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화 갑상선암 수술 후 최초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시 투여용량 결정: 병리적 병기, 혈청 갑상선글로불린치와 I-123 전신 스캔의 유용성 비교
Determination of Therapeutic Dose of I-131 for First High Dose Radioiodine Therapy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Comparison of Usefulness between Pathological Staging, Serum Thyroglobulin Level and Finding of I-123 Whole Body Scan 원문보기

핵의학 분자영상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v.42 no.4, 2008년, pp.301 - 306  

정환정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핵의학교실) ,  임석태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핵의학교실) ,  윤현조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외과학교실) ,  손명희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핵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최근 조기건강검진에 대한 관심의 고조와 환경의 변화로 분화 갑상선암 진단 후 갑상선제거수술 및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분화 갑상선암으로 진단 받고 갑상선제거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최초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시 적절한 투여용량을 결정하는데 있어 병리적 병기소견이나 혈청 갑상선 글로불린치가 I-123 전신 스캔을 대신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갑상선 전절제술과 중앙 및 주변 림프절 제거술 후에 분화 갑상선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에서 1차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 전에 I-123 전신스캔을 시행한 58명(남:녀=13:45, 나이 $44.5{\pm}11.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리적 병기(T, N stage)는 2002 AJCC 기준에 따라 구분하였으나 나이에 따른 분류는 하지 않았다. 갑상선호르몬 중지 후 혈청 갑상선자극호르몬, 갑상선 글로불린과 갑상선글로불린항체 측정 및 I-123전신 및 국소영상(5 mCi 경구투여 후 24시간)을 얻었다. I-131 방사성옥소 치료는 I-123 스캔 결과에 따라 100 mCi에서 250 mCi 용량으로 시행하고, 치료용량과 병리적 병기, 혈청 갑상선글로불린치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 I-131을 사용한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는 5명(8.6%)에서 100 mCi, 43명(74.1%)에서 150 mCi, 6명(10.3%)에서 180 mCi. 3명(5.2%)에서 200 mCi, 1명(1.7%)에서 250 mCi로 각각 시행하였다. 병리적 병기에 따른 방사성옥소 치료용량은 stage I (n=9) $154{\pm}25\;mCi$, stage II (n=4), $175{\pm}50\;mCi$, Stage III (R=38); $149{\pm}21\;mCi$, Stage IV (n=7); $161{\pm}20\;mCi$을 보여 병리적 병기 증가와 치료용량 증가와는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 (p=0.169) 혈청 갑상선글로불린치에 따른 방사성옥소 치료용량은 2 ng/mL를 보인 군에서 $149{\pm}26 \;mCi$, 2 ng/mL이상 5 ng/mL 미만을 보인 군에서 $156{\pm}17\;mCi$, 5 ng/mL이상 10 ng/mL 미만을 보인 군에서 $156{\pm}13\;mCi$, 10 ng/mL이상 50 ng/mL 미만을 보인 군에서 $147{\pm}24 \;mCi$, 50 ng/mL이상을 보인 군에서 $175{\pm}42\;mCi$를 보여 혈청 갑상선글로불린치와 방사성옥소치료용량과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p=0.252) 결론: 분화 갑상선암으로 갑상선 전절제술 후에 최초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용량을 결정하는데 병리적 병기나 혈청 갑상선글로불린 수치가 I-123 전신 스캔을 대신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Recently, a number of patients needed total thyroidectomy and high dose radioiodine therapy (HD-RAI) get increased m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pathological staging (PS) and serum thyroglobulin (sTG) level could replace the diagnostic I-123 scan for the determinatio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분화 갑상선암으로 진단 받고 갑상선제거 수 술을 받은 환자에서 잔류 갑상선 조직과 미세 전이 병소를 제거할 목적으로 시행되는 최초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 시 투여용량을 결정하는데 있어 1-123 전신 스캔을 대신하여 병리적 병기소견이나 혈청 갑상선글로불린 수치를 이 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분화 갑상선암으로 진단 받고 갑상선제거 수 술을 받은 환자에서 최초로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시 투 여용량을 결정하는데 있어 병리적 병기소견, 혈청 갑상선 글로불린 수치와 1-123 전신 스캔 소견의 상관성을 알아봄 으로써 수술 후 얻은 병리적 병기나 혈청 갑상성글로불린 이 1-123 전신 스캔을 대신하여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시 투여용량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았다.
  • 목적 : 최근 조기건강검진에 대한 관심의 고조와 환경의 변화로 분화 갑상선암 진단 후 갑상선제거수술 및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 은 분화 갑상선암으로 진단 받고 갑상선제거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최초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시 적절한 투여용 량을 결정하는데 있어 병리적 병기소견이나 혈청 갑상선 글로불린치가 1-123 전신 스캔을 대신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갑상선 전절제술과 중앙 및 주변 림프절 제거술 후에 분화 갑상선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에서 1차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 전에 1-123 전신 스캔을 시행한 58명(남:녀=13:45, 나이 44.
  • 고용량치 료시 투여 용량결정에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저자들은 갑상선호 르몬 복용 중지 후 3주경과 시 H23 전신 스캔을 시행하여 남아 있는 잔류갑상선 유무와 주변 림프절 섭취 정도에 따라 1-131 투여용량을 정하고 5주에 입원하여 치료하였다. 즉 1-1237}- 기절효과가 없다고 알려져 있고, 한 번의 갑상선 호르몬 중지로 치료까지 시행하여 인위적인 갑상선호르몬 중지로 인하여 야기되는 불편을 환자들에게서 줄여주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저자의 경우 잔류 갑상선 조직에는 100 mCi, 림프절 전이가 동반된 경우에는 150~180 mCi,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200~250 mCi의 용량을 투여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emal A, Tiwari RC, Murray T, Ghafoor A, Samuels A, Ward E, et al. Cancer statistics 2004. Cancer J Clin 2004;54:8-29 

