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송이버섯(Hypsizigus marmoreus)의 영양성분과 추출용매에 따른 암세포 생장억제 효과
Nutritional Compone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Various Extracts from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1, 2008년, pp.1395 - 1400  

정은봉 (바이오랜드 안산연구소) ,  조진호 (한국식품연구원) ,  조승목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해송이버섯의 영양 가치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영양성분을 분석하였으며 효과적으로 영양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를 설정하고 그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 항암활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해송이 버섯은 30.80%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송이버섯의 무기질 중 칼륨의 함량이 3383.3 mg/100 g으로 다른 무기원소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해송이버섯을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을 경우 $\beta$-glucan 9.32 mg/g, 단백질 17.71% 및 총당 39.93%이었으며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때보다 더 많은 영양성분들이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추출물의 수율 또한 53.34%로 높았다. 각각의 해송이버섯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생장억제효과를 사람의 위암세포인 AGS와 간암세포 HepG2, 대장암세포 SW480으로 검토한 결과, 각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암세포 생장억제율이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물추출물이 에탄올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AGS에 대해서는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1 mg/mL의 농도에서 모두 50%이상의 생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물추출물의 경우 HepG2에 대해서는 3 mg/mL 이상의 농도에서, SW480에 대해서는 5 mg/mL의 농도에서 50%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에탄올 추출물은 HepG2와 SW480에 대한 생장억제효과는 5 mg/mL의 농도에서도 50%미만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which has been recently available in Korea, to estimate its nutritional and functional values. Fruit body of Haesongi mushroom was investigated for its proximate compon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송이버섯의 식품소재화와 기능성식품으로서의 이용가치를 알아보고자 해송이버섯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였으며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해송이버섯을 추출한 추출물의 총당과 단백질 및 β-glucan 함량을 알아보고 그 추출물에 대한 암세포생장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송이버섯의 영양 가치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영양성분을 분석하였으며 효과적으로 영양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를 설정하고 그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 항암활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해송이 버 섯은 3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송이버섯은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해송이버섯은 만가닥느티버섯(Hypsizigus marmroeus) 의 일종으로 담자균류의 송이과(Tricholomataceae)의 느티 버섯속(Hypsizyus)에 속하며 일본에서는 부나시메지라고 불린다. 자실체는 기둥 모양을 하고 있으며, 완전히 펴지지 않은 갓은 점 혹은 물결무늬를 띄고 갓의 색깔은 어두운 회색에서 회갈색으로 변하며 완전히 성숙하였을 때 연갈색을 나타낸다(8,9).
해송이버섯 자실체의 외형적 특징은 어떠한가? 해송이버섯은 만가닥느티버섯(Hypsizigus marmroeus) 의 일종으로 담자균류의 송이과(Tricholomataceae)의 느티 버섯속(Hypsizyus)에 속하며 일본에서는 부나시메지라고 불린다. 자실체는 기둥 모양을 하고 있으며, 완전히 펴지지 않은 갓은 점 혹은 물결무늬를 띄고 갓의 색깔은 어두운 회색에서 회갈색으로 변하며 완전히 성숙하였을 때 연갈색을 나타낸다(8,9).
만가닥느티버섯의 생리적 특징으로는 어떤 보고가 있는가? 이러한 만가닥느티버섯의 생리적 특징으로는 암세포성장 억제효과와 항산화효과(11,12)와 만가닥느티버섯에서 분리한 Hypsin의 항진균효과, 항종양효과 등의 생리활성에 관한 여러 보고가 있다(13,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HS, Ha HC, Kim TS. 2003. Research and prospects in new functional mushrooms-Tremella fuciformis, Grifora frondosa and Hypsizigus marmoreus. Food Sci Ind 36(4): 42-46 

  2. Yang HC, Song CH, Kweon MH. 1996. Mycelial new material, food functional technology. Hanlim, Seoul. p 187-189 

  3. Misuno T. 1990. Antitumor activity and some properties of water soluble polysaccharides from fruiting body of Agaricus blazei Murill. Agric Biol Chem 54: 2889-2896 

  4. Hirokazu K, Ryuichi I, Teturo K, Takashi M. 1989. Fractiona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the water in soluble residue of Agaricus blazei fruiting bodies. Carbohydr Res 186: 267-273 

  5. Nakajima A, Ishida T, Koga M, Takeuchi M. 2002.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Agaricus blazei Murill on antibody-producing cells in mice. Int Immunopharmacol 2: 1205-1211 

  6. Hui LC, Guei RC, Chin CC, Jeng LM. 2001. Non-volatile taste components of Agaricus blazei, Antrodia camphorata and Cordycps millitaris mycelia. Food Chem 74: 203-207 

