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식 용기로 사용하는 각섬암의 암석-광물학적 특성: 그 효용성과 안정성에 대한 고찰
Petr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Amphibolite Used as Rock Bowl and Pot: Implications for Its Utility and Stability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7 no.3 = no.53, 2008년, pp.154 - 165  

김형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최호정 (경북과학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암석의 사회적 이용측면에서 대중화된 것 중 하나가 음식점에서 흔히 사용하는 돌그릇이다. 이 돌그릇은 대부분이 Mg과 Ca 함량이 높은 각섬암으로 제작되었으며, 주구성광물은 각섬석, 양기석, 투각섬석, 사장석, 투휘석이다. 각섬석은 대부분 주상으로 산출되며, Mg-각섬석 내지는 쳐마카이트의 광물조성을 보인다. 양기석과 투각섬석은 단경/장경 비가 $0.10{\sim}0.13$인 침상의 조직을 보이며, Mg/(Mg+Fe) 비가 약 0.65-0.90의 범위를 보인다. 이런 침상의 양기석과 투각섬석은 비석면형에 속한다. 이 광물들을 함유한 암석을 음식 용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성광물의 종류와 결정형태와 같은 암석학적 또는 광물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그 안정성과 효용성에 대한 품질기준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음식용기 제작에 사용되는 원석과 상업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곱돌의 산출상태와 암석-광물 화학성분의 상이성은 현재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곱돌 음식 용기들이 원석 채취지역이 불분명한 암석으로 제작되었음을 지시한다. 이것은 음식용기로 부적합한 각섬암이 음식 용기로 사용될 잠재적 위험성이 있으며, 따라서 인간의 생활/건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사용하는 암석의 지질학생물학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관리와 조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ock bowls and pots used in restaurants are one of the popular usages of natural rocks in Korea. Most rock bowls and pots are made of Mg- and Ca-rich amphibolite composed of hornblende, actinolite, tremolite, diopside, plagioclase. Hornblende occurs as prismatic crystal habit, and belongs to Mg-horn...

주제어

참고문헌 (12)

  1. 김규봉, 최위찬, 황재하, 김정환, 1984, 오수도폭 지질보고 서(1:50,000). 한국동력자원연구소, 38 p 

  2. 김수진, 1988, 투각섬석은 모두 석면인가? 광물과 산업, 1, 8-12 

  3. 노진환, 2004, 청정 기능성 광물의 부존 환경 및 광물 특 성과 그 응용. 대한광업진흥공사, 58 p 

  4. 이수재, 2001, 석면. 산업과 광물, 19-21 

  5. ATSDR., 2006, Report on the expert panel on biomarkers on asbestos exposure and disease. ERG contract 2006 

  6. Deer, W.A., Howie, R.A., Zussman, J., 1991, The rock forming minerals. Longman Scientific & Technical, 696p 

  7. Gunter, M.E., Sanchez, M.S., Williams T.J., 2007a, Characterization of chrysolite samples for the presence of amphibole: the Carey Canadian deposit, southeastern Quebec, Canada. Canadian Mineralogist, 45, 263-280 

  8. Gunter, M.E., Belluso, E., Mottana, A., 2007b, Amphiboles: Environmental and Health Concerns.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67, 453-516 

  9. Gunter, M.E., 1994, Asbestos as a metaphor for teaching risk perception.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2, 17-24 

  10. Kretz, R., 1983, Symbols for rock?forming minerals. American Mineralogist, 68, 277-279 

  11. Leake, 1978, Nomenclature of amphiboles. American Mineralogist, 63, 1023-1053 

  12. Paipens, L.A., Lewin, M., Champolucci, S., Lyparger, J.A., Miller, A., Middleton, D., Weis, C., Spence, M., Black, B., Kapil, V., 2003, Radiographic abnormalities and exposure to asbestos-contaminated vermiculite in the community of Libby, Montana, USA. Envrionmental Health Perspect, 111, 1753-17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