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재 침엽수 숲길과 숲 가장자리 분포 식생 및 매토종자 비교
Comparisons between a Forest Road with a Coniferous Plantation and Distributed Vegetation on the Edge of a Forest, and Reclaimed Soil Seed Ban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2 no.4, 2008년, pp.409 - 419  

조선희 (한국교원대학교 환경교육과) ,  김기대 (한국교원대학교 환경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숲길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을 통하여 숲길과 숲 가장자리의 상부와 지하부식생을 비교하고 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장소는 잣나무와 전나무를 식재한 숲으로, 해발 고도는 45m이다($36^{\circ}36'23''N127^{\circ}21'45''E$). 숲길의 폭은 3.2m이며, 숲 가장자리는 숲 길가로부터 5m로 정하였다. 2006년 9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총 5번의 식생조사가 이루어졌다. 매토종자 분석을 위해 숲길과 숲 가장자리에서 각각 18곳의 방형구를 정하였다. 각각의 방형구마다 토양 샘플러로 600$cm^3$ 토양을 채취하였고 저온처리를 위하여 한 달간 냉장 보관하였다. 포트에 토양을 골고루 얇게 펼친 후 4$\sim$5일마다 급수하였으며, 더 이상 발아가 일어나지 않는 상태가 될 때까지 실험을 6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출현한 유식물의 이용하여 종과 발아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지상부식생과 지하부식생 사이의 유사도지수는 낮았다. 숲길과 숲 가장자리의 지상부식생간의 상관계수는 0.36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매토종자 분석을 통한 지하부식생간의 상관계수는 0.20로, 서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귀화식물 조사결과, 목본을 포함하였을 경우 숲길 귀화식물은 7종, 귀화율은 12.50%이었으며, 도시화지율은 2.61%이었다. 숲가장자리 귀화식물은 6종, 귀화율은 11.11%이었으며, 도시화율은 2.24%이었다. 귀화식물 중 목본을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 숲길의 귀화율은 12.50%이나 숲 가장자리의 귀화율은 9.09%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aboveground flora and underground flora between a forest road and a forest edge and to clarify each characteristic through ecological approach to a forest road. The study site was the forest planted with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방형구별로 구해진 유사도 지수 값을 바탕으로 하여, 숲길의 지상부식생과 지하부식생의 유사도와 숲 가장자리의 지상부식생과 지하부식생의 유사도 지수의 평균값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어느 쪽이 더 높다고 말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검정을 하였다. 각각의 유사도 지수 값은 독립표본이고 표본의 수가 50미만이며 비모수 검정이므로, 윌콕슨(Wilcoxon)의 순위합 검정으로 확인하였다.
  • 또한 날로 높아지고 있는 귀화식물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숲길과 숲 가장자리의 귀화식물의 현황 파악 또한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숲길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을 통하여 숲길과 숲 가장자리의 지상부식생과 지하 부식생을 조사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전체 숲길 중, 길이 35m만을 지정하여 이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숲 가장자리는 지정된 35m의 숲길 양쪽으로, 숲길의 양 옆에 각각 식재되어 있는 잣나무 숲과 전나무 숲 안으로 정하였다. 숲 가장자리 식생 조사는 나무가 자라기 시작하는 경계 부분에서 숲 안에 해당하는 부분 중 5m내의 범위에 1m 간격으로 1×1m 크기의 방형구를 설치하였다(Figur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숲길이란? 숲길은 오랜 시간동안 사람이 숲을 자원으로 이용하고, 이동로로 사용하면서 자연적,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통행로이다. 전 세계에서 산림사업, 생물다양성 조사, 휴양수요 대응, 산림의 효율적 관리, 산불발생시 진화통로 확보 등의 이유로 숲길의 건설이 현재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산림청, 2006).
숲길과 숲 가장자리의 상부와 지하부식생을 비교하고 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숲길과 숲 가장자리의 분포 식생 및 매토종자를 조사한 연구의 결과는? 출현한 유식물의 이용하여 종과 발아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지상부식생과 지하부식생 사이의 유사도지수는 낮았다. 숲길과 숲 가장자리의 지상부식생간의 상관계수는 0.36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매토종자 분석을 통한 지하부식생간의 상관계수는 0.20로, 서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귀화식물 조사결과, 목본을 포함하였을 경우 숲길 귀화식물은 7종, 귀화율은 12.50%이었으며, 도시화지율은 2.61%이었다. 숲가장자리 귀화식물은 6종, 귀화율은 11.11%이었으며, 도시화율은 2.24%이었다. 귀화식물 중 목본을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 숲길의 귀화율은 12.50%이나 숲 가장자리의 귀화율은 9.09%이었다.
식생에 한정하여 숲길이 사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러나 생태계의 교란, 서식지 파괴, 서식지 단편화, 생물 다양성의 변화 및 감소 등의 문제는 숲길 건설에 대한 논쟁의 여지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식생에 한정하여 예를 들면, 숲길이 사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는 신발이나 옷에 의해 외부 식생 유입이 일어나 교란이 일어나는 경우(산림청, 2006), 통행으로 인한 토양 답압으로 흙 속의 매토종자 발아에 피해를 주는 경우, 등산로나 산책로를 인위적으로 관리하는 경우 등이 있다. 자연적인 영향으로는 길 양쪽 나무의 수관층이 이어지지 못하고 열리어 빛이 들어오는 곳에서 교란이 일어나는 경우(김은숙, 2000), 바람의 이동이 이전보다 더 활발하게 되어 외부로부터 새로운 종이 들어오는 기회가 늘어나는 경우(Parendes and Jones, 2000) 등 이러한 여러 가지 원인의 영향으로 인하여 숲길의 식생은 변화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길지현, 박수현, 고강석(2006) 울릉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9: 237-242 