  7. Mizuno M, Morimoto M, Minato K, Tsuchida H. 1998. Polysaccharides from Agaricus blazei stimulate lymphocyte T-cell subsets in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62: 434-437 

  8. Lee YL, Yen MT,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extracts from Hypsizigus marmoreus. Food Chem 104: 1-9 

  9. Stamets P. 1993. Growing gourmet and medicinal mushrooms. Ten Speed Press, Berkeley, CA 

  10. Kim HK, Choi YJ, Jeong SW, Kim KH. 2002. Functional activitie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s from Lyophyllum ulmarium. Korean J Food Presev 9: 385-390 

  11. Xu ML, Choi JY, Jeong BS, Li G, Lee KR, Lee CS, Woo MH, Lee ES, Jahng Y, Chang HW, Lee SH, Son JK. 2007. Cytotoxic constituents isolated from the fruit bodies of Hypsizigus marmoreus. Arch Pharm Res 30: 28-33 

  12. Matsuzawa T, Sano M, Tomita I, Saitoh H, Ohkawa M, Ikekawa T. 1998. Studies on antioxidants of Hypsizigus marmoreus. II. Effects of Hypsizigus marmoreus for antioxidants activities of tumor-bearing mice. Yakugaku Zasshi 118: 467-481 

  13. Ikekawa T, Saitoh H, Feng W, Zhang H, Li L, Matsuzawa T. 1992. Antitumor activity of Hypsizigus marmoreus. I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and polysaccharides. Chem Pharm Bull 40: 1954-1957 

  14. Lam SK, Ng TB. 2001. Hypsin, a novel thermostable ribosome-inactivating protein with antifungal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from fruiting bodies of the edible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Biochem Biophys Res Comm 285: 1071-1075 

  15. Xu XM, Jun JY, Jeong IH. 2007.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hot water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51-1357 

  16.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Arlington, VA, USA 

  1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5.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18. Saha SK, Brewer CF. 1994. Determination of the concentrations of oligosaccharides, complex type carbohydrates, and glycoproteins using the phenol-sulfuric acid method. Carbohydr Res 254: 157-167 

  19.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4.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s. J Biol Chem 193: 265-275 

  20. Green LM, Reade JL, Ware CF. 1984.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viability: application to the quantitation of cytotoxic and growth inhibitory lymphokines. J Immunol Methods 70: 257-268 

  21. Hong KH, Kim BY, Kim HK. 2004.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in Pleutorus ferulea. Korea J Food Sci Tehchol 36: 563-567 

  22. Kang TS, Kang MS, Sung JM, Kang AS, Shon HR, Lee SY. 2001. Effect of Pleurotus eryngii on the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in diabetic rats. Korea J Mycol 29: 86-90 

  23. Hwang JB, Yang MO, Shin HK. 1997.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71-679 

  24. Krishna GG, Miller E, Kapoor S. 1989. Increased blood pressure during potassium depletion in normotensive men. New Eng J Med 320: 1177-1182 

  25. Lee YS, Kim JB, Shin SR, Kim NW. 2006.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Lepista nuda. Korean J Food Preserv 13: 375-381 

  26. Bobek P, Ozdin L, Kuniak L. 1993. Influence of water and ethanol of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n serum and liver lipids of the Syrian hamsters. Die Nahrung 37: 571-575 

  27. Ballance GM, Manners DJ. 1978. Structural analysis and enzymic solubilization of barley endosperm cell walls. Carbohydr Res 61: 107-113 

  28. Hong JH, Youn KS, Choi YH. 2004. Characteristics of crude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Agaricus blasei Murill by extraction and precipitation conditions and its antitumor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86-593 

  29. Song JH, Lee HS, Hwang JK, Han JW, Han JG, Keum DH, Park KM. 2003. Physiological activity of Sarcodon aspratus extra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172-179 

  30. Song JH, Lee HS, Hwang JK, Chung TY, Hong SR, Park KM. 2003.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nus ribi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90-695 

  31. Yang KH, Yang JH, Ryu BH. 1997. Antitumor effects of extracts obtained from Daedalea dickinsi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178-182 

  32. Yoon SH, Lim JH, Kim YS, Kim CH, Jo JH, Hwang YS. 1998. Pharmacological effects of proteoglycans extracted from fruiting bodies of Formitella fracinea. Korea J Mycol 26: 511-518 

  33. Kim HJ, Han J, Yang EJ, Lee KR, Lee IS. 2000. Chemoprevention effect of Polyozellus multiplex, a wild and edible mushroo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61-1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