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적 차원의 유망연구영역 탐색: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과학계량학적 접근
Identification of Emerging Research at the national level: Scientometric Approach using Scopus 원문보기

정보관리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39 no.3, 2008년, pp.95 - 113  

여운동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계량정보연구팀) ,  손은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계량정보연구팀) ,  정의섭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경인지원) ,  이창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계량정보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속도로 변화하는 과학기술 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현존하는 기술의 발전을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새롭게 부상하는 유망기술을 찾아야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각 국가에서는 경쟁적으로 유망연구 영역을 찾고 있는데,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전문가 평가를 기반으로 한 델파이 방법으로 유망기술을 탐색하고 있다. 그러나 델파이와 같은 전문가방식은 기본적으로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의지하기 때문에 편향성과 이에 따른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방법의 기술예측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과학계량학적 방법으로 유망연구영역을 탐색하였다. 탐색과정에서는 다음 3가지의 특별한 노력을 통해 과학계량학적 방법의 성능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첫째, 데이터베이스 선정에 있어서 공학 등 저널수가 적은 기술분야에서도 유망연구영역의 도출이 가능한가를 고려하였다. 둘째, 과학기술 전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분석에서 과학기술분야별로 가지고 있는 인용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부분인용계상(fractional citation counting)과 이동평균을 이용한 선형회귀분석을 도입하였다. 셋째, 과학계량학적 분석으로 나온 결과를 정성적으로 검증하여 과학계량학적 방법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 하였다. 최종 290개의 유망연구영역을 선정하였으며, 각 영역은 기술의 네트워크상에서 가시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copus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되었으며, 데이터마이닝과 가시화에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개발한 KnowledgeMatrix가 사용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odays environment in which scientific technologies are changing very fast than ever, companies have to monitor and search emerging technologies to gain competitiveness. Actually many nations try to do that. Most of them use Dephi approach based on experts review as a searching method. But expe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것은 자동주제발견(auto topic discovery)이나 다문서요약(multi-document summarization) 기법을 사용하여 어느 정도 묘사가 가능하나 영역의 정확한 정의를 위해서는 전문가들이 직접 명명하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망연구영역 선정의 최종단계에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소속 연구원, 대학교수, 퇴직과학자(www.reseat.re.kr) 등의 관련 분야 전문가들로 하여금 영역을 정의하게 하고, 그 영역이 전문가적 관점에서 한국의 미래 유망연구영역으로서 타당한지와 영역을 이루는 논문집단은 공통된 주제를 내포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증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전문가의 주관적인 의견이 검증에 다소간 반영될 것이다.
  • 유망연구영역 후보들은 몇 가지 통계 기법으로 그 유망성을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계량분석을 통해 나온 정량적인 결과를 전문가를 활용하여 정성적으로 검증함으로써 계량분석이 가지는 근본적인 약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최종 확정된 유망연구영역은 영역별로 기술구성을 찾고 세부기술 간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2차원 매핑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가시화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레퍼런스의 분포를 계산하여( 참조) 표준편차 구간으로 계급화하여 가중치를 결정함으로써 부분인용계상방법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여기에 추가적으로 영역별로 세부 연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KISTI에서 개발한 KnowledgeMatrix를 사용하여 핵심논문들을 서지결합의 네트워크 관계로 가시화하였다( 참조).
  • 본 연구에서는 과학계량학을 이용하여 논문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하여 탐구적으로 유망연구영역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유망성이라는 것은 현재시점에서 결론 내리기 쉬운 문제가 아니다.
  • 특히 최근 연구성과의 질적인 측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인용’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Cole 2000; Moed 2005), 인용 목적의 상이성(Small 1982; Liu 1993; Case and Higgins 2000)과 분야별 인용수 차이(Egghe and Rousseau 1990)의 문제가 제기되는 등 ‘인용’이 평가지표로서 적합한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계량학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음 3가지의 특별한 노력을 하였다. 첫째, 데이터베이스 선정에 있어서 공학 등 저널수가 적은 기술분야에서도 유망연구영역의 도출이 가능한가를 고려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방법의 기술예측이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과학계량학을 이용하여 한국의 미래 과학기술 유망연구영역을 탐색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주지해야 할 사실은 과학계량학만을 사용하는 평가는 분명히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 중장기 유망연구영역의 선정이라는 관점에서는 이렇듯 변화무쌍한 공인용분석은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서지결합법을 이용하며, 그 연구기간을 일정기간으로 절단하고 통계적 분석을 사용하여 영역들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집화를 통해 도출된 연구영역은 어떤 영역인가요? 군집화를 통해 도출된 연구영역은 영역들의 유사성과 유망성이 검증되지 않은 영역이다. 그래서 이 영역들을 본 논문에서는 유망연구 영역후보군이라고 정의하였다.
과학계량학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어떤 특별한 노력을 하였나요? 본 연구에서는 과학계량학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음 3가지의 특별한 노력을 하였다. 첫째, 데이터베이스 선정에 있어서 공학 등 저널수가 적은 기술분야에서도 유망연구영역의 도출이 가능한가를 고려하였다. 둘째, 과학기술 전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분석에서 과학기술분야별로 가지고 있는 인용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부분인용 계상(fractional citation counting)과 이동평균을 이용한 선형회귀분석을 도입하였다. 셋째, 과학계량학적 분석으로 나온 결과를 정성적으로 검증하여 과학계량학적 방법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 하였다.
유망연구의 개념에서 가장 먼저 언급될 것은 어떤 개념인가요? 유망연구의 개념에서 가장 먼저 언급될 것은 “최근 들어 급격한 성장을 보이는 영역”이라는 개념이다(Poter et al. 2002; Corroch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7. Raius를 통한 IT 미래유망기술 발굴. 대전: 동연구소. 

