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lass-Al2O3 복합소재를 원료로 한 LTCC 다층회로 기판의 제조
Fabrication of LTCC Multi-layer Circuit Board made of Glass-Al2O3 Composites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1 no.6, 2008년, pp.509 - 516  

곽훈 (동의대학교 나노공학과) ,  전형도 (동의대학교 나노공학과) ,  김환 (동의대학교 나노공학과) ,  이원재 (동의대학교 나노공학과) ,  신병철 (동의대학교 나노공학과) ,  김일수 (동의대학교 나노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lti-layer circuit card for semiconductor inspection was fabricated by LTCC technology. After a proper impedance design without electrical interference, ceramic tapes with the composition of $CaO-Al_2O_3-SiO_2-B_2O_3$ glass and $Al_2O_3$ were prepared. The electrode with sil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은은 경도가 낮으므로 외부에 드러난 은 전극은 벗겨질 위험이 크다. 연구에서는 내부 전극방식과 같이 스크린 프린팅기법으로 은 전극을 인쇄하고, 그 위에 은보다 전도특성은 나쁘지만 기계적 특성이 좋은 니켈과 금도금을 하여 이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 결국 PCB로는 반도체 회로의 복잡, 소형화추세를 따르기에 어렵고, 소형화, 고용량화를 위한 새로운 소재로 만든 기판의 출현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LTCC기술을 이용하여 다층회로 기판을 제작해 보았다,
  • 이 기술은 반도체 전체 공정 중에 불량품 테스트를 한번만 하여 제품화하는 기술이다. 반도체를 검사하는 기판은 그간 PCB (Printed Circuit Board)가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좁은 via pitch 간격올 소화하기 어렵고, via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D. Amey and P. Barnwell, 'Ceramic Technology for Integrated Packaging for Wireless', IEEE Integrated Circuits Symposium, p. 63, 1999 

  2. C. Q. Scrantom and J. C. Lawson, 'LTCC Technology: Where We are and Where We're Going', IEEE Symposium on technologies for wireless applications, p. 193, 1999 

  3. 강남기, 이우성, 김준철, 박종철, '수동소자 내장형 LTCC 개발동향', 세라미스트, 8권, 3호, p. 12, 2005 

  4. 신효순, 여동훈, 김효태, 김종희, '차세대정보통신과 세라믹스', 세라믹스, 1월호, p. 71, 2007 

  5. O. Dernovsek, A. Naeini, G. Preu, W. Wersing, M. Eberstein, and W. A. Shiller, 'LTCC glass-ceramic composites for microwave application', J. Eur. Ceram. Soc., Vol. 21, p. 1693, 2001 

  6. 윤중락, 이성원, 이헌용, 'Glass frit 및 $TiO_2$ 첨가에 따른 LTCC용 마이크로파 유전체의 유전특성',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17권, 9호, p. 942, 2004 

  7. 김관수, 윤상옥, 심상흥, 박종국, '저온소결 세라믹스용 $SiO_2-B_2O_3-R(CaO,\;BaO,\;ZnO,\;Bi_2O_3)$ 붕규산염계 세라믹/유리 복합체의 특성',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20권, 1호, p. 19, 2007 

  8. Y. J. Choi, J. H. Park, J. H. Park, S. Nahm, and J. G. Park, 'Middle- and high permittivity dielectric compositions for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J. Eur. Ceram. Soc., Vol. 27, p. 2017, 2007 

  9. J. J. Bian, D. W. Kim, and K. S. Hong, 'Glass-free LTCC microwave dielectric ceramics', Mat. Res. Bull., Vol. 40, No. 12, p. 2120, 2005 

  10. Q. L. Zhang, H. Yang, J. L. Zou, and H. P. Wang, 'Sintering and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LTCC-zinc titanate multilayers', Materials Letters, Vol. 59, p. 880, 2005 

  11. 남명화, 김효태, 황준철, 남중희, 여동훈, 김종희, 남산, ' $BaSn(BO_3)_2$ 세라믹스의 저온소결 및 유전특성', 한국세라믹학회지, 43권, 2호, p. 92, 2006 

  12. 송순모, 'LTCC 및 동시소성 MLCC용 저온소성 glass', 세라미스트, 8권, 3호, p. 44, 2005 

  13. K. Watanabe, 'Coalescence and crystallization in powder high cordierite glass', J. Am. Ceram. Soc., Vol. 85, No. 4, p. 102, 1985 

  14. C. C. Cheng, T. E. Hsieh, and I. N. Lin,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glass- ceramic composites for low temperature co-firable ceramics', J. Eur. Ceram. Soc., Vol. 23, p. 2553, 2003 

  15. K. G. Ewsuk, L. W. Harrison, and F. J. Walezak, 'Sintering glass-filled ceramic composites: Effect of glass properties', Vol. 1[B], p. 969, Ed. by G. L. Messing e.a., American Ceramic Society, Westerville, OH, 1988 

  16. K. G. Ewsuk 'Ceramic-filled glass composite sintering', Vol. 5, p. 279, Ed. by K. M. Nair e.a., American Ceramic Society, Westerville, OH, 1990 

  17. M. Valant, D. Suvorov, R. C. Puller, K. Sarma, and N. M. Alford, 'A mechanism for low temperature sintering', J. Eur. Cer. Soc., Vol. 26, p. 2777, 2006 

  18. M. Valant and D. Suvorov, 'Microstructural phenomena in low firing ceramics',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Vol. 79, p. 104, 2003 

  19. P. Liu, H. Ogawa, E. S. Kim, and A. Kan,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low- temperature sintered $Ca[(Li_{1/3}Nb_{2/3})Ti]O_3-\delta$ ceramics', J. Eur. Cer. Soc., Vol. 24, p. 1761, 2004 

  20. P. W. McMillan, 'Glass Ceramics', p. 209, Academic Press, NY, 1979 

  21. E. S. Kim, B. S. Chun, J. D. Kim, and K. H. Yoon, 'Low-temperature sintering and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Ca_{0.6}(Li_{0.5}Nb_{0.5})_{0.4}]_{0.45}Zn_{0.55}TiO_3$ ceramics', Mater. Sci. Eng. B, Vol. 99, No. 1, p. 246. 2003 

  22. Y. Imanaka, 'Multilayered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LTCC) Technology', Springer Inc., NY, 2005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