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리스페리돈(risperidone)은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처방되고 있는 정신분열증 치료제로서 소아자폐증의 선택약물로 FDA 승인을 받았으며 틱장애, 뚜렛장애의 치료제로도 쓰이고 있다. 치과와 관련된 리스페리돈의 이상반응으로 구강건조가 보고되고 있으며 그 기전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스페리돈이 타액분비 기전의 중요한 요소인 세포내 칼슘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수준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세포내 칼슘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Human salivary gland cell line(HSG)에 Fura-2/AM을 세포내로 부하한 뒤 340 및 380 nm의 파장으로 교대로 여기시킬 때 방출되는 형광강도를 500 nm 파장에서의 비율로 측정하였다. 각 실험 후 형광강도의 비율을 실제 세포내 칼슘농도로 보정하기 위한 calibration 실험을 시행하였다. 카바콜, ATP, 히스타민을 처리하여 세포내 칼슘농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리스페리돈의 전처리가 이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SG에서 카바콜, ATP, 히스타민 처리로 인해 세포내 칼슘농도가 증가하였으며 리스페리돈을 전처리한 경우 카바콜과 ATP의 작용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였다. 2. HSG의 세포내 칼슘 변화에 미치는 히스타민의 효과는 농도의존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50% 유효농도($EC_{50}$)는 $3.3{\pm}0.5\;{\mu}M$이었다. 3. 히스타민에 의한 HSG에서 칼슘 변화에 미치는 리스페리돈의 저해 효과는 농도의존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대조군의 효과를 50% 억제하는 농도($IC_{50}$)는 $104.4{\pm}14\;nM$로 리스페리돈의 적정혈중농도 이하에 해당되었다. 4. 리스페리돈은 히스타민에 의한 소포체에서의 칼슘 유리와 세포 밖 칼슘 유입을 모두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p<0.05). 항정신병 약물은 장기간 복용하고 적정혈중농도가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약물이 타액분비감소를 일으킬 경우 다발성우식증 등 심각한 치과적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방안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speridone is a widely prescribed atypical antipsychotic agent. Approved by the FDA as the first drug to treat irritability associated with autism in children, it is also used to treat tic disorder and Tourette's syndrome. Its adverse reactions related to dentistry include dry mouth, the mechanis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약 이러한 억제작용이 매우 고농도에서만 이루어진다면 임상에서의 투여용량을 넘어선 범위에서 억제작용이 나타난다는 점을 암시하여 임상적인 중요성을 높게 평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다음으로 리스페리돈의 용량과 억제반응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리스페리돈의 IC50은 104.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스페리돈이 과연 어떠한 타액선내 작용 타겟과 기전을 가지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람 타액선 세포 수용체의 대표적인 효능제(agonist)인 카바콜과 최근 강력한 칼슘농도 증가 인자로 주목받고 있는 ATP와 히스타민을 처리하여 이들이 세포내 칼슘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리스페리돈의 전처리시와 비교하여 리스페리돈이 타액선 기능 혹은 타액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수준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 따라서 리스페리돈에 의한 구강건조 현상은 타액선에 존재하는 다른 요인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경지배를 배제한 세포수준에서 리스페리돈의 작용타겟이 어디이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세포내 칼슘농도의 변화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리스페리돈의 이상반응으로 알려진 타액분비과다 역시 추체외로증상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으며 항파킨슨제를 투여하면 이러한 증상이 소실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리스페리돈의 구강건조 유발 기전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으며 본 연구에서는 신경지배를 배제한 세포수준에서 리스페리돈의 히스타민 저해 효과에 의해 칼슘신호가 억제됨을 관찰함으로써 리스페리돈이 구강건조증 유발 작용을 보일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리스페리돈이 타액분비 기전의 중요한 요소인 세포내 칼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수준에서 밝히고자 사람 타액선 모델 세포주인 HSG에 카바콜, ATP, 히스타민을 처리 하여 세포내 칼슘농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리스페리돈의 전처리가 이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스페리돈은 2006년 10월에 어떤 치료를 위한 약물로 FDA 승인을 받았는가? 리스페리돈(risperidone)은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처방되고 있는 정신분열증 치료제로서, 2003년에서 2004년까지의 미국소아청소년 정신과 외래환자에게 처방된 약물의 빈도를 조사한결과 리스페리돈이 전체 약물의 44%를 차지하여 처방빈도가 가장 높았다1). 2006년 10월에는 소아 및 성인의 자폐증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1차 약물로 FDA의 승인을 받았으며2) 틱장애, 뚜렛장애의 치료제로도 쓰이고 있다. 리스페리돈(Fig.
리스페리돈은 어떤 성분에 친화성을 나타내는가? 리스페리돈(Fig. 1)은 benzisoxazole 유도체로서 serotonin 5-HT 1A 및 2A 그리고 dopamine D2 수용체(receptor)에 친화성을 나타낸다.
치과와 관련된 리스페리돈의 이상반응은 무엇인가? 기존의 전형적 항정신병 약물(typical antipsychotics)과 비교 시 내약성(tolerance)이 우수하고 콜린 동작성 수용체에 친화성이 없으며 추체외로증상(extrapyramidal symptoms)의 발현빈도와 심한 정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리스페리돈의 이상반응으로 치과와 관련된 것으로 추체외로증상에 의한 타액분비과다 또는 침흘리기7-16) 그리고 그 기전이 밝혀지지 않은 구강건조 등이 보고되고 있다17-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parasu RR, Bhatara V :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antipsychotic prescrib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3-2004. Curr Med Res Opin, 23:49- 56, 2007. 

