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기의 경제적 복지에 대한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상대적 효과
The Relative Effects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he Economic Well-being of the Late Middle-aged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6 no.5 = no.95, 2008년, pp.315 - 332  

서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effects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he economic well-being of late middle-aged Koreans. The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ged 50-64 were used (n=4,040).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에 대응한 전부의 대책은? 1%로 급증하였다(통계청, 2007). 이러한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에 대응하여 고용, 여가, 건강에 관련된 정책이 마련되고 있으며(대한민국정부, 2006), 이를 통해 국가경제의 경쟁력 약화, 재정부담, 세대간 갈등 등 사회적 우려가 해소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사회자본이론은 무엇인가? 사회자본이론은 한 사회구조 내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개인간의 상호작용 및 교환이 지니는 경제적 가치를 규명하여 사회적 관계에 내재한 자본의 속성을 설명하는 이론으로서 비교적 최근인 1970년대 이후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아직 사회자본의 정의에 대한 일치된 견해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사회자본의 개념으로 자주 인용되는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향후 한국사회의 중년기 인구에 적합한 사회자본투자의 방향을 제안한다면? 첫째, 중년기에 가족, 친지, 이웃, 동료 등과 맺는 비공식적 연계망은 경제적 복지 증진에 대한 효과 뿐 아니라 인적자본이 경제적 복지에 미치는 효과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사회자본을 형성․축적하기 위한 다양한 사회투자 정책과제를 개발하고 이를 실천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중년기라는 가족발달 단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 등 가족관계의 변화에 적응하여 가족 내 사회자본이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가족생활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안정적인 혼인상태나 친밀한 부모자녀 관계가 지니는 경제적 가치를 고려할 때 그러한 잠재적 역량을 강화하는 정책의 대상에는 문제가 있는 가족 뿐 아니라 모든 가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정책개입의 대상을 모든 개인과 가족을 포괄할 수 있도록 보편적으로 확대하여 다양한 수준의 프로그램이 실시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체적인 사회자본 투자 효과를 실현할 수 있는 정책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교육수준이나 근로유형 등 인적자본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가족관계 및 친지, 이웃 등 비공식적 연계망 조성을 위한 사회자본 투자전략의 방향을 미세하게 조정해 나감으로써 정책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중년기의 경제적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공식적 연계망을 강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결성된 모임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공식적 연계망 수준으로 측정한 사회자본은 개인의 경제적 복지수준에 중요한 자원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영현 등(2006)의 연구와도 유사한 결과이다. 다만, 보다 공식적인 사회참여의 특성이 강한 정당 및 시민단체, 자원봉사단체 등에 대한 참여수준이 동창회·향우회 등 연고에 의한 모임이나 취미․여가․스포츠 등 자원에 의한 모임의 참여수준에 비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공식적 속성이 강한 사회단체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적 투자가 요구된다. 특히, 교육수준이 평균 수준보다 낮거나 일하고 있지 않은 집단 등에서 공식적 연계망 특성과 관련된 사회자본의 경제적 기여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우리사회의 인적자본과 사회자본 수준 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실태를 보여준다 하겠다. 이는 미국사회를 대상으로 한 Putnam(1995)의 연구에서 인적자본 수준의 향상에 비례하여 사회자본 수준이 향상되지 않은 결과와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으나, 한편 개별 가계의 경제적 복지 수준의 향상은 물론 사회전체의 사회자본 수준의 향상과 축적을 도모하기 위하여 사회자본에 대한 사회계층별 투자 전략이 보다 세분화되어 시도되어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우선 미시적 수준에서 볼 때 인적자본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계층에 속하는 경우 사회자본은 인적자본의 경제적 복지 효과를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제적 자원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또한 궁극적으로 보다 다양한 사회계층의 사회참여를 통해 사회자본이 축적되면 사회통합이 촉진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육수준이나 근로유형의 특성에 따라 거시적 수준에서 사회자본투자 전략이 차별화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하겠다. 다만, 인적자본에 비해 사회자본 투자를 위한 계층별 분포를 일반화하기는 어려우므로 인적자본 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사회자본 투자전략의 내용을 일관되게 결정하는 것은 무리가 따를 수 있다. 즉, 교육수준이 낮거나 일하지 않는 집단을 사회자본 투자를 위한 우선 정책대상으로 선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이주.김영신.허경옥(2006). 알기 쉬운 가계경제학. 서울: 신정 

  2. 김명자(1998). 중년기 발달. 서울: 교문사 

  3. 김애순.윤진(1995). 은퇴 이후의 심리.사회적 영향: 은퇴는 위기인가?. 한국노년학, 15(1), 141-158 

  4. 김태완(2001). 국가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투자정책. 교육재정경제연구, 10(2), 25-51 

  5. 김혜원(2007). 선진국에서의 사회투자 논의와 한국에의 함의. 국제노동브리프, 5(5), 1-3 

  6. 나영선.이재열.한준상.이경욱.한성안(2005).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본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대한민국정부(2006).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8. 손유미(2003). 중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장지연(2001). 중고령자 노동시장의 특성과 고용지원 정책. 한국노동연구원 

  10. 서지원.이기영(1997). 사무직 기혼여성의 출산후 취업지속 결정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15(2), 99-110 

