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파운드케익의 단맛조절과 보존기간 및 조직감 향상을 위한 Na$\\pm$2-(4-methoxyphenoxy)propanoate의 응용
Application of Sweetness Inhibitor, Na$\\pm$2-(4-Methoxyphenoxy)propanoic Acid, to Modify Sweetness and to Improve Shelf Life and Texture in Pound Cak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5 = no.201, 2008년, pp.534 - 539  

이성규 (경희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백무열 (경희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장혁래 (김포대학 호텔조리과) ,  박승국 (경희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표준 당 용액과 파운드 케익에서 단맛 억제제인 Na-PMP의 단맛 조절 기능을 증명하였다. 설탕은 여러 식품에서 수분 보유력, 조직감 그리고 맛과 관련된 식품의 특성과 같은 성질을 제공하는 중요한 성분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식품에서 이러한 장점을 얻기 위하여 첨가하는 설탕의 양은 적절한 단맛의 범위를 벗어나는 과도한 양이므로 식품의 향미를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맛 억제물질인 Na$\pm$2-(4-methoxyphenoxy)propanoate(Na-PMP)을 식품에 적용하였다. 먼저 2.5, 5.0, 7.5, 10.0%의 설탕 용액과 이 농도의 설탕 용액과 같은 단맛 강도를 갖도록 과당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 각각에 250과 500 ppm의 두 가지 수준으로 Na-PMP를 혼합하여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두 가지 단맛 억제제의 농도에서 모두 단맛 강도가 유의적으로 저해되었다. 이 표준 용액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단맛 억제제를 파운드 케익에 적용하였다. 우선 과량의 설탕(10, 20, 30%)이 첨가된 파운드 케익에 대한 부피, 경도, 수분함량, 저장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물리적 측정 결과 설탕이 30% 더 첨가된 케익이 조직감과 저장성면에서 품질이 가장 좋았기 때문에 이 케익에 단맛 억제제를 45 ppm(1.5% of 10,000 ppm Na-PMP), 52.5 ppm(1.7% of 10,000 ppm Na-PMP,) 60 ppm(2.0% of 10,000 ppm Na-PMP)의 세가지 수준으로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45 ppm의 Na-PMP를 첨가한 것이 파운드 케익의 기본 배합비와 단맛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a-PMP의 첨가는 설탕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파운드 케익의 과량의 단맛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inhibitory action and quality-improvement functions of sweetness inhibitor, Na$\pm$2-(4-Methoxyphenoxy) propanoate (Na-PMP) in pound cakes. Na-PMP was first used to evaluate the intensity of sweetness i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cro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a-PMP는 150 ppm 이하의 농도를 식품에 적용하였을 때 다른 기본 맛(짠맛, 신맛, 쓴맛)은 저해하지 않으며 소량으로 단맛 저해의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탄수화물이 주재료가 되는 단 식품에서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으나(2,3), 현재까지 Na-PMP가 실제로 식품에 적용되어 체계적으로 연구된 사례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미료인 설탕과 과당의 표준 당 용액에 Na-PMP를 적용함으로써 단맛 강도의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Na-PMP의 단맛 억제효과를 일반적으로 과도한 단맛의 문제점이 있는 케익류, 특히 파운드 케익에 적용하여 저장성과 물리적 성질이 향상되면서 단맛이 조절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표준 당 용액과 파운드 케익에서 단맛 억제제인 Na-PMP의 단맛 조절 기능을 증명하였다. 설탕은 여러 식품에서 수분 보유력, 조직감 그리고 맛과 관련된 식품의 특성과 같은 성질을 제공하는 중요한 성분 중의 하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맛을 저해한다고 알려진 물질 중 가장 오래 전에 알려진 것은? 단맛을 저해한다고 알려진 물질 중 가장 오래 전에 알려진 것은 인도 지방 고유 식물인 Gymnema sylvestre에서 추출된 gymnemic acid이며 그 이외에도 Ziziphus jujuba와 Hovenia dulcis 의 나뭇잎에서 추출된 ziziphin와 holodulcine등의 triterpenoid가 있다(4). 단맛 억제제는 단맛 수용체 종류의 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종류의 억제제가 인간이나 동물에서 억제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5).
식품에서 단맛 억제제의 요건은? 이 메커니즘은 맛을 인지하는 세포막에서의 비특이 작용, 그리고 맛을 인지하는 세포막에서 2차 전달체계와 그 경로의 방해, 감미료 수용체의 경쟁적인 억제 등이다(5-7). 식품에서 단맛 억제제의 요건으로는 식용으로 안전해야 하고, 식품의 맛과 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고, 가격이 비싸지 않아야 하는 등의 기본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갖춘 물질 중에서 특별히 중요한 물질이 Na±2-(4- methoxyphenoxy)propanoate(Na-PMP)이며, 이 물질은 단맛을 내는 물질과 혼합물로 존재할 때 그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6).
Na±2-(4- methoxyphenoxy)propanoate(Na-PMP)의 사용량 제한은? 이러한 요건을 갖춘 물질 중에서 특별히 중요한 물질이 Na±2-(4- methoxyphenoxy)propanoate(Na-PMP)이며, 이 물질은 단맛을 내는 물질과 혼합물로 존재할 때 그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6). Na-PMP의 사용량은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JECFA) 에서 착향료로 사용될 경우 사용량의 제한이 없으며, Flavour and Essence Manufacturer’s Association (FEMA)에서 실제 제과제빵과 같은 식품산업에 사용될 때의 최대 허용 수준은 150 ppm이다. 현재까지 Na-PMP에 관한 연구는 phenoxyalkanoic acid의 구조에 따른 저해 효과(6), Na-PMP 200 ppm 이하의 농도에서 단맛과 쓴맛에서의 저해 효과(3), 인간과 실험용 쥐에게 Na-PMP를 적용했을 때의 저해 효과의 차이(8), 15가지의 감미료의 표준 용액에서 선택적이며 경쟁적인 저해 효과에 대한 연구(9) 등 표준 용액에 적용한 연구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rham HN Jr, Johnson JA. The influence of various sugars on dough and bread properties. Cereal Chem. 28: 463-473 (1951) 

