D (1998): Calcium carbonate and the premenstrual syndrome: effects on premenstrual and menstrual symptome. Am J Obstet Gynecol 179(3): 444-452 

  30. Thys-Jacobs S (2000): Micronutrients and the premenstrual syndrome. J Am Coll nutr 19(2): 220-227 

  31. Woods NF (1982): Employment, family roles and mental ill health in young married women. Nursing Research 34(1): 4-10 

  32. Woods NF (1985): Relationship of socialization and stress to remenstrual symptoms disability, menstrual attitudes. Nursing Research 34(3): 145-149 

  33. Wang M, Seippel L, Purdy RH, Backstrom T (1996):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severity and steroid variation in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study on serum pregnenolone, pregnenolone sulfate, 5 $\alpha$ -pragnane-3, 20-dione and 3 $\alpha$ -hydroxy- 5 $\alpha$ -pragnan-20-one. J Clin Endocrinol Metab 81(3): 1076-1082 

  34. Walker AF, De Souza MC, Vickers MF, Abeyasekeras, Collins ML, Trinca LA (1998): Magnesium supplementation alleviates premenstrual symptom of fluid retention. J Womens Health 7(2): 1157-11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