  2. First drug to treat irritability associated with autism. FDA Consum, 41:4, 2007. 

  3. 조수철 : 소아정신약물학. 서울대학교출판부, 101, 147, 276, 2005. 

  4. De Oliveira IR, Juruena MF : Treatment of psychosis: 30 years of progress. J Clin Pharm Ther, 31:523-534, 2006. 

  5. Ipser J, Stein DJ : Systematic review of pharmacotherapy of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sychopharmacology, 191:127-140, 2007. 

  6. Luby J, Mrakotsky C, Stalets MM, et al. : Risperidone in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n investigation of safety and efficacy.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16:575-587, 2006. 

  7. West L, Waldrop J : Risperidone use in the treatment of behavioral symptoms in children with autism. Pediatr Nurs, 32:545-549, 2006. 

  8. Hori T, Makabe K, Nemoto K, et al. : Hypersalivation induced by olanzapine with fluvoxamine.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30:758-760, 2006. 

  9. Kontaxakis VP, Ferentinos PP, Havaki-Kontaxaki BJ, et al. : Risperidone augmentation of clozapine: a critical review.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56:350-355, 2006. 

  10. Duran JC, Greenspan A, Diago JI, et al. : Evaluation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nd sleep disturbances associated with dementia. Int Psychogeriatr, 17:591-604, 2005. 

  11. Boyce HW, Bakheet MR : Sialorrhea: a review of a vexing, often unrecognized sign of oropharyngeal and esophageal disease. J Clin Gastroenterol, 39:89-97, 2005. 

  12. Cheng-Shannon J, McGough JJ, Pataki C, et al. :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 medica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14:372-394, 2004. 

  13. Fernandez HH, Trieschmann ME, Friedman JH : Treatment of psychosis in Parkinson's disease: safety considerations. Drug Saf, 26:643-659, 2003. 

  14. Freudenreich O, Goff DC : Antipsychotic combination therapy in schizophrenia. A review of efficacy and risks of current combinations. Acta Psychiatr Scand, 106:323-330, 2002. 

  15. Fleischhacker WW, Lemmens P, van Baelen B : A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neurological safety of antipsychotic drugs; an analysis of a risperidone database. Pharmacopsychiatry, 34:104-110, 2001. 

  16. Buitelaar JK, van der Gaag RJ, Cohen-Kettenis P, et al.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aggression in hospitalized adolescents with subaverage cognitive abilities. J Clin Psychiatry, 62:239-248, 2001. 

  17. Roerig JL, Mitchell JE, de Zwaan M, et al. :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olanzapine and risperidone versus placebo on eating behaviors. J Clin Psychopharmacol, 25:413-418, 2005. 

  18. Srisurapanont M, Maneeton B, Maneeton N : Quetiapine for schizophrenia. Cochrane Database Syst Rev, 2:CD000967, 2004. 

  19. Potkin SG, Thyrum PT, Alva G, et al. : The safety and pharmacokinetics of quetiapine when coadministered with haloperidol, risperidone, or thioridazine. J Clin Psychopharmacol, 22:121-130, 2002. 

  20. Mullen J, Jibson MD, Sweitzer D : A comparison of the relative safety,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quetiapine and risperidone in out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the quetiapine experience with safety and tolerability (QUEST) study. Clin Ther, 23:1839-1854, 2001. 

  21. Bhana N, Foster RH, Olney R, et al. : Olanzapine: an updated review of its use in the management of schizophrenia. Drugs, 61:111-161, 2001. 