  2. 한국화학공학회. 2005. 과학기술정책동향-과학기술부,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23(5): 512-513. 

  3. Aksnes D. W. 2003. “Characteristics of highly cited papers.” Research Evaluation, 12(3): 159-170. 

  4. Bengisu, M. and R. Nekhili. 2006. “Forecasting emerging technologies with the aid of science and technology database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3(7): 835-844. 

  5. Bauin, S., B. Michelet, M. G. Schweighoffer and P. Vermeulin. 1991. “Using bibliometrics in strategic analysis: Understanding Chemical Reactions at CNRS.” Scientometrics, 22: 113-137. 

  6. Callon, M., J. P. Courtial, and F. Laville. 1991. “Co-word analysis as a tool for describing the network of interactions between basic and technological research: The case of polymer chemistry” Scientometrics, 22(1): 155-205. 

  7. Case, D. O., and G. M. Higgins. 2000. “How can we investigate citation behavior? A study of reasons for citing literature in communic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51(7): 635-645. 

  8. Chen, C. and S. Morris. 2003. “Visualizing evolving networks: Minimum spanning trees versus Pathfinder networks.” Proceedings of IEEE Symposium on Information Visualization, IEEE Computer Society Press, 67-74. 

  9. Chubin D. E., and E. J. Hackett. 1990. “Peer review and the printed word.” In: Chubin DE, Hackett E.J. Peerless Science: Peer Review and U.S. Science Policy. Albany, NY: SUNY Press. 

  10. COLE, J. R. 2000. “A short history of the use of citations as a measure of the impact of scientific and scholarly work.” In: B. CRONIN, H. B. ATKINS (Eds), The Web of Knowledge. A Festschrift in Honor of Eugene Garfield. Medford, NJ, USA, Information Today, 281?300. 

  11. Corrocher, N., F. Malerba, and F. Montobbio. 2003.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the ICT field: main actors,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knowledge sources.” Working Papers of Faculty of Economics Universit? degli Studi dell'Insubria, 37 Varese, Italy. 

  12. Day, G. S. and P. J. H. Schoemaker. 2000. “A different game. In G. S. Day & P. J. H. Schoemaker(Eds.).” Wharton on Managing Emerging Technologies. New York: John Wiley & Sons. 

  13. Egghe, L., and R. Rousseau. 1990. “Introduction to informetrics. Quantitative Methods in Library.”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Science. Amsterdam: Elsevier, 203?290. 

  14. European Commission. 2001. Key Figures 2001. Special edition. Indicators for benchmarking of national research policies(Brussels). 

  15. Garfield E. 1993. “Essays of an Information Scientist.” ISI Press, 15: 75-83. 

  16. Glanzel, W., and H. Czerwon. 1996. “A new methodological approach to bibliographic coupling and its application to the national, regional and institutional lenel.” Scientometrics, 37: 195-221. 