  11. 송혜림.이완정.진미정.박정윤.서지원(2007). 참여정부의 가정정책 평가와 차기정부의 가정정책 발전방향. 대한가정학회 정책토론회 자료집 

  12. 유석춘.장미혜.정병은.배영(2003). 사회자본: 이론과 쟁점. 서울: 그린 

  13. 유석춘(2004). 한국의 사회적 자본: 연고집단. 이온죽(편). 신뢰: 지구촌 시대의 사회적 자본(101-116). 서울: 집문당 

  14. 이기영.조영희.송혜림.이승미(1998). 생활설계론. 서울: 교문사 

  15. 이상일(2000). 실리콘 밸리의 인적자원개발. 한국노동연구원 

  16. 이영현.나영선.김안국.유한구.김미란.이재혁(2006).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이정규(2004). 사회적 네트워크와 구직과정 및 성과. 한국노동패널 제5차 학술대회 자료집 

  18. 임채원(2006). 신자유주의를 넘어 사회투자국가로. 파주: 한울 

  19. 정규서(1995). 조기퇴직자의 재취업과 소득보장문제. 한국노년학, 15(1), 109-121 

  20. 정진성(2001). 경제위기와 가족생활. 한국인구학, 24(1), 91-121 

  21. 통계청(2007). 사회통계조사 

  22. 한국노동연구원(2005). 인구 고령화와 노동시장 변화 및 노동정책과제 

  23. 홍영란.김태준.현영섭.소진광.이승희(2007). 사회적 자본 지표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4. Arrow, K. J. (2000). Observations on social capital. In P. Dasgupta & I. Serageldin (Eds.). Social capital: A multifaceted perspective (p. 3-5). Washinton, DC: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25. Becker, G. (1964). Human capital.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6. Bourdieu, P.(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Press 

  27. Bryant, W. K. (1990). The economic organization of the household.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Burkhauser, R. V. & Duncan, G. J. (1988). Life events, public policy and the economic vulnerability of children and the elderly. In J. L. Palmer and I. V. Sawhill(Eds.). The Vulnerable(pp. 55-87). Washington DC: Urban Institute Press 

  29. Coleman, J. S. (2000).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In P. Dasgupta & I. Serageldin (Eds.). Social capital : A multifaceted perspective (p. 13-39). Washington, D.C. :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30. Dollahite, D. C., & Rommel, J. I. (1993). Individual and relationship capital: Implications for theory and research on families.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s Issues, 14, 27-48 

  31. Duncan, G. J., Boisjoly, J., & Smeeding, T. (1996). Economic mobility of young workers in the 1970s and 1980s. Demography, 33, 497-509 

  32. Elder, G. H. Jr., Eccles, J. S., Ardelt, M. & Lord, S. (1995). Inner-city parents under economic pressure: Perspectives on the strategies of parenting.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771-784 

  33. Field, J. (2003). Social capital. London & N.Y.: Routledge 

  34. Field, J., Schuller, T. & Baron, S.(2000),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revisited. In S. Baron, J. Field, & T. Schuller(Eds). Social capital: Critical perspectives(p. 243-263).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5. Furstenberg, F. & Hughes, M. E. (1995), Social capital and successful development among at-risk yout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580-592 

  36. Grootaert, C., & Bastelaer, T. (2001). Understanding and Measuring Social Capital: A Mutidisciplinary Tool for Practitioners. Washington, D. C: World Bank 

  37. Guiso, L., Sapienza, P., & Zingales, L.(2004).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Financial Development.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94, 526-556 

  38. Hao, L. & Brinton, M. C.(1997), Productive activities and support systems of single mothers.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2, 1305-1344 

  39. Harper, R. (2001). Social capital : A review of the literature. London: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40. Knack, S., & Keeper, P. (1997). Does social capital have an economic impact? A cross-country investigation.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2, 1252-1288 

  41. Lin, N. (2001).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MacDonald, M. & Douthitt, R. A. (1992). Consumption theories and consumers' assessments of subjective well-being. The Journal of Consumer Affairs, 26, 243-261 

  43. Mincer, J. (1974). Schooling, experience, and earnings. N.Y.: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44. Morgan, J. N., & Duncan, G. J. (1982). Making your choices count: Economic principles for everyday decisions.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5. OECD(2001). The well-being of nations: the role of human and social capital. Paris: OECD 

  46. OECD(2004). Aging and employment politics: Korea. Paris: OECD 

  47. Portes A. (199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1-24 

  48. Powell, M. A., & Parcel, T. L. (1997). Effects of family structure on the earnings attainment process : Differences by gende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 419-433 

  49. Putnam, R. D. (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 65-78 

  50. Rice, A. S., & Tucker, S. M. (1986). Family life management. N.Y.: Macmillan 

  51. Schultz, T. W. (1981).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merican Economic Review, 51, 1-17 

  52. Seo, J. (2005). Overcoming economic hardship: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53. Teachman, J. D., Paasch, K. & Carver, K. (1997). Social capital and the generation of human capital. Social Forces, 75, 1345-1359 

  54.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6). KDI 역(2006). 해밀턴 프로젝트: 기회와 번영, 성장을 위한 경제전략. 서울 : KDI 경제정보센터 

  55. World Bank (1998). The initiative defining, monitoring, and measuring social capital: Overview and program description. Social Capital Initiative Working Paper no. 1. World Bank, Washington D. 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