  22. Koran LM, Ringold AL, Elliott MA : Olanzapine augmentation for treatment-resistant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J Clin Psychiatry, 61:514-517, 2000. 

  23. Guggenheimer J, Moore PA : Xerostomia: etiology, recognition and treatment. J Am Dent Assoc, 134:61-69, 2003. 

  24. Scully C : Drug effects on salivary glands: dry mouth. Oral dis, 9:165-176, 2003. 

  25. Bergdahl M, Berhdahl J : Low unstimulated salivary flow an subjective oral dryness: association with medication,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J Dent Res, 79:1652-1658, 2000. 

  26. Gupta A, Epstein JB, Sroussi H : Hyposalivation in elderly patients. J Can Dent Assoc, 72:841-846, 2006. 

  27. Cassolato SF, Turnbull RS : Xerostomia: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Gerodontology, 20:64-77, 2003. 

  28. Ambudkar IS : Regulation of calcium in salivary gland secretion. Crit Rev Oral Biol Med, 11:4-25, 2000. 

  29. 이종흔, 김중수 : 구강생리학 4판. 군자출판사, 177-210, 1994. 

  30. Soltoff SP, McMillian MK, Cragoe EJ Jr, et al. : Effects of extracellular ATP on ion transport systems and [ $Ca^{2+}$ ]i in rat parotid acinar cells. Comparison with the muscarinic agonist carbachol. J Gen Physiol, 95:319-346, 1990. 

  31. 이주석, 서정택, 이정일 외 : 흰쥐 악하선 세포에서 gap junction 봉쇄제인 octanol이 타액분비 및 세포내 $Ca^{2+}$ 농 도 조절에 미치는 영향.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6:399- 415, 1999. 

  32. Grynkiewicz G, Poenie M, Tsien RY : A new generation of $Ca^{2+}$ indicators with greatly improved fluorescence properties. J Biol Chem, 260:3440-3450, 1985. 

  33. Uto A, Arai H, Ogawa Y : Reassessment of Fura-2 and the ratio method for determination of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s. Cell Calcium, 12:29-37, 1991. 

  34. Flarakos J, Luo W, Aman M, et al. : Quantification of risperidone and 9-hydroxyrisperidone in plasma and saliva from adult and pediatric patients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A, 1026:175-183, 2004. 

  35. Medori R, Mannaert E, Grnder G : Plasma antipsychotic concentration and receptor occupancy, with special focus on risperidone long-acting injectable. Eur Neuropsychopharmacol, 16:233-240, 2006. 

  36. Yagiela JA, Neidle EA, Dowd FJ :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for dentistry 5th edition. Mosby, 2004. 

  37. 김경환 편 : 이우주의 약리학강의 5판. 의학문화사, 7-26, 2003. 

  38. Bertram Katzung :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9th edition. McGraw-Hill, 2004. 

  39. Elad S, Heisler S, Shalit M : Saliva secretion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Int Arch Allergy Immunol, 141:276-280, 2006. 

  40. Richelson E, Souder T : Binding of antipsychotic drugs to human brain receptors focus on newer generation compounds. Life Sci, 68:29-39, 2000. 

  41. Tumilasci OR, Cersosimo MG, Belforte JE, et al. : Quantitative study of salivary secretion in Parkinson's disease. Mov Disord, 21:660-667, 2006. 

  42. Edwards LL, Quigley EM, Harned RK, et al. : Characterization of swallowing and defecation in Parkinson's disease. Am F Gastroenterol, 1:15-25, 1994. 

  43. Leopold NA, Kagel MC : Laryngeal deglutition movement in Parkinson's disease. Neurology, 48:373-376, 1997. 

  44. Pinnington LL, Muhiddin KA, Ellis RE, et al. : Non-invasive assessment of swallowing and respiration in Parkinson's disease. J Neurol, 247:773-777, 2000. 

  45. Bagheri H, Damase-Mechel C, Lapeyre-Mestre M, et al. : A study of salivary secretion in Parkinson's disease. Clin Neuropharmacol, 22:213-215, 1999. 

  46. Beteson MC, Gibberd FB, Wilson RSE : Salivary symptoms in Parkinson's disease. Arch Neurol, 29:274-275, 1973. 

  47. Persson M, Osterberg T, Granerus AK, et al. : Influence of Parkinson's disease on oral health. Acta Odontol Scand, 50:37-42, 1992. 

  48. Proulx M, De Courval FP, Wiseman MA, et al. : Salivary production in Parkinson's disease. Mov Disord, 20:204-207, 2005. 

  49. 김재곤, 김영신, 백병주 외 : 타액 우식 관련 검사와 치아우식 경험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2:67-74,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