  17. Hicks, D. 1987. “Limitations of co-citation analysis as a tools for science policy.” Social Studies of Science, 17: 295-316. 

  18. Hung, S. C., and Y. Y. Chu. 2006. “Stimulating new industries from emerging technologies: challenges for the public sector.” Technovation, 26(1): 104-110. 

  19. Kuusi, O. and M. Meyer. 2007. “Anticipating technological breakthroughs: Using bibliographic coupling to explore the nanotubes paradigm.” Scientometrics, 70(3): 759-777. 

  20. Kessler, M. M. 1963. “Bibliographic coupling between scientific papers.” American Documentation, 14: 10-25. 

  21. Kostoff, R. N. 1994. “Assessing research impact: US. government retrospec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Science and Public Policy, 2(1). 

  22. Liu, M. 1993. “Progress in documentation: the complexities of citation practice: a review of citation studies.” Journal of Documentation, 49(4): 370-408. 

  23. Martin, B. R. 1995. “Foresight in Science and Technology.”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7(2): 139-168. 

  24. Martin, B. R., and J. Irvine. 1983. “Assessing basic research. Some partial indicators of scientific progress in radio astronomy.” Research Policy, 12: 61-90. 

  25. Miranda Santo, M., G. Massari Coelho, D. M. dos Santos, and L. Fellows Filho. 2006. “Text mining as a valuable tool in foresight exercises: a study on nanotechnology.”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1013?1027. 

  26. Moed, H. F. 2005. Citation analysis in research evaluation. New York: Springer. 

  27. Morris, S. A. 2005. Unified mathematical treatment of complex cascaded bipartite networks: The case of collections of journal papers, Ph.D. diss., University of Oklahoma. 

  28. NISTEP, Japanese website. . 

  29. Norris, M., and C. Oppenheim. 2007. “Comparing alternatives to the Web of Science for coverage of the social sciences' literature.” Journal of Informetrics, 1-9. 

  30. Okuwada, K. 2008. “Elements of Convertging Technologies.” CACCI Journal, 1: 1-6. 

  31. Park, H. W., C. W. Lee and W. D. Yeo. 2007. “Development of Information Model to Identify Emerging Technologies.” Jo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8(4): 1-21. 

  32. Porter, A. L., D. Roessner, X. Y. Jin & N. C. Newman. 2002. “Measuring national emerging technology capabilitie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29(3): 189-200. 

  33. Salton, G. 1989. Automatic text processing: the transformation, analysis,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by computer. Reading: Addison-Wesley. 

  34. Salton G., and M. J. McGill 1983, Introduction to Modern Information Retrieval, McGraw-Hill, New York 

  35. Schvaneveldt, R. W., F. T. Durso and D. W. Dearholt. 1989. “Network structures in proximity data.”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Advances in research and theory,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 24: 249-284. 

  36. Small, H. 1973. “Co-citation in the scientific literature: a new meas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document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24(4): 265?269. 

  37. Small, H. 1982. “Citation context analysis.” Progress in Communication, 3: 287-310. 

  38. Small, H. 1997. “Update on Science Mapping: Creating Large Document Spaces.” Scientometrics, 38(2): 275-293. 

  39. Small H. 2003. “Paradigms, citations and maps of science: a personal histor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4(5): 394-399. 

  40. Small, H., and E. Sweeney. 1985. “Clustering the Science Citation Index Using Co-Citations I. A Comparison of Methods.” Scientometrics, 7: 391-409. 

  41. Tijssen R. J. W., M. S. Visser and T. N. van Leeuwen. 2002. “Benchmarking international scientific excellence: are highly cited research papers an appropriate frame of reference?” Scientometrics, 54(3): 381-397. 

  42. TUBITAK. 2004. Vision 2023 Technology Foresight Delphi Survey Final Report. 

  43. Wheatley, K. K. and D. Wilemon. 1999. “From Emerging Technology to Competitive Advantage.” in Portla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Management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PICMET). 

  44. Whittaker, J. 1989. “Creativity and conformity in science: Titles, keywords and co-word Analysis.” Social Studies of Science, 19: 473-496. 

  45. Wouters, P. 1999; The citation culture. Unpublished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Amsterdam. [cited 2006.4.25]. .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