  2. Hong SW. Radioiodine therapy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Korean J Nucl Med 2000;34:265-75 

  3. Lee J, Yun JS, Nam KH, Chung WY, Soh EY, Park CS. Papillary mocrocarcinoma: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strategy. J Korean Surg Soc 2007;72:276-82 

  4. Shong YK. Treatment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Korean J Nucl Med 2002;36:77-97 

  5. Mandel SJ, Shankar LK, Benard F, Yamamoto A, Alavi A. Superority of iodine-123 compared with iodine-131 scanning for thyroid remnants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Clin Nucl Med 2001;26:6-9 

  6. Gerard SK, Cavalieri RR. I-123 diagnostic thyroid tumor whole-body scanning with imaging at 6, 24, and 48 hours. Clin Nucl Med 2002;27:1-8 

  7. Van Nostrand D, Wartofsky L. Radioiodine in the treatment of thyroid cancer.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007;36: 807-22 

  8. Urhan M, Dadparvar S, Mavi A, Houseni M, Chamroonrat W, Alavi A, et al. Iodine-123 as a diagnostic agent in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a comparison with iodine-131 post-treatment scanning and serum thyroglobulin measurement.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07;34:1012-7 

  9. Ali N, Sebastian C, Foley RR, Murray I, Canizales AL, Jenkins PJ, et al. The management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using I-123 for imaging to assess the need for I-131 therapy. Nucl Med Commun 2006;27:165-9 

  10. Cohen JB, Kalinyak JE, McDougall IR.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differences between diagnostic I-123 and post-therapy I-131 scans. Nucl Med Commun 2004;25:129-34 

  11. Greene FL, Page DL, Fleming ID, Fritz AG, Balch CM, Haller DG, et al. AJCC cancer staging manual. 6th ed. New York: Springer; 2002. p. 77-87 

  12. Handkiewicz-Junak D, Wloch J, Roskosz J, Krajewska J Kropinska A, Pomorski L, et al. Total thyroidectomy and adjuvant radioiodine treatment independently decrease locoregional recurrence risk in childhood and adolescent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J Nucl Med 2007;48:879-88 

  13. Lang BH, Lo CY, Chan WF, Lam KY, Wan KY. Staging systems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 review and comparison. Ann Surg 2007;245:366-78 

  14. Pelizzo MR, Boschin IM, Toniato A, Piotto A, Pagetta C, Gross MD, et al. Papillary thyroid carcinoma: 35-year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in 1858 patients. Clin Nucl Med 2007;32: 440-4 

  15. Sosa JA, Udelsman R. Total thyroidectomy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J Surg Oncol 2006;94:701-7 

  16. Kjellman P, Zedenius J, Lundell G, Backdahl M, Farnebo LO, Hamberger B, et al. Predictors of outcome in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Eur J Surg Oncol 2006;32:345-52 

  17. Lee SJ, Park BS, Kim JS, Park JS. Analyses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es from papillary thyroid cancer. J Korean Surg Soc 2003;64:115-20 

  18. Grunwald F, Menzel C, Fimmers R, Zamora PO, Biersack HJ. Prognostic value of thyroglobulin after thyroidectomy before ablative radioiodine therapy in thyroid cancer. J Nucl Med 1996;37:1962-4 

  19. Kim KS, Ryu JS, Hong SJ, Kim WB, Shong YK. Serum thyroglobulin levels predicting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after surgery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J Kor Soc Endocrinol 2003;18:153-65 

  20. Bachelot A, Cailleux AF, Klain M, Baudin E, Ricard M, Bellon N, et al. Relationship between tumor burden and serum thyroglobulin level in patients with papillary and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Thyoid 2002;12:707-11 

  21. Song SH, Park HK, Park YH, Lee JN, Kim JH, Lee YD. Tc-99m tetrofosmin, I-131 whole body scan and thyroglobulin in detecting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metastases. J Korean Surg Soc 2002;63:366-71 

  22. Makarewicz J, Adamczewski Z, Knapska-Kucharska M, Lewinski A. Evaluation of the diagnostic value of the first thyroglobulin determination in detecting metastases after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surgery. Exp Clin Endocrinol Diabetes 2006;114: 485-9 

  23. Doi SA, Woodhouse NJ. Ablation of the thyroid remnant and I-131 dose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Clin Endocrinol(Oxf) 2000;52:765-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