  2. LaBell F. Sweetness reduction improves flavor delivery, functionality. Food Processing May: 74-76 (1989) 

  3. Johnson C, Birch GG, MacDougall DB. The effect of the sweetness inhibitor 2(-4-methoxyphenoxy)propanoic acid (sodium salt) (Na-PMP) on the taste of bitter-sweet stimuli. Chem. Senses 19: 349-358 (1994) 

  4. Suttisri R, Lee IS, Kinghorn AD. Plant-derived triterpenoid sweetness inhibitors. J. Ethnopharmacol. 47: 9-26 (1995) 

  5. Jakinovich W, Sugarman D. Peirphral mechanisms of mammalian sweet taste. pp. 37-83. In: Neural Mechanisms in Taste. Cagan RH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1989)(1994) 

  6. Lindely MG. Phenoxyalkanoic acid sweetness inhibitors. ACS Symposium Series 450. pp. 251-260. In: Sweetners: Discovery, Molecular Design and Chemoreception. Walters DE, Orthoefer FT, DuBois GE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1991) 

  7. Schiffman SS, Pecore SD, Booth BJ, Losee ML, Carr BT, Sattely- Miller E, Graham BG, Warrick ZS. Adaptation of sweetners in water and in tannic acid solutions. Physiol. Behav. 55: 547-559 (1994) 

  8. Scalfani A, Perez C. CyphaTM[propanoic acid, 2-(4-methoxyphenol) salt] inhibits sweet taste in humans, but not in rats. Physiol. Behav. 61: 25-29 (1997) 

  9. Schiffman SS, Booth BJ, Sattely-Miller EA, Graham BG, Gibes KM. Selective inhibition of sweetness by the sodium salt of $\pm$ 2-(4-methoxyphenoxy) propanoic acid. Chem. Senses 24: 439-447 (1999) 

  10. DuBois GE, Walters DE, Schiffman SS, Warwick ZS, Booth BJ, Pecore SD, Gibes K, Carr BT, Brands LM. Concentration-response relations of sweetners: a systematic study. pp. 261-276. In: Sweetners: Discovery, Molecular Design and Chemoreception. Walters DE, Orthoefer FT, DoBois GE (eds). ACS Symposium Series 450.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1991) 

  11. Kim KO, Kim SS, Sung NK, Lee YC. Samples preparation. pp. 44-53. In: Method & Application of Sensory Evaluation. ShinKwang Press. Seoul, Korea (1999) 

  12. Kim SG, Cho NJ, Kim YH. Manufacturing technique of cake. pp. 157-174. In: Science of Confectionary and Baking. B&C World Press. Seoul, Korea (1997) 

  13. Campbell AM, Penfield MP, Griswold RM. Cake and pastry. p. 372. In: The Experiment Study of Food. 2nd ed. Griswold RM (ed). Hougton Mifflin Co., Boston, MA, USA(1979) 

  14. Wetzel CR, Weese JO, Bell LN. Sensory evaluation of no-sugar-added cakes containing encapsulated aspartame. Food Res. Int. 30: 395-399 (1997) 

  15. AACC.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St. Paul, MN, USA (2000) 

  16. Kook SU. Usage of liquid sugar for shelf life extension of the cake. Korean J. Food Nutr. 9: 259-264 (1996) 

  17. Baeva MR, Terzieva VV, Panchev IN. Structural development of sucrose-sweetened and sucrose-free sponge cakes during baking. Nahrung 47: 154-160 (2003) 

  18. Edelmann EC, Cathcart WH, Berquist CB. The effect of various ingredients on the rate of firming of bread crumb in the presence of polyoxyethylene (mono) stearate and glyceryl monostearate. Cereal Chem. 27: 1-14 (1950) 

  19. Hoseney RC, Atwell WA, Lineback D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starch isolated from baked products. Cereal Food World 22: 56-60 (1977) 

  20. Clyde E, Stauffer. Emusifiers and dough strengtheners. pp. 109-113. In: Functional Additives for Bakery Food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NY, USA (1990) 

  21. Frye AM, Setser CS. Optimizing texture of reduced-calorie yellow layer cakes. Cereal Chem. 69: 338-343 (1991) 

  22. Species RD, Hoseney RC. Effect of sugars on starch gelatinization. Cereal Chem. 56: 128-131 (1979) 

  23. D'appolonia BL. Effect of bread ingredients on starch gelatinization properties as measured by the amylograph. Cereal Chem. 49: 532-543 (1972) 

  24. Derby RI, Miller BS, Miller BF, Trimbo HB. Visual observations of wheat-starch gelatinization in limited water systems. Cereal Chem. 52: 702-713 (19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