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북부지역 스코리아의 철 화합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ron Compounds of Scoria in The Northern Area of Jeju 원문보기

韓國磁氣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v.18 no.5, 2008년, pp.168 - 173  

최원준 (제주대학교 물리학과) ,  고정대 (제주대학교 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북부 지역 오름의 주성분인 스코리아에 대한 화학적 조성, 산화철원자가 상태와 자기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X-선 형 광분석을 통해서 철 함유량은 $14.08{\sim}20.08\;wt%$ 임을 확인하였고,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SiO_2$와 같은 규산염 외에 소량의 철산화물이 확인되었다. $M{\ddot{o}}ssbauer$ 분광법을 통해서 시료들 내부의 광물 중, 철 성분들이 어떤 형태를 이루는지 알아보았다. 측정한 결과 olivine인 규산염과 pyroxene, ilmenite와 같은 상자성 철산화물 및 상온에서 반강자성강자성 물질인 hematite와 magnetite 산화철 광물들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철 화합물의 원자가 상태는 $Fe^{2+}$인 olivine, pyroxene 그리고 ilmenite 와 $Fe^{3+}$인 hematite, magnetite 등을 포함하고 있다. 주성분으로 볼 수 있는 hematite의 총 면적비는 평균 57.88 wt%이었고 스코리아 내에 존재하는 철의 주 원자가 상태는 대부분 $Fe^{3+}$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결과는 다른 제주 중산간 지역의 스코리아와 동 일한 지구화학적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 compounds of scoria distributed in northern area of Jeju island are investigated using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X-ray diffractometry, and $^{57}Fe$ Mossbauer spectroscopy. The samples were prepared from four parasite volcanos. These samples consist of the typical basalt compr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실에서는 최근에 제주도 다른 지역에 존재하는 스코리아의 철 화합물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15, 16], 본 논문에서는 X-선 회절법, X-선 형광법 및 Mössbauer분광법을 이용하여 아직 조사된 바 없는 북부 지역에 존재하는 스코리아에 포함된 철 화합물에 대해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다른 지역과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 전역에 있는 작은 화산체들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가? 제주도 전역에는 작은 화산체들이 한라산을 중심으로 대체로 동축과 서측에 밀집되어 분포한다. 이들은 소규모의 폭발적 분화에 의해 수백 미터 상공으로 분출된 쇄설물들이 화구주변에 퇴적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368여개 분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은 지질학적용어로 화쇄구(火碎丘, pyroclastic cone)라 하며 제주어로 오름이라 부른다.
제주도 화산암의 분포 면적은 어느 정도인가? 제주도는 120만 년 전부터 약 100만 년 이상의 기간 동안 여러 분화구에서 분출한 분출물로 형성된 섬이며[1, 2], 장축(74 km)과 단축(32 km)을 갖는 타원형의 순상화산체로, 화산암의 분포 면적은 약 1,825 km2이다. 제주도 전역에는 작은 화산체들이 한라산을 중심으로 대체로 동축과 서측에 밀집되어 분포한다.
응회환이란 무엇인가? 최근 여러 오름 들은 지질학 및 식물생태학적으로 학술적 연구 가치가 높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3]. 이들을 지질학적으로 분류하면 주성분인 화산쇄설성 물질의 종류에 의해 스코리아구, 경석구(輕石丘), 화산회구(火山灰丘)로 세분되며, 화산회구 중에서 퇴적물의 양이 적고 야트막한 환상구(環狀丘)가 화구를 둘러싸고 있는 것을 응회환(tuff ring)이라 하고, 이중에서도 환상구가 매우 낮고 화구만으로 이루어진 것같이 보이는 것을 마르(maar)라고 부른다. 제주도의 화산은 대부분 현무암질 용암분출에 기인된 분화활동이며, 화산활동의 원인은 열적 활동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n, Korean Geological Features, Sigma Press, Seoul (2002) pp. 293-295 

  2. J. S. Koh, S. H. Yun, and S. S. Kang, J. Petrol. Soc. Korea, 12(12), 1 (2003) 

  3. D. I. Oh, Ph. D. thesis(in Korean), Cheju National Univ., Jeju (2004) pp. 12-18 

  4. S. W. Lee and S. H. Suh, J. Arch. Inst. Korean, 9(1), 403 (1989) 

  5. S. Nakamula, The Globe(chikyu), 4, 325 (1925) 

  6. S. H. Choi, J. I. Lee, C. H. Park, and J. Moutte, The Island Arc., 11(4), 221 (2002) 

  7. S. Y. Hamm, J. Y. Cheong, S. Jang, C. Y. Jung, and B. S. Kim, J. Hydrology, 310, 111 (2005) 

  8. E. Murad, Hyperfine Interactions, 117, 39 (1998) 

  9. J. G. Stevens, A. Khasanov, J. W. Miller, H. Pollak, and Z. Li, Hyperfine Interactions, 117, 71 (1998) 

  10. J. M. R. Genin, G. Bourrie, F. Trolard, M. Abdelmoula, A. Jaffrezic, P. Refait, V. Maitre, B. Humbert, and A. Herbillon, Environ. Sci. Technol., 32(8), 1058 (1998) 

  11. E. De Grave, S. G. Eeckhout, and C. A. McCammon, Hyperfine Interactions, 122, 21 (1999) 

  12. V. Rusanov, R. G. Gilson, A. Lougear, and A. X. Trauwein, Hyperfine Interactions, 128, 353 (2000) 

  13. S. G. Marchetti, R. Spretz, M. A. Ulla, and E. A. Lombardo, Hyperfine Interactions, 128, 453 (2000) 

  14. S. K. Kam, S. S. Hyun, and M. G. Lee, J. Kor. Soc. Environ. Eng., 24(1), 57 (2002) 

  15. W. J. Choi and J. D. Ko, Sae Mulli, 55(6), 477 (2007) 

  16. W. J. Choi and J. D. Ko, J. of Kor. Mag. Soc., 17(5), 1 (2007) 

  17. Y. Tatsumi, H. Shukuno, M. Yoshikawa, Q. Chang, K. Sato, and M. W. Lee J. Petrology, 46(3), 523 (2005) 

  18. J. G. Gung and J. M. Lee, The Study of Igneous Rocks, Sigma Press, Seoul (2000) pp. 64-69 

  19. H. Kodama, J. A. Mckeague, R. J. Tremblay, J. R. Gosslin, and M. G. Townsend, Can. J. Earth Sci., 14(1), 1 (1977) 

  20. B. D. Cullity, Elements of X-ray Diffraction, Addition-Wesley (1978) pp. 281-292 

  21. C. W. Childs, N. Matsye, and N. Toshinaga, Soil Sci. Plant. Nutr., 37(2), 299 (1991) 

  22. V. G. Bhide, Mossbauer Effect and Its Application, Tata Mcgraw-Hill, New Deli (1973) pp. 273-274 

  23. C. S. Lee and C. Y. Lee, J. of Kor. Mag. Soc., 7(5), 232 (1997) 

  24. G. J. Long, Mossbauer Spectroscopy Applied to Magnetism and Materials Science, Plenum Press, New Work (1993) pp. 132-153 

  25. S. R. Hong, Hyperfine Interactions, 57, 222 (1990) 

  26. G. M. da Costa, E. G. da Silva, and M. F. de J. Filho, Hyperfine Interactions, 67, 501 (1991) 

  27. Y. S. Zhang, Y. H. Kim, and K. C. Song, Kor. J. Soil Sci., 35(3), 145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