  2. 김기대, 조선희, 박미화 (2007) 한국교원대학교 교내 식물상. 환경학교육연구 11: 71-82 

  3. 김은숙(2000) 도로에 인접한 숲 가장자리의 미기후 변화에 대한 완충제로서 하층 식생의 역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쪽 

  4.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2001)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서울, 281쪽 

  5. 산림청(2006) 임도의 건설로 인한 생물다양성 변화와 복원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산림청, 114쪽 

  6. 박수현(200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서울, 371쪽 

  7.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10쪽 

  8. 조정진(2004) 청미천에서 홍수 교란에 대한 하안 식생의 반응. 인하대학교석사학위논문, 47쪽 

  9. Bray, J.R. and J.T. Curtis(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y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4):325-349 

  10. Buell, M.F., A.N. Langford, D.W. Dacidson, and L.F. Ohman (1966) ,The upland forest continuum in northern New Jersey, Ecology 47(3): 416-432 

  11. Curtis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12. Goodson J.M., A.M. Gurnell, P.G. Angold, I.P. Morrissey(2001) Riparian seed banks: structure, process and implication for riparian management. Prog.Phys.Geog.25: 301-325 

  13. Gross K.L.(1990) A comparison of methods for estimating seed numbers in the soil. J.Ecol. 78: 1079-1093 

  14. Hanlon T.J., C.E. Williams and W.J. Moriarity(1998) Species composition of soil seed banks of Allegheny Plateau riparian forests. J. Torrey Bot. Soc.125: 119-215 

  15. Hayashi, I. and M. Numata(1971) Viable buried-seed population in the Miscanthus and Zoysia-type grasslands in Japan-ecological studies on the buried-seed population in the soil related to plant succession VI. Jap. J. Ecol. 20: 243-252 

  16. Kirkman L.K. and R.R. Sharitz(1994) Vegetation disturbance and maintenance of diversity in intermittently flooded carolina boys in South Carolina. Ecol. Appl. 4: 177-188 

  17. Kim K.D. and E.J. Lee (2005) Soil seed bank of the waste landfills in South Korea. Plant Soil 271: 109-121 

  18. Landenberger R.E. and J.B. McGraw(2004) Seed-bank characteristics in ixed-mesophytic forest clearcuts and edges: Does "edge effect" extend to the seed bank?. Can. J. Botany 82: 992-1000 

  19. Marks P.L.(1983) On the origin of the field plants of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Am. Nat.122: 210-228 

  20. Moore, P.D. and S.B. Chapman(1986) Methods in Plant Ecology. Blackwell Scientific. 390pp 

  21. Parendes, L.A. and J.A. Jones(2000) Role of light availability and dispersal in exotic plant inwasion along roads and stream in the H.J. Andrews experimental forest, Oregon. Conserv. Biol. 14(1): 64-75 

  22. Sheldrick B.H. and C. Wang(1993)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M.R. Carter(ed.), Soil Sampling and Methods of Analysis, Lewis Publishers, Florida, pp.499-51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